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구 8000명인 경남 진주 문산읍의 작은 책방 ‘보틀북스’에서는 매주 문화 행사가 열린다. 8평(26㎡) 남짓한 작은 공간이지만, 매달 200명 넘는 주민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해 방문한다. 연령층도 10대부터 70대까지 다양하다. 지역에서 쉽게 만날 수 없는 작가의 북토크쇼가 열리는 날에는 함안, 의령 등 인근 지역의 사람들도 몰린다. 특히 의령은 관내 서점이 단 한 곳도 없는 문화소외 지역으로, 서점을 이용하려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야 한다. 보틀북스에는 올해만 강원국, 김금희, 김초엽 등 유명 베스트셀러 작가들이 방문했다. 채도운 보틀북스 대표는 “대부분의 지원 사업에는 기획비나 인건비가 포함돼 있지 않아 서점에 별도의 수익은 발생하지 않는다”며 “그래도 공모사업을 계속 하는 이유는 지역에는 문화적 목마름을 느끼는 주민들이 많기 때문”이라고 했다. 내년에는 이 같은 지역서점의 문화 프로그램 운영이 중단된다. 문화체육관광부가 2024년도 예산안에서 지역서점 활성화 예산 11억원을 전액 삭감하면서다. 내년 지역서점 지원 예산은 총 15억1000만원. 이 중 12억5000만원이 이번에 신설된 디지털 도서물류 지원 예산으로 잡혔다. 실질적으로는 출판 업계가 공동으로 활용하는 유통 구조 개편에 투입되는 것이다. 한국서점조합연합회(이하 한국서련)에 따르면 전국 지역서점에서 진행하던 750여 개 문화 프로그램이 사라질 전망이다. 중앙정부 예산이 삭감되면서 지방자치단체 지원이 줄어들 가능성도 높아졌다. 지난해 문체부는 지자체에도 지역서점 지원을 독려했다. 각 지자체는 문체부와는 별도로 예산을 투입해 지역서점 활성화를 지원했다. 지역서점은 문체부, 지자체의 공모사업을 여러 개 신청해 프로그램들을 운영했다. 권미선 한국서련 정보화사업팀장은 “현장에서는 중앙정부 기조에 따라 지자체 지원까지 축소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