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25일(토)

국내 대형마트 3社 탄소집약도, 코스트코 최대 7배…온실가스 감축 대책은?

[이슈&해법] 롯데마트·이마트·홈플러스 온실가스 배출
정부·기업·시민 ‘공동 대응’ 필요해

국내 주요 대형마트 3곳의 탄소집약도가 해외 대형마트보다 4배에서 최대 7배까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노력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먹거리 유통산업의 변화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먹거리 유통산업에서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국내 대형마트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는 어도비 AI 파이어플라이를 통해 제작된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어도비 파이어플라이

국내 농식품 체계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은 약 1억 1200만 톤(CO₂eq)으로, 이는 국가 전체 배출량의 16%에 달한다. 이 중 식품 유통 부문이 34%를 차지하며, 그중에서도 대형마트의 배출량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롯데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등 국내 3대 대형마트의 탄소 배출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김신효정 이화여대 아시아여성학센터 전임연구원은 “롯데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등 국내 대형마트 3곳이 유통산업과 식음료 산업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며 “이들 기업이 한국 먹거리 유통산업의 탄소 감축에 막대한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 홈플러스, 코스트코보다 탄소집약도 7.3배 높아

국내 3대 대형마트인 롯데마트·이마트·홈플러스의 전체 탄소 배출량 자체는 해외 대형마트보다 적지만, ‘탄소집약도’ 면에서는 훨씬 높게 나타났다. 온실가스 직접 배출(스코프 1)과 에너지 사용(스코프 2)에 따른 2023년 기준 탄소집약도를 보면, 홈플러스(82.79), 롯데마트(69.11), 이마트(46.99) 순이었다. 홈플러스는 해외 대형마트 코스트코(11.39)보다 7.3배 높은 수준이다. 월마트, 테스코, 까르푸 등 글로벌 5대 대형마트의 평균 탄소집약도(17.45)와 비교해도 국내 마트들은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전문가들은 국내 대형마트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현재 대형마트들은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태양광 설비를 도입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여전히 해외 대비 재생에너지 사용 비중이 낮고 감축 목표 또한 구체적이지 않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 구체적 대책 없는 국내 대형마트, 감축 목표 미흡

테스코는 2020년에 이미 재생에너지 100% 목표를 조기 달성했고, 월마트는 2030년까지 탄소 10억 톤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허남혁 삶전환연구소 소장은 “국내 대형마트의 경우 에너지 사용의 80~90%가 전기이지만, 재생에너지 사용 비중이 저조하다”고 지적했다.

해외 대형마트는 스코프 3 배출에도 구체적인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월마트는 2016년부터 2030년까지 스코프 3에서 탄소 10억 톤을 줄이겠다는 ‘기가톤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까르푸는 스코프 3 배출 중 절반 이상이 먹거리 관련임을 인식해 공급업체와 자발적 협약을 맺고 협력 플랫폼을 구축했다.

반면, 국내 대형마트는 스코프 1·2(직접 배출 및 에너지 사용) 중심의 감축 계획에만 머무르고 있어, 공급망 전반의 배출을 포함하는 스코프 3 감축 목표 수립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월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먹거리 유통산업 탄소감축 로드맵 마련을 위한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채예빈 기자

◇ 한국판 ‘코톨드 약속’이 해법

전문가들은 대형마트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와 시민사회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정부가 건물 효율화, 재생에너지 확대 등과 같은 핵심 과제를 지원 및 규제하고, 기업은 공통 가이드라인 및 교육을 마련하고, 시민사회는 업계를 모니터링하는 구조다.

구체적이 해법 사례로는 영국의 ‘코톨드 약속(Courtauld Commitment)’을 꼽을 수 있다. 코톨드 약속은 2005년 출범한 영국의 먹거리 부문 탄소를 감축하기 위한 자발적 협약으로, 191개의 기업, 단체, 지방정부가 참여하고 있다. 협약은 2030년까지 영국 식품사슬 전반에 걸쳐 온실가스와 식품폐기물을 50%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환경 비영리단체가 주요 유통기업과 협업해 식음료 부문 온실가스 측정과 보고를 표준화하고, 환경영향 감축 실천을 유도했다. 

조선행 GCN지속가능먹거리위원회 위원장은 “유통업체가 친환경 소비 문화를 선도해야 한다”며 “녹색 소비자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이들이 친환경 유통을 당연하게 여길 수 있도록 인식을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책임 있는 소비를 실천하는 소비자가 점점 늘어나는 추세”라며 “소비자는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 중에서 선택할 수밖에 없는 만큼, 기업이 먼저 과포장 축소 등 선제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채예빈 더나은미래 기자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