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발전 수익성 10년 내 상실”…앨 고어, 이재명 대통령에 서한

2030년대 초 탈석탄 촉구…“2035년 NDC 최소 60% 감축해야”
“한국, 기술·경제력 감안하면 기후 리더십 충분히 가능”

앨 고어 전 미국 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에게 조기 탈석탄과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강화를 촉구했다. 그는 한국이 경제력과 기술력에 걸맞은 기후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며, 석탄 퇴출 시점을 2030년대 초반으로 앞당기고 2035년 NDC를 최소 60% 감축으로 설정할 것을 제안했다.

고어 전 부통령은 1993년부터 2001년까지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 임기 동안 제45대 부통령을 지냈다. 퇴임 후에는 환경운동에 몸담으며 2007년에는 지구 온난화와 그에 따른 환경 파괴의 위험성을 환기한 공로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IPCC)과 함께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앨 고어 전 미국 부통령이 유엔 총회를 찾은 이재명 대통령에게 조기 탈석탄과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60% 이상 설정을 제안하는 서안을 보냈다. /앨 고어 홈페이지 갈무리

고어 전 부통령은 “한국의 기술 역량과 정책 추진력을 고려하면 2030년대 초 탈석탄은 충분히 가능한 목표”라며 “구체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계획을 내놓으면 국제사회에 ‘탈석탄은 가능하고 유익하다’는 신호를 보낼 수 있다”고 밝혔다.

고어 전 부통령은 또 새 정부 출범 이후 한국이 국제무대에서 보여온 리더십을 높이 평가했다. 2028년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3), 유엔 해양회의, G20 정상회의 등 주요 국제회의 개최 추진과, 청정에너지장관회의(CEM) 및 APEC 정상회의 참여를 “국제사회에 고무적인 신호”라고 언급했다.

이어 그는 한국 정부의 청정에너지 확대 계획에도 주목했다.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설비 용량을 35GW에서 78GW 이상으로 두 배 이상 확대하고, ‘에너지 고속도로’를 통해 송전망을 확장하려는 정책은 전력 수요 증가와 국제 기후 규제 대응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바라봤다.

그는 이미 탈석탄을 완료한 영국·아일랜드·핀란드, 2020년대 후반 퇴출을 앞둔 이탈리아·그리스 사례를 언급하며 “한국도 충분히 선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충남대·탄소트래커이니셔티브 연구 결과를 인용해 “국내 석탄발전소 대부분이 향후 10년 내 수익성을 잃는다”며 2028년 단계적 폐지는 기술·경제적으로 모두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특히 그는 최근 헌법재판소가 “미래 세대의 권리를 보호해야 한다”고 판결한 점을 언급하며 “한국의 장기 기후 전략에 이를 명확히 반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유엔 총회 기간 중 조기 탈석탄을 발표하면 한국이 청정에너지 전환을 주도할 준비가 돼 있음을 알리는 강력한 신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채예빈 더나은미래 기자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