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운 지구, 식지 않는 경고”…세계 환경의 날, 숫자로 본 기후위기 6월 5일은 세계 환경의 날이다. 1972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유엔 인간환경회의에서 국제사회가 지구 환경 보호를 위해 공동 대응할 것을 결의하며 제정했다. 환경의 날은 대중에게 환경 보전의 중요성을 알리고, 일상 속 실천을 독려하는 데 목적이 있다. 대한민국도 1996년부터 이를 법정기념일로 지정해 기념하고 있다. ◇ 1.55도 2024년 지구의 평균 온도는 산업화 이전(1850~1900년)보다 약 1.55도 상승했다. 세계기상기구(WMO)에 따르면, 이는 지구 지표면 온도가 관측 175년 역사상 가장 높았던 해로 기록됐다. 국제사회는 2015년 파리협약을 통해 지구 평균 기온 상승 폭을 1.5도 이하로 제한하자고 약속한 바 있다. 마지노선이 깨졌지만, 이는 일시적 현상이며 장기적 관점에서는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는 관측이다. 다양한 기후변화 지표도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가장 최근 연도인 2023년의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420(±0.1)ppm으로, 산업화 이전보다 151% 증가했다. 이는 지난 80만 년 동안 가장 높은 수치다. 해수면도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다. 2024년 지구 평균 해수면은 위성 관측이 시작된 1993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 4170억 달러 2024년, 전 세계적으로 자연재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4170억 달러(한화 약 570조 원)에 달했다. 이는 지난 10년 평균 대비 15% 증가한 수치다. 보험 중개회사 갤러거 리는 이 같은 내용을 발표하며 전체 손실의 63%가 보험으로 보장되지 않았다고 짚었다. 또한 지구 온도가 1도 상승할 때마다 전 세계 GDP가 최대 12% 감소할 수 있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