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아’에서 위기청소년 품은 ‘선생님’으로 김진영 ‘세상을품은아이들’ 생활지도교사 인터뷰 그의 어릴 적 별명은 ‘문제아’였다. 숨을 들이마시면 온몸이 나른해지는 ‘약’을 즐겨하다 ‘큰 집(소년원)’에 들어갔다. 중학교도 중퇴했다. 다섯차례의 정신병원 입원, 3번의 재판을 거친 소년원 입소. 발버둥 치면 칠수록 어둠은 점점 더 무겁게 그를 짓눌렀다. 그러다 문득 정신이 번쩍 들었다. 이대론 안되겠단 생각이 들었다. 나와 비슷한 경험을 하고 방황하는 아이들을 볼 때마다, 가슴이 쿵 하고 내려앉았기 때문. 그로부터 10여년 후, 그는 더이상 방황하지 않는다. ‘문제아’로 불리던 그의 이름 뒤엔 ‘선생님’이란 수식어가 붙었다. 위기청소년 공동체인 ‘세상을품은아이들(이하 세품아)’에서 생활지도교사로 활동 중인 김진영씨의 이야기다. ◇강해지고 싶었던 ‘독립군’, 일탈을 택하다 세품아는 가정, 학교, 사회로부터 소외된 아이들의 치유와 자립을 돕는 위기청소년 공동체다. 상처 치유를 위한 음악·여행 중심의 교육을 진행하고, 청소년들이 내면의 가치를 실현하는 삶을 살도록 지원한다. 2008년부터 지금까지 약 300명의 위기청소년들이 세품아와 인연을 맺고, 건강한 사회구성원이자 ‘문제해결자’로 성장해왔다. 김진영씨 역시 세품아 출신이다. 김씨는 “나의 비행은 몸이 약한 나를 타인으로부터 방어하려는 것에서부터 시작됐다”고 입을 열었다. 실제로 그는 몸이 약했다. 태어난 지 100일 무렵, 신장에 이상이 생겨 소변 배출 기능을 상실한 신장 하나를 제거해야만 했다. 조금만 무리해도 쉽게 피로해졌고, 또래에 비해 몸집도 왜소했다. 그럼에도 그는 초등학교 4학년 때부터 ‘일진’ 그룹에 속한 요주의 인물이었다. 어머니의 폭력도 그의 일탈을 부추겼다. “첫 가출은 10살때였습니다. 팬티 한 장만 입고 매를 맞다가 도저히 못견디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