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역에서 채소 키워 판매·유통느린학습자 9명 교대 근무로 운영 장마가 끝나고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된 7월 마지막 날. 부산 거제해맞이역 지하철 역사에 설치된 스마트팜 ‘올치(Allchee)’에서는 다 자란 채소들이 푸른 빛을 자랑하고 있었다. 느린학습자인 허모(25)씨는 2m 높이의 수경재배 스마트팜에서 채소를 정성스레 수확하고 있었다. 그는 “싱그러운 채소를 수확할 때 가장 보람을 느낀다”며 웃었다. 허씨는 이곳에서 5개월째 스마트팜 시설을 관리하고, 채소를 수확하고 있다. 채소 포장과 판매, 배송도 모두 허씨의 업무다. 채소로 샐러드와 샌드위치를 만들어 스마트팜 옆에 마련된 매장에서 팔기도 한다. 허씨의 꿈은 언젠가 스마트팜을 직접 만들어 사람들에게 수경재배 기술을 널리 알리는 것이다. “이곳에서 다양한 업무 기술을 잘 배워서 나중에 저만의 수경재배 스마트팜을 차리고 싶어요” 스마트팜 운영은 협동조합 ‘매일매일즐거워’가 맡고 있다. 이곳 외에도 매일매일즐거워가 관리하는 스마트팜은 총 10곳. 발달장애인을 포함한 느린학습자 총 9명이 하루 3~4시간씩 교대로 일한다. 매일매일즐거워는 2014년 자폐성 발달장애 아동을 둔 부모들이 ‘자폐성 장애인과 느린학습자들에게 즐거운 매일매일을 만들어주고 싶다’는 따뜻한 마음을 모아 설립한 단체다. 처음에는 물놀이 등 즐거운 놀이를 하는 공동체였지만, 차츰 느린학습자들을 위해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는 교육기관으로 발전했다. 2019년에는 느린학습자 아동·청소년이 사회에 진출할 나이가 됐을 때,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주기 위해 느린학습자 청년들이 관리하는 스마트팜 운영을 시작했다. “느린학습자를 위한 경제적 자립 모델을 고민하던 중, 부산 연제구에서 스마트팜 지원 사업을 한다는 걸 알게 됐어요. 부산 화신사이버대학교 주차장에 컨테이너 2개 동을 설치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