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동계스포츠 지원사업] 8년간 국가대표팀 전폭적 지원스포츠 불모지에서 금메달 영웅 탄생 스포츠 선수들이 좋은 성적을 내기 위해선 개인의 노력만큼이나 훈련 장비도 중요하다. 유니폼부터 신발까지 장비 하나하나가 메달 색깔을 좌우하기 때문이다. 특히 육상·수영·태권도 등 맨몸으로 하는 하계스포츠와 달리 동계스포츠는 썰매·보드 등 장비를 이용해 경쟁한다. 그렇다 보니 최첨단 소재와 기술이 적용된 고가 장비가 대부분이다. 대한봅슬레이스켈레톤경기연맹 관계자에 따르면 스켈레톤 썰매 한 대는 1500만원가량이며, 선수들은 평균 1~2년 주기로 썰매를 교체한다. 유니폼 역시 공기저항을 최소화하고 체형에 맞춰 제작되기 때문에 수백만원에 달한다. 필수 장비들이 수백, 수천만원에 이르는 탓에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한국 대표팀은 자체 썰매를 갖지 못했다. 현장 관계자들은 썰매 종목 출전 선수들을 위한 훈련장도 국내에 별도로 마련돼 있지 않아 선수들이 전지훈련차 다른 나라에 가서 중고 썰매를 빌려 대회에 나갔다고 설명했다. 비인기 종목으로 분류되는 동계스포츠는 대중과 스폰서의 관심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정부의 지원만으로는 국가대표팀을 꾸리고 운영하기도 버거운 상황이다. 비인기 종목 장기 후원 했더니… ‘金’ 나오더라 동계스포츠는 북미·유럽 국가들의 전유물이었다. 1924년 프랑스 샤모니에서 첫 동계올림픽이 개최된 이후 노르웨이·러시아·캐나다·미국 등이 항상 최상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1992년 제16회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에서 첫 메달을 획득했다. 지금은 쇼트트랙과 스피드스케이팅, 피겨스케이팅 등 여러 종목에서 두각을 보인다. 최근에는 컬링, 스노보드, 스켈레톤 등 국내에서 주목받지 못한 비인기 종목에서도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한국은 지난 30년간(1992~2022년) 동계올림픽에서 메달 총 79개를 획득했다. 올림픽이 4년에 1회 개최되는 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