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式 지능형교통체계, 방글라데시에 첫 선

20일 방글라데시 수도 다카에 지능형교통체계(ITS) 기반 센터 개소

대한민국의 지능형교통체계(ITS)가 교통 혼잡과 사고율이 높은 방글라데시에 처음 도입됐다.

코이카가 20일 방글라데시 수도 다카에서 첨단 교통관리센터 개소식을 열었다. /코이카

코이카(KOICA·한국국제협력단)는 20일(현지 시각) 방글라데시 수도 다카 도로청(RHD) 청사에서 지능형교통체계를 활용한 교통관리센터(TMC) 개소식을 열었다. 지능형교통체계는 도로·차량·신호·센서 등 교통 요소에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해 교통 흐름을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사고 및 경제적 손실을 줄이는 첨단 시스템이다.

방글라데시는 급격한 차량 증가와 도로 인프라 부족으로 만성적인 정체와 잦은 사고에 시달려왔다. 그러나 주요 간선도로망조차 교통정보 수집·분석 체계가 미흡해 효과적인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었다.

코이카는 한국도로공사·한국교통연구원·㈜수성엔지니어링·㈜위니텍·㈜에스트래픽·㈜에드원테크 등과 손잡고, 다카와 남서부 지역을 잇는 N8 고속도로 일부 구간에 ITS 기반 시설을 구축했다. 이번에 문을 연 교통관리센터는 이를 운영하며 실시간 모니터링·사고 예방·긴급 상황 대응을 맡는다. 코이카는 현지 공무원과 기술자를 대상으로 운영·유지보수 교육을 마쳤고, 1년간 시범운영을 거쳐 이날 공식 개소에 이르렀다.

방글라데시 정부는 이번 사업을 전국 간선도로망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개소식에는 박영식 주방글라데시 대사, 김지훈 코이카 방글라데시 소장, 무함마드 에산울 호크 도로교통부 차관, 사이드 모이눌 하산 도로청장 등이 참석했다.

박 대사는 “이번 교통관리센터 개소는 양국 간 기술 협력의 결실”이라며 “한국 정부는 방글라데시 교통 환경 개선을 지속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소장 역시 “센터 구축은 끝났지만 교통 분야 협력은 앞으로도 계속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코이카는 이번 사업 외에도 교통행정정보 전산화, 차토그램 광역권 도시교통 마스터플랜, 도시철도 건설 지원 등을 추진해왔다. 지난 7월에는 교량 스마트 유지관리 역량강화사업을 시작하며 교량 안전관리 분야로까지 협력을 넓혔다.

채예빈 더나은미래 기자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