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팩트 생태계에는 수많은 좋은 조직과 모델이 존재한다. 혁신적인 실험이 이어지고 있고, 의미 있는 성과들도 적지 않다. 하지만 이들의 노력은 좀처럼 사회 시스템의 변화로 연결되지 않는다. 마치 ‘성공하는 실패’가 반복되는 듯한 양상이다. 이 같은 간극은 여러 요인에서 비롯된다. 대표적인 것이 단기 성과 증명의 함정이다. 대부분의 투자나 보조금은 3년 이내에 눈에 보이는 성과를 요구한다. 이에 따라 임팩트 조직들은 장기적 변화보다는 측정 가능한 단기 지표에 집중하게 된다. 확장성의 딜레마도 문제다. 뛰어난 모델조차 규모를 키우는 과정에서 효과가 희석되거나 비용이 급증하며, 결국 ‘복제’는 되지만 ‘시스템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그 결과, 개별 조직이 고군분투해도 그 노력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선순환 구조는 좀처럼 만들어지지 않는다. 지금까지 우리는 주로 “어떤 조직이 가장 혁신적인가?”, “누가 더 좋은 모델을 갖고 있는가?”에 집중해왔다. 그러나 이제는 질문을 바꿔야 한다. “이 문제를 구조적으로 어떻게 끝낼 것인가?” 그 대답 중 하나가 프로젝트 파이낸싱(Project Financing, 이하 PF)이다. ◇ 전환의 키워드, PF PF의 핵심은 개별 조직의 수익성이나 신뢰도가 아니라, ‘프로젝트 자체의 목적과 수행 방식, 그리고 미래 수익 가능성’을 기반으로 자금을 조달한다는 점이다. 세계은행은 PF의 세 가지 특징을 제시한다. 첫째, ‘비소구 구조(Limited or No Recourse)’다. 프로젝트가 실패하더라도 대출기관은 프로젝트 자체의 자산과 현금흐름에만 상환 청구권을 갖는다. 이는 조직의 부담을 줄이고, 프로젝트의 타당성에 집중하게 만든다. 둘째, ‘계약 기반 구조(Contractual Arrangements)’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각 주체의 역할과 책임, 리스크 분담을 사전 계약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