2024년 11월 25일(월)

‘서울선언문’ 채택으로 막 내린 P4G…“국제사회 협력 통해 탄소중립 실현”

문재인 대통령이 31일 오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P4G 서울정상회의’ 정상토론세션에서 의제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에서 개최한 첫 환경 분야 국제회의인 ‘2021 P4G 서울정상회의’가 31일 ‘서울선언문’ 채택과 함께 마무리됐다.

이번 회의에서 참가국들은 서울선언문 채택을 통해 코로나19와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국제사회의 연대와 지원 필요성, 파리기후변화 협약 이행,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한 실천 노력, 해양오염문제에 대한 강한 해결 의지 등에 대해 의견을 모았다.

이날 P4G 정상회의는 문재인 대통령이 서울 동대문디지털플라자(DDP)에서 직접 주재했다. P4G는 ‘녹색성장과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Partnering for Green Growth and the Global Goals 2030)를 뜻하는 글로벌 민관 협의체다. 오후 10시부터 시작된 정상회의에서 13명의 각국 정상급·고위급 지도자들은 ‘포용적인 녹색회복을 통한 탄소중립 비전 실현’을 주제로 발언을 이어갔다.

문 대통령의 회의 개시 이후 이회성 기후변화에관한정부간협의체(IPCC) 의장이 기조 발제에 나섰다. 이 의장은 “2021년은 파리협정 이행이 시작되는 원년”이라며 “미래를 위한 행동은 바로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커다란 기술혁신의 변화가 주요 부분에서 이루기 위해 저탄소를 주동력원으로 해서 건물 난방을 해야 한다”면서 “청정수소의 잠재력을 다양한 산업에서 구현하고, 지속가능한 바이오 에너지를 확대해야만 순환경제의 기반을 구축할 수 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의제 발언을 통해 “탄소중립은 지속가능한 녹색 미래를 만드는 일”이라며 “전 인류가 함께 꾸준히 노력해야 이룰 수 있는 목표이기에 실천방안 역시 지속가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강제와 규율, 또는 선의에만 의존해서는 국민과 기업의 계속된 참여를 담보할 수 없다”면서 “탄소중립을 신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의 기회로 만들어 각계각층의 국민으로부터 공감대를 얻고 기업이 자발적으로 기술개발과 투자에 나설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한국은 그린뉴딜을 국가 역점 사업으로 추진하고, 2025년까지 650억 불 규모의 재정을 투입하려고 한다”며 “민간의 활발한 참여를 이끌고 혁신 노력을 뒷받침하는 것에 정책의 주안점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발언을 이어가며 전라남도 신안과 울산의 사례를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한국 해양생태계의 보고인 신안에서는 지역 주민과 지방자치단체, 기업, 노동계가 힘을 모아 8.2기가와트(GW) 규모의 세계 최대 해상풍력단지 조성에 나섰다”며 “대표적인 산업도시 울산은 해저 천연가스를 추출하던 바다 한가운데에 그 시설들을 활용해 6GW 규모의 부유식 해상풍력단지와 그린 수소 생산시설을 건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두 개의 사업만으로도 향후 10년간 약 750억달러의 투자가 이뤄지고 33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주민과 기업이 협력하고 정부와 지자체가 지원하는 한국의 그린 뉴딜이 좋은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문재인 대통령이 31일 오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P4G 서울정상회의’ 정상토론세션에서 미국 존 케리 기후특사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산업화 과정에서 화석 연료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개발도상국에 대한 선진국의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기후문제에는 국경이 없다”면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이 서로 다른 경제·사회적 여건을 이해하며 연대해 나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선진국들이 지원을 늘려 개발도상국의 부담을 함께 나눠야 한다”며 “한국은 국제사회의 연대와 협력을 높이기 위해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연결하는 가교역할을 하겠다”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 발언에 이어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와 이반 두케 마르케스 콜롬비아 대통령이 발언을 이어갔다. 덴마크는 제1차 P4G 정상회의 개최국이며, 콜롬비아는 3차 회의를 준비 중이다. 프레데릭센 총리는 “덴마크의 50% 전력은 태양광과 풍력에서 나오고 있으며 일자리도 창출되고 있다”면서 “화석 연료 대비해서 더 많은 일자리 창출되고 있다”며 덴마크의 녹색성장에 대해 언급했다. 아울러 파트너십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프레데릭센 총리는 “지난해 덴마크 정부는 13개의 기후 파트너십을 만들었고, 덴마크 기업들과 함께 협력하고 있다”며 “파트너십이야 말로 덴마크 녹색 여정의 근본이 되고 있다”고 했다. 마르케스 대통령은 “어떻게 민관 협력을 강화할 것인지, 또 전 세계가 어떻게 협력을 강화할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며 “세계은행의 재원 공여나 다자개발은행 등이 재원을 지원하고 있는데, 민관부문 참여가 강화될 수 있도록 재정 인센티브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르술라 폰 데어 라이엔 유엔 집행위원장은 “코로나19 팬데믹에서 회복하는 데 있어 사회와 경제에 대해 다시 재고를 해야 ‘더 녹색’의 ‘더 건강한 미래’를 만들 기회가 있다”며 “이것이 유엔 그린뉴딜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마크 루트 네덜란드 총리는 “시장기반 솔루션이 중요하다”면서 “탄소 중립을 넘어 기후 중립으로 갈 수 있도록 파트너들과 함께 목표 지점까지 함께 해야 한다”고 했다.

미국은 미래의 기술이 아닌 지금의 기술을 활용해 탄소중립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주문했다. 존 케리 미국 대통령 기후특사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사안일에 빠져서는 안 된다”며 “지금부터 혁신에 투자해야 하고 지금 행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상 토론세션이 마무리된 뒤 정상회의 참가국과 국제기구들은 회의 결과를 담은 서울선언문을 채택했다. 선언문에는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향상 독려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활동 강화 권장 ▲사막화와 토양 황폐화 문제 인식 ▲지구 온도 상승 1.5도 이내 억제 ▲탈석탄을 향한 에너지 전환 가속화 ▲해양 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결속 ▲취약 집단을 위한 포용적이고 공정한 전환 추진 ▲시민사회의 기후 행동 참여 중요성 강조 등이 담겼다.

조준혁 더나은미래 기자 presscho@chosun.com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