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스왑닐 차우다리 그라운드업아시아 대표 고조되는 기후위기에 생물다양성이 빠른 추세로 감소하고 있다. 세계자연기금(WWF)이 최근 발표한 ‘지구생명보고서(Living Planet Report) 2022’에 따르면, 지난 반세기 동안 포유류·양서류·어류 등 전 세계 야생동물 개체군 규모는 평균 69% 감소했다. 개체군 감소의 주된 요인은 서식지 황폐와, 과도한 자원 이용, 침입종 등이다. 국제사회에서 ‘생물다양성’이 중요한 키워드로 떠오르며 각국은 생물다양성 보존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민간은 정부의 손길이 닿지 않는 특정 지역의 멸종위기 생물을 촘촘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인도 스타트업 ‘그라운드업아시아’는 민간 영역에서 두각을 드러내는 곳 중 하나다. 지난해 7월 설립된 그라운드업아시아는 인도·네팔 등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하는 지역의 원주민 사회, 마을공동체, 로컬 NGO 등 풀뿌리 조직을 인큐베이팅하는 스타트업이다. 풀뿌리 조직이 지역의 자연경관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을 운영하면서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도록 컨설팅과 자금, 인프라 등을 지원한다. 지난 10월23일 제주에서 열린 ‘2022 아시아 임팩트 나이츠’에 참석차 방한한 스왑닐 차우다리 그라운드업아시아(GroundUp Asia) 대표를 만나 자세한 이야기를 들었다. 생태복원 전문가는 현지 사정 꿰고 있는 원주민 -그라운드업아시아를 간단히 소개한다면. “생물다양성 보존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풀뿌리 조직들과 협업해 멸종위기에 처한 코뿔소·눈표범·철새 등 고위험 개체군을 보호한다. 보존 활동은 주로 네팔의 서부 히말라야 지역에서 이뤄진다. 히말라야는 생물유산이 풍부하지만, 보호받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풀뿌리 조직을 인큐베이팅한다는 발상이 신선하다.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에 거주하는 원주민은 세계 인구의 5% 미만을 구성하지만, 전 세계 생물다양성의 80%를 보호하고 있다. 원주민들은 수세대에 걸쳐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