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지 선정 ‘세계 가장 지속가능한 기업’ 1위 지속가능성을 전략·보상 체계에 내재화 “성과와 지속가능성은 대립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 관계입니다.” 장-파스칼 트리쿠아르(Jean-Pascal Tricoire) 슈나이더 일렉트릭(Schneider Electric) 이사회 의장은 19일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한국협회가 주최한 ‘ESG 거버넌스 리더십 조찬 간담회’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2006년부터 2023년까지 최고경영자(CEO)를 맡으며 회사를 디지털·전기화 중심의 글로벌 기술기업으로 탈바꿈시킨 주역으로, 이날 발언은 슈나이더가 2005년 ‘지속가능성 바로미터’를 도입한 이후 약 20년간 축적해온 전략을 증언처럼 풀어낸 것이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프랑스에 본사를 둔 에너지 관리·자동화·디지털화 전문 글로벌 기업이다. 스마트 인프라, 친환경 빌딩, 데이터센터, 산업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며, ‘라이프 이즈 온(Life Is On)’이라는 철학 아래 에너지와 자원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면서 지속가능성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 세계 100여 개국에서 16만 명 이상이 근무하며, 2024년 매출은 약 381억 유로(한화 약 61조 8200억 원)에 달했다. ◇ 경영 전략에 통합하고, 인센티브와 연동까지 트리쿠아르 의장은 기후위기의 핵심이 ‘에너지’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앞으로 2050년까지 전력 접근성이 없는 10억 명과 불안정한 상태의 20억 명을 포함해 총 50억 명에게 안정적 에너지 공급을 보장하는 동시에, 에너지 시스템의 탄소중립 전환을 달성해야 한다”며 “진보의 출발점은 에너지 접근이며 이는 인권”이라고 말했다. 슈나이더는 지속가능성을 별도의 부속 개념이 아닌 ‘경영 전략 그 자체’로 통합했다. 핵심 해법은 ▲디지털화(스마트빌딩·스마트시티·스마트팩토리 등 효율성 강화) ▲전기화(저탄소 전력원 확대)다. 그 결과 타임(Time)지와 데이터 기업 스타티스타(Statista)가 선정한 2025년 ‘세계에서 가장 지속가능한 기업’ 1위에 올랐고, 코퍼레이트 나이츠(Corpo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