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세계가 주목한 화석연료 전환 로드맵(TAFF) 불발…산유국 반대로 최종문서 삭제 적응·기후재원도 반쪽 합의…WWF·기후솔루션 “과학이 요구하는 속도와 여전히 거리 있어” 브라질 벨렝에서 열린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가 22일(현지시각) 막을 내렸다. 파리협정 10주년이자 처음으로 산업화 이전 대비 1.5℃ 초과가 ‘1년 내내 지속된’ 해에 열린 회의였지만, 국제사회의 약속은 과학이 요구하는 속도에 미치지 못했다. 회의 슬로건은 “선언이 아닌 실행”이었지만, 실제 결과는 전환의 핵심축을 결단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는 비판이 잇따른다. 이번 COP의 특징은 브라질이 도입한 ‘무치랑(mutirão)’ 협상 방식이었다. 여러 난제를 하나의 패키지로 묶어 일괄 타결을 시도한 ‘종합 협상 틀’이다. 협상 속도를 높이려는 실험이었지만, 공개 토론 시간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지속됐고, 실제로 막판 협상은 NDC 후속조치·적응 재원·무역 3대 쟁점에만 집중된 채 다른 핵심 의제는 심야 테이블에 오르지 못했다. 폐회 총회에서는 의사봉(gaveling) 절차를 둘러싼 문제 제기로 한때 정회되기도 했다. ◇ ‘전환의 COP’ 시험대였던 화석연료 로드맵…최종문에서는 빠졌다 전 세계 정부·시민사회·언론이 가장 주목한 의제는 화석연료 전환 로드맵(TAFF)이었다. COP28이 ‘화석연료 전환’을 최초로 선언한 뒤, COP30에서는 이를 실제 이행 계획으로 구체화할 첫 로드맵이 나올지 여부가 최대 관전 포인트였다. 그러나 EU·소도서국(AOSIS)과 사우디·러시아 등 산유국 간의 입장차는 끝내 좁혀지지 않았고, 최종 결정문에서 관련 문구는 삭제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80여 개국과 130여 곳의 기업이 로드맵 추진을 공개 지지하며 정치적 압력은 분명 남겼다. 브라질은 의장국 임기 동안 산림 파괴 중단과 ‘질서 있는 화석연료 전환 로드맵’을 별도 프로세스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기후솔루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