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가 지역별 탄소배출량과 흡수량을 확인할 수 있는 ‘탄소공간지도’를 구축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날 국토부는 탄소공간지도 표준모델 구축 방안을 발표하고, 도시·환경 전문가들과 함께 정책간담회를 열어 탄소공간지도 구축·활용 방안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탄소공간지도는 지역의 공간 단위를 기반으로 탄소의 배출·흡수량 정보를 시각화, 지도화한 것을 뜻한다. 탄소중립형 도시계획 수립과 탄소중립도시 조성 등에 활용된다.
국토부는 “기존에 제공하던 에너지, 산업, 수송, 건물 등 배출원별 탄소배출량 정보로는 지역과 도시 차원의 탄소배출량을 정확히 측정하거나 관리・개선하기 어렵다”며 지도 구축 배경을 밝혔다.
탄소공간지도에는 건물·수송 부문 에너지 정보를 토대로 산출된 탄소배출량 데이터와 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도시 내 공원, 녹지 등 토지용도별 공간 정보도 담길 예정이다.
국토부는 탄소공간지도의 정확성과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 데이터와 연계하고,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한다. 국토이용정보 통합플랫폼(KLIP),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 등 기존 정보와 연계해 탄소공간지도에 정기적으로 토지이용 현황, 교통량 변화, 인구변화 등을 반영할 예정이다.
제작된 지도는 정부가 도시별 탄소중립 수준을 파악하고 탄소중립기본법에 따라 탄소중립도시를 선정해서 지원하는 데 활용된다.
탄소공간지도 서비스는 표준모델 구축과 정책 활용 방안 마련 과정을 거쳐 내년 상반기에 제공된다.
길병우 국토부 도시정책관은 “탄소공간지도는 기존 탄소 배출원 중심 접근에서 벗어나 지역, 도시 등 공간 단위 중심의 통합적 접근이 가능하게 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탄소공간지도를 기반으로 지역 특성이 반영된 탄소중립형 도시계획을 수립하도록 해 전 국토의 탄소중립 달성을 가속화 할 것”이라고 밝혔다.
황원규 더나은미래 기자 wonq@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