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을 지원하는 단체가 전국 곳곳에 흩어져 있는데, 이렇게 한 자리에 모인 건 처음입니다.” 지난 28일 서울 영등포구 켄싱턴호텔에서 열린 ‘다문화가정 지원기관 포커스그룹 인터뷰(FGI)’에서 박승호 포천하랑센터장이 운을 띄웠다. 이날 인터뷰는 이랜드재단이 다문화가정 지원기관 관계자들에게 현장의 어려움을 듣기 위해 마련했다. 박 센터장은 “당사자를 가장 가까이서 돕는 사람끼리 정보를 주고 받으면 더 효율적인 지원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랜드재단은 다문화가정 등 새로운 복지 사각지대를 메우기 위한 플랫폼 구축에 나선다. 사각지대의 당사자를 돕는 단체들이 교류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참석자는 다문화가정 지원기관 8곳 관계자 11명이었다. ▲박승호 포천하랑센터장 ▲김한수 할렐루야 교회 사회복지부 팀장 ▲이미화 수원성교회 권사 ▲임연희 수원성교회 집사 ▲김성기 서울예수마음교회 목사 ▲정종원 프래밀리 대표 ▲김성은 프래밀리 대표 ▲박옥식 한국다문화청소년협회 이사장 ▲권은주 광주이주민나눔센터 대표 ▲조혁래 광주이주민나눔센터장 ▲황선영 글로벌한부모가족센터 대표가 한 자리에 모여 의견을 나눴다. 다문화가정은 내국인과 외국인이 결혼해 이룬 가정을 뜻한다. 여성가족부 ‘2021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결혼이민자·귀화자는 30만5064명이며, 이 중 82.5%가 여성이다.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가구 비율은 6.4%로 2015년 5.1%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김혜연 이랜드재단 팀장은 “결혼이주여성의 42%는 가정폭력을 경험했으며, 경제 생활과 자녀 교육 등에서도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며 “다문화가정이 겪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일선에서 이들을 돕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장관계자들은 지원이 가장 필요한 대상으로 중도입국자와 다문화 한부모 가정을 꼽았다. 박승호 포천하랑센터장은 “부모의 결혼으로 중도입국하는 청소년이 증가하고 있다”며 “이들이 겪는 정체성 혼란은 심각하다”고 말했다. 이어 “문화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