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세계적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등 비재무적 요소를 고려하는 지속가능투자가 급성장하는 가운데 국내 금융사들도 본격적인 ESG 경영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4일 삼정KPMG가 발간한 ‘금융과 ESG의 공존: 지속가능한 금융회사의 경영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지속가능투자 시장규모는 지난 2012년 13조2000억달러(약 1경5000조원)에서 지난해 말 기준 35조3000억달러(약 4경400조원)로 8년 새 2.7배 뛰었다. 지속가능투자의 자산 형태를 살펴보면, 2018년 기준으로 주식이 절반을 웃도는 51%를 차지했고 이어 채권 36%, 부동산 3%, PE·VC(사모펀드·벤처캐피탈) 3% 순이었다. 보고서는 “2016년에는 주식과 채권 비율이 97%에 이르렀지만, 점차 부동산이나 사모펀드, 벤처캐피탈 등 부문에서도 ESG 요소를 고려한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ESG를 고려한 채권과 대출도 성장세다. 글로벌 ESG채권과 대출을 합친 규모는 2017년엔 2395억달러였는데, 2020년에는 7898억달러로 3년 새 230% 이상 증가했다. ESG 채권 가운데서는 친환경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녹색채권(Green Bond)이 4년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해왔다. 특히 지난해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사회 안전 등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사회문제 해결에 투자하는 사회적채권(Social Bond)의 발행액이 전년 179억달러에서 1551억달러로 9배가량 급증하는 모습을 보였다. 국내에서도 지속가능투자는 성장하고 있다.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우정사업본부 등 국내 주요 연기금의 국내 ESG 투자 규모를 살펴보면 2017년 7조2000억원에 불과했던 시장이 103조원까지 4년 만에 14배가량 급성장했다. 국내에 상장된 ESG 채권 규모도 2018년 말 1조3000억원에서 지난 6월말 124조4000억원으로 약 99배 늘었다. 보고서는 “국내 금융회사들이 글로벌 금융회사들 수준의 ESG 경영전략을 펼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5월 기준 MSCI(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