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그라미재단 2016년 직원 채용

동그라미재단 2016년 직원 채용 <채용 개요> ● 주요 담당업무 1. 공간사업을 포함한 다양한 재단 사업을 광주, 전남 지역에서 담당 2. 광주, 전남지역에 온/오프커뮤니티 구축과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운영 ● 근무지: 광주 ● 근무일: 주 5일 근무(상황에 따라 주말 근무 포함) ● 우대사항 1. 재단의 미션과 비전에 공감, 비영리 부분에 대한 관심 2. 공익사업 및 공간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경험 3. 경력 8년 이상 4. 광주, 전남지역에서의 다양한 휴먼 네트워크를 가지신 분 5. 다양한 사람들과 원활하고 따뜻하게 커뮤니케이션 하실 수 있는 분 6. 지역사회를 사랑하고 지역을 위해 일하고 싶은 분 7. “한 오지랖 한다” 는 말을 주변사람들로부터 들으시는 분 ● 급여 및 근무조건 1. 급여: 재단 내부규정에 따름 2. 근무형태: 계약직(2년 후 평가에 따라 정규직 전환) 3. 복리후생제도 -연금/보험: 4대 보험 -의료/건강: 건강검진(연 1회, 배우자까지 지원) -기타: 통신비 및 자기계발비 지원 등 ● 전형과정 및 일정 – 전형과정: 서류접수 → 면접(실무진/동료/임원진*) → 최종 합격자 발표 * 임원진 면접은 PT 면접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 서류접수: 2016년 9월 8일(목) ~ 10월 3일(월) 자정까지 – 서류합격, 최종합격 및 면접일정은 개별 통보 ● 원서접수 및 지원시 제출서류 – 접수방법: 온라인 입사지원 *인크루트 사이트를 통한 인터넷 접수만 가능함 (방문접수/우편접수/e-mail 접수 불가) – 제출서류 ① 입사지원서 1부 (재단양식, 문서제목 “[입사지원서] 광주_이름_생년월일”) ② 자기소개서 1부 (재단양식, 문서제목

동그라미재단 2016년 직원 채용

동그라미재단 (구, 안철수재단) 2016년 직원 채용 ● 주요 담당업무1. 공간사업을 포함한 다양한 재단 사업을 부산, 영남 지역에서 담당2. 부산, 영남지역에 온/오프커뮤니티 구축과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운영 ● 근무지: 부산● 근무일: 주 5일 근무(상황에 따라 주말 근무 포함) ● 우대사항 1. 재단의 미션과 비전에 공감, 비영리 부분에 대한 관심 2. 공익사업 및 공간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경험3. 부산, 영남지역에서의 다양한 휴먼 네트워크를 가지신 분4. 학생 또는 직장에서 쓸 데 없는 생각, 또는 말도 안되는 말이라고 갈굼 당해보신 분 5. “한 오지랖 한다” 는 말을 주변사람들로부터 들으시는 분 6. 지치고 힘들 때 웃으면서 함께 넘길 수 있는 분 7. 다양한 사람들과 원활하고 따뜻하게 커뮤니케이션 하실 수 있는 분8. 지역사회를 사랑하고 지역을 위해 일하고 싶은 분 ● 급여 및 근무조건1. 급여: 재단 내부규정에 따름2. 근무형태: 계약직(2년 후 평가에 따라 정규직 전환)3. 복리후생제도– 연금/보험: 4대 보험– 의료/건강: 건강검진(연 1회, 배우자까지 지원)– 기타: 통신비 및 자기계발비 지원 등 ● 전형과정 및 일정– 전형과정: 서류접수 → 면접(실무진/동료/임원진*) → 최종 합격자 발표 * 임원진 면접은 PT 면접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서류접수: 2016년 9월 1일(목) ~ 9월 25일(일) 자정까지– 서류합격, 최종합격 및 면접일정은 개별 통보 ● 원서접수 및 지원시 제출서류– 접수방법: 온라인 입사지원인크루트 사이트를 통한 인터넷 접수만 가능함 (방문접수/우편접수/e-mail 접수 불가)– 제출서류① 입사지원서 1부 (재단양식, 문서제목 “[입사지원서] 이름_생년월일”)②

[보니따의 지속가능한 세상 만들기] 식사 하셨나요? 플라스틱을 드셨군요

플라스틱이 일상이 된 우리의 하루는 플라스틱으로 시작해, 플라스틱으로 끝납니다. 아침에 일어나 플라스틱 통에 담긴 샴푸와 세안제로 씻고,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칫솔로 양치질을 합니다. 플라스틱 냉장고 안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반찬통, 일회용 비닐랩에 싸여 있는 음식이 들어 있습니다. 출근길에 마시는 아이스 커피가 담긴 용기도, 자동차도, 우리가 하루 종일 사용하는 컴퓨터와 스마트 폰, 그리고 신용카드까지 플라스틱이 없다면 우리의 일상이 불가능했을지도 모를 일입니다. 이 많은 플라스틱, 모두 어디로 가고 있는 걸까요? ◇7번째 신대륙 19년 전, 북태평양을 항해하던 미국인 찰스 무어씨는 푸른 바다 위에 떠 있던 거대한 쓰레기 더미를 발견합니다. 그 규모가 워낙 커서 사람들은 이곳을 ‘7번째 신대륙’의 발견이라고 부를 정도였습니다. 쓰레기 섬의 90%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처음 발견됐을 당시, 한반도의 7배에 달했던 플라스틱 섬은 2009년 14배로 커졌습니다. 우리가 버리는 플라스틱은 이곳 저곳을 떠돌다 결국 바다로 흘러 들어가고 있었습니다. 2050년에는 바다에 물고기보다 플라스틱이 더 많아질 거라는 세계경제포럼의 발표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이 결과 바다에 사는 생물들은 지금, 가장 위태로운 삶을 살고 있습니다. 바다 거북의 죽음이 그 한 예라고 호주바닷새구조의 총 책임자 로셸 페리스는 말합니다. “죽은 바다거북의 장 밑바닥에서 317개의 플라스틱 조각이 나왔습니다. 바다거북을 죽음으로 이끈 것이 플라스틱이라는 것에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퀸즐랜드 대학교의 까마르 스카일러 박사는 자신의 연구를 통해 전 세계 52% 바다거북이 플라스틱 쓰레기를 뱃속에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호주의 해양산업연구소도 바닷새 90%의 소화

프로야구 10개 구단 사회공헌 분석<2>각 구단 나눔왕은?

프로야구 10개 구단, ‘나눔왕’은 누구? 순위 경쟁이 한창인 야구장에 훈훈한 소식들이 들려온다. 타율, 승수 등 자신의 성적에 비례해 기부를 하거나 뜻깊은 나눔 행사를 직접 기획하는 선수들이 꾸준히 늘고 있는 것. 프로야구 10개 구단이 직접 꼽은 ‘나눔왕’ 선수를 소개한다(가나다순). ♦KIA 타이거즈 ‘나눔왕’: 안치홍 선수     KIA타이거즈의 나눔왕은 내야수 안치홍 선수다. 현재 경찰청 야구단에서 군 복무중인 안치홍은 입단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기부를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2009년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과 ‘1안타 1도루 후원 협약(안타와 도루 1개당 1만원)’을 맺은 그는 현재까지 총 1092만원을 기부했다. 2011년부터는 기부금액을 스스로 상향 조정(1안타 1도루당 각 2만원)해 소외계층 야구 꿈나무 후원 활동을 펼쳤다. 이뿐만 아니다. 시즌 중 월간 MVP를 수상하면 상금의 절반을 적립해 광주 백선바오르의 집, 대한사회복지회 영아일시보호소 등 복지시설을 방문해 기금을 전달해왔다. ‘사랑의 경매 및 일일호프’ 행사를 2011년부터 2013년까지 매년 열어(KIA타이거즈 한기주, 두산 베어스 김현수 등과 공동) 수익금을 소아암 투병 및 보육원 아동, 독거 노인에게 전달한 것도 유명한 일화다.  ♦넥센 히어로즈 ‘나눔왕’: 이택근 선수  넥센 히어로즈는 지난해 1억원을 기부한 이택근 선수를 나눔왕으로 꼽았다. 그는 지난 시즌이 끝난 뒤, 경상남도 양산시에 위치한 물금고등학교와 원동중학교를 찾아 총 1억원 상당의 야구용품을 기부했다. 두 곳 모두 야구팀을 창단한 지 얼마 안된 ‘새내기’ 팀들이다. 2011년 전교생 45명으로 폐교 위기에 처했던 원동중은 야구부를 창단한 지 3년만에 대통령기 우승을 차지하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둔 강팀이기도 하다. 그러나

태국, 사회적 기업들이 꽃 피우다

태국에서 사회적 기업은 새로운 현상이 아니다. 하지만 이 나라의 불평등이 늘어가면서 긍정적인 사회적 효과와 경제 성장을 위한 방법으로 사회적 기업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늘고 있다. 태국에서 현대 사회적 기업의 움직임은 1974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방콕에 위치한 레스토랑 양배추와 콘돔(Cabbages and Condoms)사가 수익금을 성교육 관련 프로그램을 지원하는데 사용했었다. 또 다른 개척자는 도이텅(DoiTung)으로, 1989년 ‘메파렁파운데이션 언더 로얄 페트로네지(Mae Fah Luang Foundation Under Royal Patronage)’에 의해 시작된 프로젝트다. 이 프로젝트로 태국 북부지역 도이텅(Doi Tung) 지역의 일자리가 창출되고 지역경제가 성장했다. 그 기간에 황금의 삼각지대(태국, 미얀마, 라오스 접경지역)에 속해 있는 이 지역은 극심한 빈곤, 아편 재배와 중독, 무기 밀매매와 인신매매 등으로 황폐화 됐었다. 사회적 기업은 최상품의 커피, 직물, 수공예품, 가구, 여행 상품 등을 개발하며 고용과 임금을 증대시켰고 지역 경제의 재건을 이끌었다. 최근에는 IKEA에 납품 계약까지 이뤄냈다. 사회적 기업의 국제적인 성장의 힘입어 태국 정부는 2010년, 국가 부문 기관인 태국 사회적 기업 사무소 TSEO(The Thai Social Enterprise Office)의 설립을 후원했다. 그 이래로 사회적기업촉진법률을 제정해서 사회적 기업을 설립하는 기업에 세금 경감과 사회적 투자에 감세 혜택을 주고 있다. 태국은 체인지 퓨전(Change Fusion), 아쇼카 태국, NISE Corp(NISE Corporation)과 같은 사회적 기업과 스타트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역량 강화기관(Capacity Builder)의 본거지이다. 게다가 기업들이 사회적 기업의 설립과 투자, 후원하는 것의 관심을 늘리고 있다. 주요한 요인은 태국 증권거래소 덕분인데, 사회공헌 방법을 사회적기업으로 전환하는 기업들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기업의 윤리경영, 소비자 신뢰와 직결된다

유엔글로벌콤팩트 이사 올리버 교수  “이제 더 이상 기업은 소비자를 속일 수 없다.” 올리버 윌리엄스〈사진〉 미국 노트르담대 경영대학 교수가 ‘윤리경영(Ethical Management)’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36년간 노트르담대 기업윤리센터장을 맡았고, 2006년부터 유엔글로벌콤팩트(이하 UNGC) 이사로서 기업 윤리 기준 마련 및 확산에 힘써온 전문가다. 지난달 18일, 경희대가 전 세계 석학을 초청해 진행하는 GC(Global Collaborative) 프로그램 강연차 방한한 그를 만나 윤리경영의 트렌드를 물었다. ―옥시, 폴크스바겐 사태로 기업 윤리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윤리경영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기업이 잘못을 언제, 어떻게 인정하는지 살펴보라. 윤리경영이 소비자 신뢰와 직결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일본 자동차 부품회사 다카타(Takata)는 에어백 결함으로 사고가 난 직후, 자신들에게 잘못이 없다고 발뺌했다가 소비자들에게 엄청난 비난을 받았다. 폴크스바겐 사태는 UNGC 이사회 내에서도 엄청난 이슈였다. 그동안 폴크스바겐이 UNGC 멤버로 적극적으로 활동해왔기 때문에, 신뢰에 더 금이 갔다. 이사회 내에서 자격 박탈을 논의하던 중, ‘윤리경영을 강화한 후 다시 가입하겠다’며 자발적으로 탈퇴 의사를 밝혀왔다. SNS 등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해진 시대에 영원한 거짓말은 없다.” ―기업 윤리 강화를 위해 우선돼야 할 키워드는 무엇인가. “투명성이다. BP가 윤리경영의 모범 사례로 꼽히는 이유도 원유 유출 이후 투명한 정보공개와 소통 때문이었다. 사실 이는 미국의 비영리단체들이 해변에 가서 물고기·새 등 자연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일자리를 잃은 관광산업 종사자들을 인터뷰하는 등 대중에게 끊임없이 정보를 알리고 압력을 가한 덕분이었다. NGO가 시민 의식을 깨우고 여론이 형성되자 정부가 기업을 압박하는 메커니즘이 완성된 것이다. 윤리경영의 수준은

‘골칫덩이’에서 진정한 축구 선수가 된 아이들… “우승으로 보답할게요”

기아대책 희망월드컵 D-22 베트남 대표 선수단 진출 확정 후 격주 합숙 돌입… 응원 이어져 “한국 후원자에게 꼭 우승으로 보답하고 싶어요.” 골키퍼 타잉(13)군은 땀을 비 오듯 쏟아내며 말했다. 타잉군을 만난 건 지난달 27일, 베트남. 전 세계 10개국 기아대책 결연아동이 참가하는 ‘2016 기아대책 희망월드컵’ 참여를 앞두고 맹연습 중이었다. 오전 7시부터 시작된 연습경기 훈련은 그야말로 실전을 방불케 했다. 일 대 일 수비를 하다 잽싸게 공을 가로채기도 하고, 과감한 장거리 슈팅도 이어졌다. 그때마다 순간 속도 100㎞ 이상인 공을 백발백중 막아낸 타잉군. 손바닥은 이미 벌겋게 부어 있었다. 타잉군이 축구를 시작한 건 외로움 때문이라고 했다. 집 나간 아버지 대신 어머니는 먹고살기 위해 어린 타잉군을 홀로 두고 일을 나갔고, 그의 유일한 친구는 ‘축구공’이었다. 하지만 희망월드컵 대표팀에 뽑힌 후 전문 코치도 생기고, 한국후원자들 덕분에 ‘데뷔 무대’까지 갖는다는 생각에 타잉군은 요즘 하루하루가 설렘의 연속이다. “몇 달 전부터 한국어 공부도 시작했어요. 한국 후원자를 만나면 고마운 마음을 직접 전하며 이야기를 나누고 싶어서요.(웃음)”  ◇후원으로 새 삶 찾은 아이들… 희망월드컵으로 협력 배워가 타잉군을 포함해 베트남 대표단, 희망 FC의 선수 11명은 한국 후원자들과 일 대 일 결연을 맺은 게 ‘행운’같다고 한다. 팀에서 가장 빠른 여자선수인 리(14)양은 2009년 후원받기 시작해 2년 전 심장병을 고치고 올해 대표 선수단에 뽑혔다. 공격수 쭝(14)군도 7년 전부터 후원을 받으며, 집안에선 월남전 이후 처음으로 정규 교육을 받고 있다. 쭝군의 아버지 히오우(39)씨는

전화 한 통으로 허문 19개 언어 장벽

통역 자원봉사단체 ‘비비비 코리아’ 자원봉사자 4000여명 참여 24시간 무료 통역 서비스 제공 10년 이상 장기 봉사자 1000여명 다문화 가정 등 상담 역할까지 지난해 11월 밤 11시, 60대 태국인 여성이 한국행 비행기에서 갑작스레 사망했다. 시신 수습과 장례 절차 등이 시급했지만 동승했던 유가족은 공항에서 넋 놓고 눈물만 흘릴 수밖에 없었다. 어디서도 태국어가 통하지 않는 데다 한밤중 주한 태국 대사관과도 연락이 되지 않았던 것이다. 이때 항공사 직원이 바로 연락한 곳은 전화로 통역 자원 봉사를 해주는 비영리 단체 ‘비비비(BBB) 코리아’였다. 곧바로 10년 차 태국어 재능 봉사자인 김형규(51)씨가 연결됐다. 그는 직원에게 항공사 매뉴얼을 설명 들은 뒤, 유가족에게 앞으로 절차와 해야 할 일들을 상세히 통역했다. 김씨는 “자국어로 위로와 도움을 받자 유가족이 마치 지인을 만난 듯 참고 있던 슬픔들을 쏟아내며 울어 함께 마음이 착잡해졌다”고 당시를 기억하며 말했다. “통역은 단순히 언어만 전달하는 것이 아녜요. 미묘한 말 한마디로 오해가 풀리기도 하고 마음을 나누기도 합니다. 그렇게 언어 장벽을 넘어 문화 차이를 줄여나가는 게 BBB 코리아죠.” ◇19개 언어 24시간 통역 지원… 수만명 재능 기부자 힘 BBB 코리아는 2004년 설립돼 현재 영어·일본어·중국어는 물론 인도네시아어·몽골어 등 총 19개 언어를 365일 24시간 무료로 통역해준다. 이용도 대표번호(1588-5644)로 전화하거나 ‘BBB 통역’ 앱을 실행해 필요한 언어를 선택만 하면 즉시 통역자에게 연결돼 간편하다. 덕분에 해마다 이용자가 증가, 지난해에는 8만건의 통역이 이뤄졌다. 이 서비스를 이끌어가는 건 자원봉사자 4000여명이다. 모두

결승 D-7… 상금 30억의 주인공은?

구글 임팩트 챌린지 총상금 30억의 주인공을 가리는 ‘구글 임팩트 챌린지’ 결승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구글 임팩트 챌린지는 비영리단체들의 사회 혁신 프로젝트를 선발해 지원하는 사회 공헌 프로그램이다. 약 한 달 간의 프로젝트 공모 기간에는 370건이 넘는 지원서가 접수됐다. 이 중 심사를 거쳐 지난달 18일, 결승에 진출하는 10개 프로젝트를 공개했다. 결승에 선정된 프로젝트는 ▲임팩트 커리어(루트임팩트) ▲IT 교육 불균형의 해소(멋쟁이 사자처럼) ▲사상 최대 수업 프로젝트(미래교실네트워크) ▲교육의 기회를 나누다(사단법인 점프) ▲대안 신용평가 금융 플랫폼(사회연대은행) ▲스마트폰으로 지구 갯벌 보전(생태지평 연구소) ▲장벽 없는 세상 만들기(커뮤니티 매핑센터) ▲핸드 제작 워크숍(펀무브) ▲축복의 꽃을 기쁨의 꽃으로(플리) ▲똑똑한 기부 정보 플랫폼(한국가이드스타) 10개이다. (괄호 안은 비영리단체명, 기관 가나다순) 구글은 이 중 4개 프로젝트를 선정해 각 5억원의 지원금을 제공한다. 특별히 시민들의 온·오프라인 투표에서 최다 득표를 한 아이디어는 자동으로 우승 프로젝트에 선정된다. 한편 비영리 현장에서는 선정된 10곳에 대해 “결승에 오른 단체들이 중간 지원 기관에 쏠려 있다” “풀뿌리 시민단체 성향의 비영리단체가 거의 없다”는 목소리도 있었다. 이와 관련, 구글 측은 “심사 기준 중 4가지 부문(지역사회 영향력, 기술과 독창성, 확장성, 실현가능성)에서 골고루 높은 점수를 받은 프로젝트들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지난달 18일부터 시작된 투표는 첫 주에만 10만명이 참여했으며, 광화문 오프라인 시민 투표장에도 5000명 이상이 방문했다. 온라인 투표의 경우, 한 사람당 4개 프로젝트에 투표할 수 있는데, 본인이 투표한 비영리단체 4곳의 순위만 알 뿐 전체 순위는 드러나지 않는다. 투표 종료일(8월

77.7세부터 47세까지… 한 세대 차이 나는 이사회 평균 연령

최고령 이사회, 학교 법인 多數젊은 이사회 1위부터 3위는‘네이버’서 출연한 공익법인 100대 공익법인 중 이사회 평균 연령이 가장 높은 법인은 홍익학원(77.7세)으로, 가장 젊은 법인은 한국인터넷광고재단(47세)으로 드러났다. 한 세대(30세)만큼 차이가 났다. 이사회 평균 연령 최고(最高)법인 10위로는 홍익학원을 비롯해 한양학원(73.7세), 경희학원(71.8세), 계명대(69.9세), 가천학원(69.1세), 연세대(69.1세), 이화학당(67.3세) 등이 포진해있어, 학교 법인이 다수를 차지했다. 건국대(67세), 동국대(65.6세), 중앙대(65.5세), 포항공대(65.4세), 숭실대(65.2세), 현대학원(65세), 성균관대(65세)도 평균 이사 연령이 모두 65세 이상이었다. 한국인터넷광고재단(47세), (재)해피빈(47.8세), 네이버문화재단(51세) 등 이사회가 젊은 공익법인 1위부터 3위까지 모두 네이버에서 출연한 공익법인이다. 한국인터넷광고재단은 네이버가 2014년 인터넷의 선정성 광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3년 동안 총 200억을 출연한 공정거래위원회 산하 공익 재단법인이며, 해피빈은 국내 최초의 온라인 기부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는 네이버의 사회공헌 재단, 네이버문화재단은 문화예술 사회공헌을 중심으로 하는 비영리 재단이다. 정연아(46) 네이버 법무 이사는 한국인터넷광고재단의 이사직과 해피빈, 네이버문화재단 등 2곳의 감사를 동시에 맡고 있다. 기업 재단 중 이사회 평균 연령이 가장 높은 곳은 삼성복지재단(66.4세)이었다. 그 외에 홈플러스 이파란재단(65.6세), 아산정책연구원(64.7세), 포스코교육재단(64.6세), KB금융공익재단(61.7세), 삼성생명공익재단(61.6세), 삼성문화재단(61.1세), 이랜드복지재단(61.1세) 등 대기업 출연 재단의 이사회 평균 연령은 대부분 60세 이상이었다. 기업 재단 중 상대적으로 이사진이 젊은 곳은 CJ나눔재단(57.6세), 행복나눔재단(58세)으로 집계됐다. 사회복지법인 중에서는 32명의 최다(最多) 이사로 구성된 한국사회복지협의회(70.8세)와 법정모금기관인 사회복지공동모금회(67.9세), 홀트아동복지회(67.3세)의 이사회 평균 연령이 높았다. 반면 젊은 사회복지법인으로는 한국컴패션(54.8세), 아이들과미래(55.8세), ㈔한국사회복지관협회(56.8세)가 꼽혔다. 모금액 10위 안에 속하는 대표적인 사회복지법인의 이사회 평균 연령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62.9세), 유니세프(61.7세), 월드비전(60.3세), 굿네이버스 인터내셔널(59.5세) 순으로

우리나라 비영리단체 여성 리더는?

1세대 박동은·강명순 신인숙 등 차세대로는 이혜영 떠올라 우리나라 비영리단체 여성 리더에는 누가 있을까. 박동은(81) 한국아동단체협의회 회장은 대표적인 우리나라 1세대 여성 비영리 리더다. 1988년부터 2015년까지 총 27년을 ‘유니세프 한국위원회’에서 근무하며, 사무총장·부회장까지 지냈다. 강명순(64) 부스러기사랑나눔회 이사장도 여성 리더 1세대 중 한 명이다. 강 이사장은 대학 시절 빈민 운동에 뛰어들었다가 1986년 부스러기선교회를 창립, 그해 12월 1000만원으로 발족한 부스러기선교회를 부스러기사랑나눔회로 발전시켰다. 신인숙(67) 하트하트재단 이사장도 여성 비영리 리더 중 한 명이다. 수출용 봉제 완구를 만들던 남편 회사의 ‘하트베어’가 미국에서 인기를 끌며 예상치 못하게 큰돈을 번 것이 계기가 되어 기부를 시작했다가 아예 사회복지대학원에 진학, 졸업과 함께 만든 재단이 바로 ‘하트하트재단’이다. 1988년 설립 이후 올해로 28년째 재단을 이끌고 있다. 이혜원(66) 중부재단 이사장 역시 2003년 남편과 함께 개인 재산 30억원을 출연해 중부재단을 설립했다. 남편 김항덕(전 SK그룹 부회장) 중부도시가스 회장은 매년 영업이익의 5%를 재단에 기부한다. 함께걷는아이들 이사장이자 들꽃청소년세상 공동 대표인 조순실(59) 대표는 지난 4월, 들꽃청소년세상의 공동 대표인 남편 김현수(61)씨와 함께 20여 년간 거리 청소년을 보살펴 온 공로로 호암상 사회봉사부문을 수상했다. 함께걷는아이들에서는 2010년부터 10년간 이사장으로 재단 운영 전반을 책임지고 있다. 1세대가 대체로 사회복지 외길을 걸었다면 차세대 여성 리더들은 배경이 훨씬 다양하다. 이혜영(39) 아쇼카한국 대표가 대표적이다. 2005년, 중국 내 탈북 여성과 아동을 돕는 인권 단체인 ‘바스피아’를 만들어 활동했던 이 대표는 2013년부터 사회혁신가를 발굴·지원하는 아쇼카한국 대표를 맡고 있다. 지경영(43) 옥스팜코리아 대표는 영리기업

가족사랑 사생대회 개최

  문화체육관광부가 후원하고 조선일보 더나은미래가 주최하는 ‘국민행복캠페인’의 일환으로 ‘가족사랑 사생대회’가 개최됩니다.  오는 9월 3일 서울숲 공원 가족마당에서 개최되는 본 사생대회는 ‘우리 가족의 행복한 모습’을 주제로 진행됩니다. 유아 및 초등학생을 자녀로 둔 가정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사전 참가 신청은 9월2일까지 홈페이지(http://edu.chosun.com/art)를 통해 할 수 있으며, 우수 작품에 대해서는 11월 12일 열리는 ‘국민행복캠페인’ 갈라쇼에서 시상식을 진행합니다.  국민 여러분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문의: 02) 724-7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