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인도 전역이 들썩였습니다. 인도 사상 두 번째로 최하층 ‘불가촉천민’ 출신인 대통령이 탄생한 거지요. 최하층 카스트인 ‘하리잔’ 출신인 람 나트 코빈드 대통령은 “하루하루 힘겹게 생계를 이어가는 모든 국민을 대표하겠다”며 카스트제도 혁파에 의지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카스트제도는 법적으로만 금지됐을 뿐 여전히 사회적으로 용인되고 있어요. 대부분의 주(州)에서 카스트 증명서를 발급하거나 아예 주정부 신분증에 카스트를 기입하는 경우도 있는 등 헌법조항은 잘 지켜지지 않죠. ◇불가촉 천민의 땅 ‘찬드라반’ 아직 인도에는 1억명의 카스트 최하위층이 차별과 가난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이들은 계급에 따라 정해진 직업만 가질 수 있으며 교육, 주거, 문화 등 많은 부분에서 제한적인 삶을 살아가고 있어요. 인도의 찬드라반 마을 주민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인도 중부 도시 오르차(Orchha)에서 차로 30분 정도 떨어진 이 마을에는 불가촉천민들이 모여 살고 있어요. 이 마을은 경제, 사회적으로 매우 낙후되어 생필품을 파는 가게, 병원, 학교 등 필수 시설이 전무하답니다. 또 타 지역의 차별 때문에 주민이 마을 밖을 나서기도 어렵다고 해요. 그러나 찬드라반의 주민의 최대 고민은 바로 ‘아이들’입니다. 부모의 직업을 물려받기 때문에 아이들은 교육의 기회를 전혀 가질 수 없어요. 부모의 부재로 길거리를 떠도는 아이들도 많았죠. ‘우리 아이, 마을 아이들이 안전하고 잘 자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주민들은 고민하고 또 고민했습니다. “쓰레기장 청소, 빨래터 일꾼 등 부모님의 업을 그대로 이어 받아야 하는 아이들에게 학교과 공부는 사치일 뿐이에요. 심지어 교육은 커녕 방치된 채 자라는 아이들도 많아요. 위험한 일을 많이 하는 불가촉천민들은 일을 하다가 목숨을 잃는 일이 종종 있기 때문이죠.”(유지향 아시안프렌즈 간사) ◇꿈을 가진 적 없는 아이들… 도움의 손길과 마주하다 ‘꿈이라는 단어를 모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