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유니버스] 청년은 미래세대인가, 현재세대인가

기후 관련 공론장에 참석하면 늘 빠지지 않는 말이 있다. “미래세대를 위한다.” 이 말은 청중의 공감을 끌어내는 일종의 ‘치트키’처럼 통한다. 곧이어 “미래세대를 대표하는 청년들”이라는 수식도 자연스럽게 뒤따른다. 필자 역시 여러 번 이런 자리에 섰지만, 그때마다 느끼는 묘한 머쓱함은 아직도 익숙해지지 않는다. 왜일까.

◇ 미래세대, 어디까지 포함되나

먼저, 미래세대는 누구인가. 국립국어원은 이를 “사회를 이끌어 갈 어린세대, 또는 앞으로 태어날 세대”로 정의한다. 범위를 좁히면 6세 미만의 영유아에서, 넓게는 10~20대 청소년과 20~30대 청년까지 해당된다. 2024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인구 5100만 명에서 0세~34세 이하 인구는 약 1700만 명이다. 다시 말해, 생물학적 인구로 구분하자면 3명 중 1명(33%)이 미래세대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미래세대를 ‘대표한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 이는 단순히 나이가 어리다는 의미를 넘어, 아직 태어나지 않은 세대의 이익까지 고려하는 행위로 이해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나이가 아니라 판단 기준이 미래 지향적이냐는 점이다. 젊더라도 소비만 좇는 이른바 ‘욜로(YOLO)족’은 대표성을 갖기 어렵다. 반대로 나이가 많더라도 기후 대응을 위해 현재의 비용을 기꺼이 감당한다면, 오히려 미래세대의 이해를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청년이 미래세대를 대표한다는 명제는 그럼 틀린 것일까? 그것은 아니다. 스웨덴의 기후활동가 그레타 툰베리는 16세에 ‘기후 결석 시위’에 나섰고, 이는 전세계적 기후 파업으로 확산됐다. 그 결과 각국 정부는 앞다퉈 2050 탄소중립을 선언했고, 대중의 행동 문턱도 낮아졌다. 지난해 8월에는 탄소중립기본법의 헌법불합치 판결이 내려지며, 한국이 아시아 최초로 기후소송에서 승소하는 이정표를 세웠다. 이 모든 변화를 견인한 주체는 다름 아닌 청소년과 청년이었다. 책임 있는 기성 권력을 움직여 실질적 변화를 이끈 것이다.

◇ 청년, 대표성의 빛과 그림자

그러나 청년이 곧 미래세대를 대표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청년층의 삶이 갈수록 불안정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청년 세대의 경제적인 삶의 상태를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19~34세 중 고용·소득·사회보험 등이 ‘매우 불안정하다’는 응답은 2002년 19.2%에서 2018년 31.4%로 급증했다. 특히 2030 남성 사이에서 양극화가 심각하다. 이런 경제적 불평등은 극단적 사고와 행동을 낳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서구 선진국에서 번지고 있는 극우주의가 그 방증이다. 만약 청년 세대가 과학적으로 입증된 기후위기를 부정한다면, 그 대표성은 약화될 수밖에 없다.

청년이 미래세대를 대변하려면 역설적으로 현재세대로서의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 경험과 전문성은 부족할 수 있지만, 기성세대보다 관습과 이해관계에서 자유롭다. 기후위기는 장기적이지만, 지금의 정책이 미래를 좌우한다. 청년은 자신이 살아갈 미래를 상상하며 오늘 무엇을 바꿀지 고민해야 한다. 필자가 느낀 머쓱함은 결국 스스로를 미래세대가 아닌 현재세대로 인식했기 때문에 생긴 양가적 감정이었다.

필자는 법적·생물학적으로 청년일 수 있는 시간은 이제 얼마 남지 않았다. 하지만 청년으로 불리지 못한다 해도, 지금껏 지켜온 가치와 역할을 내려놓을 생각은 없다. 어리다고 해서 꼰대가 될 수 있고, 늙었다고 해서 청년다울 수 없다는 법도 없다. 오히려 나이 들어가면서도 청년다운 자세를 잃지 않는 것이 진정한 ‘청년다움’ 아닐까. 미래세대의 대표성은 남이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발견하고 실천하는 과정에서 얻는 것이다.

만약 누군가 기후 문제에 관심 있는 청년을 두고 ‘기특한 미래세대’라 치켜세운다면, 그것은 개인의 정체성을 존중하기보다는 편리하게 하나의 상징으로 묶어내려는 태도일 수 있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구호가 아니라 자기 성찰과 행동이다. 하이다(Haida) 원주민의 격언으로 글을 맺는다.

“지구는 우리가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것이 아니라, 자손들로부터 빌려온 것이다.”

김민 빅웨이브 대표

필자 소개

‘당사자에서 배제되고 파편화된 청년들이 기후위기의 대응의 주체가 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활동하는 사단법인 빅웨이브의 대표입니다. 외계의 위협으로부터 지구를 지키기 위해 ‘어벤져스’를 모으는 것과 같이, 더 많은 역량 있는 청년들이 성장하여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온전히 목소리 낼 수 있도록 돕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NGO, 국회, 정부 위원회 등 다양한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모든 사회문제를 기후위기 관점에서 바라보고 기후 문제를 중심으로 하는 세계관(기후 유니버스)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