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전지의 필수 원료인 니켈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려면 ESG 기준에 부합하는 공급망을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29일 발표한 ‘핵심 원자재의 글로벌 공급망 분석 : 니켈’ 보고서에서 “기업은 니켈 생산, 조달 전 과정에서 탄소배출량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최근 급증하는 배터리 수요에 대응할 수 있을 만큼의 니켈을 확보하기 위해선 ESG 기준을 고려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자국산 니켈 원광 수출 금지 조치와 중국의 대규모 투자에 힘입어 지난해 전 세계 니켈 생산량의 37%를 차지했다. 특히 최근 추진되는 세계 니켈 개발 프로젝트의 대부분은 인도네시아에서 중국 자본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 중국과 인도네시아의 니켈 생산 점유율을 합칠 경우 그 비율은 65%에 달한다. 니켈은 삼원계 배터리의 소재가 되는 전구체 생산에 필수적인 원재료다. 전구체는 니켈·코발트 등 광물을 가공해 만드는 양극재(이차전지의 핵심 구성 요소로 배터리의 용량과 평균 전압을 결정)의 중간 원료다. 한국은 세계 양극재 생산의 20%가량을 담당하는데, 전구체의 경우 국내 수요의 79%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수입액 기준으로 중국산이 90%를 넘어 중국 의존도가 심각한 상황이다. 이에 더해 유럽연합(EU)이 2024년 7월부터 배터리의 탄소발자국 신고를 의무화하면서 니켈 공급망에 대한 통제가 강화될 예정이다. 니켈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는 이유다. 최근 배터리용 니켈 생산을 늘리기 위해 산화광으로 니켈 매트(니켈을 제련해 만든 중간생산물)를 생산하는 방법 등이 주목받고 있지만, 기존 공정보다 탄소배출량이 약 3~4배 많다는 문제가 있다. ▲수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