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 어릴 때부터 대학병원 보조기실에 종종 갔다. 휠체어를 타면서 발생할 수 있는 척추 휘어짐과 발 모양의 변형을 막는 보조기를 만들기 위해서다. 의족, 의수 등 다양한 보조기 샘플이 있었는데, 형형색색의 무늬로 꾸며진 보조기가 가장 눈을 사로잡았다. 아동의 경우 자기가 원하는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었고, 나는 분홍꽃이 가득 그려진 디자인을 선택했었다. 이후 여러 번 보조기를 바꾸면서 그 모양새는 단조로워졌다. 휠체어도 여러 번 바꿨지만 꾸민다는 생각을 한 적은 없다. 초등학교 고학년부터는 더 이상 보조기에 무늬가 들어가지 않았고, 하루 24시간 함께 하는 휠체어와 보조기를 스스로 꾸밀 생각은 하지 못했다. 그러다가 지난 6월부터 8월까지 유튜버 ‘굴러라 구르님’과 팀 개굴이 함께 한 ‘휠체어 위의 우리들’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휠체어를 사용하는 아동 청소년들이 직접 휠체어 스포크가드(휠체어 바퀴살 위에 씌워 손 끼임을 방지하는 얇은 판 형태 부속품), 가드와 어울리는 등받이 디자인을 구상하고 꾸미고, 그 휠체어 모델이 되는 뜻깊은 경험이었다. 나는 평소 좋아하는 하늘색과 체커보드 무늬, 스티커 등을 이용해 나름 ‘힙하게’ 꾸몄다. 두 달간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한동안 잊고 살던 꾸미기의 즐거움을 느꼈다. 직접 꾸미기를 한 뿌듯함은 덤이다. 이번 프로젝트 이후 내게 가장 큰 변화는 휠체어를 단순한 수단으로 여기지 않게 된 것이다. 흔히 휠체어는 장애인의 몸 일부라고 한다. 하지만 나의 경우 휠체어를 험하게 타서 흠집도 나고 고장도 여러 번 났었다. 하지만 휠체어를 꾸미고 난 뒤부터는 애착을 가지게 되어 더 조심해 휠체어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