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특집
[초즌: 아이의 선택] 후원 아동 피터 레아 살라마가 선택한 윤형열씨 이야기 매일 아침 7시 반이면 알람 소리에 맞춰 출근 준비를 시작합니다. 날마다 반복되는 일상이지만, 아침 기상은 도무지 적응되질 않습니다. 이불 속에서 “5분만 더”를 서너 번 외치다가 천근만근인 몸을 이끌고 세면대로 향하죠. 세수를 하고, 거울 앞에서 로션을 바르고, 머리를 매만집니다. 그러다 거울 한 귀퉁이를 보면서 입꼬리를 힘껏 올려 미소를 지어봅니다. 거울에는 케냐에 사는 꼬마, 피터의 사진이 꽂혀 있습니다. “그래, 피터가 내 도움을 기다리고 있어. 힘을 내야지.” 피터는 저의 후원 아동입니다. 지난겨울 형에게 도착한 편지 한 통이 우리 인연의 실마리가 됐습니다. 형이 후원하는 어린이가 정성껏 적어 형에게 보낸 편지였죠. 부러웠습니다. 돈을 보내는 게 끝이 아니라, 후원 아동과 편지로 소통할 수 있다니요. 형이 인연을 맺은 방식도 신기했습니다. 그 아이가 형을 후원자로 ‘선택’했다는 겁니다. 지금껏 선택 기회를 충분히 갖지 못했을 아이들에게 선택 경험을 준다는 취지라고 했죠. “형, 나도 이거 할래!” 고민할 이유가 없었습니다. 돌이켜보니 지금껏 누군가에게 선택받아 본 적이 없었습니다. 소소한 경품 이벤트에나 몇 번 당첨됐을까요? 이번만큼은 아주 신중해야 했습니다. 아이들이 좋아할 만한 사진부터 골라야 했죠. 평소 무표정일 때면 차갑고 사나워 보인다는 소리를 자주 들었던 터라 온화한 분위기를 풍기는 사진으로 몇 장 추렸습니다. 고심 끝에 선택한 건 제주도 여행에서 환하게 웃으며 찍은 사진이었습니다. ‘이 정도면 친절해 보이겠지?’ 약간 자신감도 생겼습니다. 얼마 후 아프리카에서 편지와
[초즌: 아이의 선택] 후원 아동 레베카가 선택한 최재희씨 이야기 새로운 습관이 생겼습니다. 일을 마치고 집으로 들어갈 때면 아주 잠깐, 우편함에 시선이 머뭅니다. 기다리는 편지가 있기 때문입니다. 우편함에 봉투 끝이 빠끔히 나와있는 날에는 마치 연애편지라도 받은 듯 가슴이 콩닥거립니다. 편지는 저 멀리 바다 건너에서 옵니다. 발신인은 레베카. 가나에 사는 나의 후원 아동입니다. 우리 인연은 조금 특별하게 시작됐습니다. 제가 레베카를 돕기로 한 게 아니라 레베카가 저를 선택했거든요. 취준생(취업준비생) 시절 다짐을 한 게 하나 있었습니다. 언젠가 내 힘으로 돈을 벌게 되면 월급의 10분의 1은 다른 사람을 돕는 데 쓰겠다고요. 회사에 입사해 어느 정도 적응한 뒤 마침내 취준생 시절의 다짐을 실행에 옮기기로 했습니다. 그러다 소셜미디어(SNS)에서 조금은 낯선 아동 후원 캠페인을 발견했습니다. 아동과 맺는 1대1 결연 후원인데, 후원자가 아이를 선택하는 게 아니라 아이가 후원자를 선택하는 방식이라고 했습니다. 선택의 기회가 많지 않았을 아이들에게 선택의 기회를 준다는 얘기였죠. 이거다, 싶었습니다. 이력서를 쓰는 마음으로 ‘후원 지원용’ 사진부터 골랐습니다. 휴대전화에 저장된 사진 수십 장을 훑으며 고민했습니다. 활짝 웃는 표정이 좋을까, 차분해 보이는 옅은 미소가 좋을까. 옷은 아무래도 밝은 색이 낫겠지? 한참을 고심한 끝에 푸른 숲길에서 흰 원피스를 입고 찍은 사진을 골랐습니다. 남은 건 기다림의 시간이었습니다. 어떤 아이가 나를 선택할지, 무슨 생각을 하면서 나를 지목했을지…. 소개팅이라도 앞둔 것처럼 퍽 긴장이 됐습니다. “재희 언니 안녕! 미소가 너무 예뻐요. 제게 좋은 언니가 돼줄
◇조직 = 사단법인 굿네이버스 인터내셔날 ◇채용구분 = 경력직(법무지원, 재무회계, 웹기획, PR-언론홍보) ◇모집인원 = 부문별 0명 ◇전형절차 = 서류전형→인성검사→면접전형(PT 발표)→최종합격 및 입사 ◇서류접수기간 = 2021년 9월 14일(화) 13:00까지 ◇문의 = 굿네이버스 채용사이트 Q&A 게시판 이용 ◇채용링크 = https://goodneighbors.recruiter.co.kr/app/jobnotice/view?systemKindCode=MRS2&jobnoticeSn=68520
비영리·사회적경제조직과 공공·민간기업의 협업을 이끌어내는 ‘2021 사회공헌 파트너스데이’가 9월 8일 온라인 생중계로 개최합니다. 이번 행사에는 총 12곳의 우수 사업제안팀이 참여해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문제, 제안 사업 등을 발표합니다. 조선일보 더나은미래는 본 행사에 앞서 참여 조직을 ▲장애·노인 ▲아동·청소년 ▲지역·환경 등 부문별로 세 차례에 걸쳐 소개합니다. 파트너십을 통한 사회적가치 창출을 희망하는 기업의 많은 참여를 기다립니다. 울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는 사회복지사업법에 근거해 설치·운영되고 있는 사회복지법인으로 지역사회의 복지변화와 발전을 위해 정책적인 네트워크 사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사회복지 정책 방향 제안, 복지 현황에 관한 조사, 시민 대상으로 복지정보 안내·봉사활동 진흥을 위한 사업, 기업 사회공헌 활성화를 위한 정보 공유 등을 주요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해결과제최근 공공·민간 영역에서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면서 정부 차원의 예산도 투입되고 있지만 실질적인 효과를 얻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특히 기업 입장에서는 ESG경영과 관련한 사회공헌사업 중 환경에 대한 이슈가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에 환경 문제를 민간과 협업해 사업을 진행하면서 환경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하고자 합니다. 제안사업= ‘폐자전거 ‘Recycle’을 이용한 도시재생 사업’거리에 방치된 폐자전거는 자원 낭비를 넘어 환경오염의 요인 중 하나입니다. 폐자전거를 수거하고 내부 부품을 재활용해, 쓰레기 무단투기지역에 자전거 정원을 조성할 예정입니다. 이른바 ‘자전거 정원로드’입니다. 특히 태화강국가정원에 폐자전거를 활용한 태화강 장미축제 등 사업 시기를 논의해 이동식 자전거 자전거문화생태(놀이)공원을 조성해 울산 시민 누구나 보고 즐길 수 있는 하나의 행사로 연간 한 번씩 진행하고자 합니다. 기업을 비롯한 민간단체들과 기후위기
재단법인 숲과나눔과 조선일보 더나은미래가 함께 하는 환경 분야 공익활동가 양성 과정 ‘풀씨 아카데미 4기’ 최종 합격자를 발표합니다. 최종 합격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가나다순) 1 김*연 0212142 김*서 0011143 김*연 9910214 김*윤 0011075 김*은 010309 6 김*현 9905167 김*완 9801228 김*나 9712089 김*주 99120110 라*림 960718 11 모*은 01011012 박*비 00012013 박*환 97032914 박*숙 96030815 백*은 970903 16 안*은 92051117 유*정 98110318 이*연 97032419 이*민 01022020 이*인 980502 21 이*림 99052422 이*채 01121423 이*연 01122624 이*영 01050325 장*빈 001003 26 조*래 99051227 조*원 99080728 지*향 01070729 최*희 98011830 홍*현 971003 31 홍*예 93121632 황*동 960224 ※ 합격자에게는 오늘(27일) 중으로 개별 메일과 문자 발송됩니다.※ 문의: 조선일보 더나은미래 풀씨 아카데미 담당자sh0519@chosun.com/ 02-724-7866(문자회신 안됨)
비영리·사회적경제조직과 공공·민간기업의 협업을 이끌어내는 ‘2021 사회공헌 파트너스데이’가 9월 8일 온라인 생중계로 개최합니다. 이번 행사에는 총 12곳의 우수 사업제안팀이 참여해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문제, 제안 사업 등을 발표합니다. 조선일보 더나은미래는 본 행사에 앞서 참여 조직을 ▲장애·노인 ▲아동·청소년 ▲지역·환경 등 부문별로 세 차례에 걸쳐 소개합니다. 파트너십을 통한 사회적가치 창출을 희망하는 기업의 많은 참여를 기다립니다. 가치있는누림은 ‘미래 세대의 안정적인 자립을 지원한다’라는 목적 아래 현재 경기 서남부 지역에 아동청소년 복지기관 7곳을 운영하는 복지전문법인입니다. 시설 퇴소 청년들의 자립을 돕기 위한 청년 사회적 주택 사업을 통해 청년 주거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해결과제금융전문 기업들과 함께 청년 주거문제를 해결하고자 합니다. 보험을 통해 개인의 위험을 분담시켰고, 대출을 통해 경제 활성화를 이룬 것처럼 금융전문 기업들은 사회문제를 금융 서비스 지원을 통해서 해결한 성공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회적 주택을 통해 300여 명의 청년에게 좋은 주거서비스를 제공하면 청년 주거문제가 나아질 것이라 생각했지만, 주거문제 단순하게 주거를 공급한다고 해결되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사회적 주택의 구조적 문제점인 ‘전대차 계약에 의한 보증금 대출 불가’를 금융 서비스를 통해 해결하고 사회적 주택 활성화를 넘어 청년 주거문제를 해결하고자 합니다. 제안사업= ‘청년들의 더나은 미래 협력기금 마련 프로젝트’청협 청년사회적주택 보증금전환 서비스로 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해 보증금 부담 없이 사회적 주택에 입주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청년들의 사회적 주택 진입 장벽을 낮추고자 합니다. 가치있는누림에서 3억원을 출자해 청협 서비스를 운영하고자 하지만 서울 주택의 경우 보증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