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3일(토)

국내 첫 사회적경제 통계 발표…고용인원 25만명, 자산은 1214조원

민간 주도 ‘2024년 사회적경제 통계’ 초안 공개
고용인원 1위는 협동조합, 자산은 농협 등 금융사업 대다수

사회적경제가 만드는 부가가치가 국내 경제 전체 부가가치의 3%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국내 첫 통합 사회적경제 통계 결과다. 총 고용인원은 25만명으로 협동조합(7만3922명)이 가장 많았으며, 자산은 1214조원에 이르렀으나 농협(632조7561억원), 새마을금고(370조9216억원), 신협(143조3624억) 등 금융사업의 비중이 대다수였다.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사회적경제 통계연구포럼’에서 협동조합연구소와 연대회의연구소는 2024년 사회적경제 통계 초안을 공개했다. 국가주도의 통합적인 사회적경제 통계가 없는 상황에서 민간이 직접 통계를 작성했다. 사회적경제의 범위와 사회적경제의 부가가치를 명확히 하기 위한 노력이다.

2023년 4월 18일, 유엔 총회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사회연대경제 활성화’ 결의안을 채택했다. 그러면서 사회연대경제에 적합한 구체적인 법 체계를 개발하고, 가능하다면 국가 통계 작성에서 사회연대경제의 기여를 가시화할 것을 권고한 바 있다.

이번 통계는 사회적경제의 2022년 실적을 다루고 있으며 매년 발표되는 통계연감과 통계 자료를 총합해 정리한 것이다. 통계대상은 기본법협동조합, 사회적기업, 자활기업, 농업협동조합, 수산업협동조합, 신용협동조합, 새마을금고,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이다.

통계에 따르면 국내 사회적경제 조직의 수는 3만2012개다. 협동조합이 75%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그 뒤를 사회적기업(11%), 새마을금고(4%)가 잇는다. 국내 전체 기업 수는 805만개로, 사회적경제의 비중은 0.4%가량이다.

사회적경제 기업은 총 25만명을 고용하고 있다. 이중 협동조합의 고용인원이 7만3922명(29%)으로 가장 많다. 그 뒤로 사회적기업(6만7633명), 농협(6만4682명) 순서다. 국내 전체 기업 종사자 수는 2341만 명으로, 사회적경제 종사자는 1.1% 정도를 차지한다.

자산 규모에 대한 통계 결과도 발표됐다. 사회적경제 조직의 자산 규모는 2022년 기준 1214조 원이며, 국내 전체기업 자산(1경8069조원)의 6.7%를 차지한다. 농협 자산이 632조7561억원(52.12%)으로 과반수를 차지했으며, 이어 새마을금고(370조9216억원, 30.55%), 신협(143조3624억, 11.81%) 순이었다. 협동조합의 자산규모는 3조8130억원으로 비중이 0%에 그쳤다.

국내 사회적경제 조직의 부가가치는 60조 원이며, 자산 규모와 비슷하게 농협(74.98%)의 몫이 크다. 사회적기업의 부가가치는 2조2748억(3.82%), 협동조합의 부가가치는 1조3650억원(2.29%)다. 국내 총 부가가치는 1976조원으로 사회적경제는 3%를 차지한다.

정지영 한국협동조합연구소 사회적협동조합 소장은 “금융사업을 제외하면 사회적경제가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아직 크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사회적경제 조직의 경제적·사회적 영향력을 중장기적으로 키워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지영 소장은 소셜벤처, 사회적농장, 산림조합, 중소기업협동조합 등이 공개된 자료가 없어 이번 통계에는 빠졌지만, 사회적경제 조직으로서 의미 있는 규모와 영향력을 가진 만큼 이들을 포함하도록 통계 조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11월 5일 오전 국회에서 제6회 대한민국 사회적경제박람회의 일환으로 ‘사회적경제 통계연구포럼’이 열렸다 . /채예빈 기자

한편, 11월 5일 개최된 제6회 대한민국 사회적경제박람회에서는 오전에 6개의 토론회가 동시에 진행됐다. 이번 통계연구 포럼 또한 사회적경제박람회의 일환이다.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의원실과 대한민국사회적경제박람회 추진단, 한국사회적경제연대회의연구소, 한국협동조합연구소 사회적협동조합이 함께 주최했다. 포럼에서 사회적경제 통계의 중요성과 이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이 논의됐다.

윤길순 성공회대 사회적경제대학원 강사는 이번 통계 초안이 정부가 사회적통계를 다시 만들도록 하는 압력이 될 수 있으며, 이후 발전된 통계는 사회적경제기본법 제정의 발판이 된다고 밝혔다. 사회적경제기본법은 2014년 19대 국회부터 21회 국회까지 발의와 폐기를 반복하고 있다.

최준규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사회적경제 통계는 목적과 유형에 따라 다양한 통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 선임연구원은 “전체 사회적경제를 포착하고자 한다면 국가가 중심이 돼 전수조사할 수 있다”며 “지역 통계의 경우 관찰과 조사를 바탕으로 지역의 특수성을 담아야 한다”고 말했다.

채예빈 더나은미래 기자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