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범용 LED는 고장나고 반사거울 위엔 광고 덕지덕지…주민들은 여전히 불안합니다

범죄예방디자인 ‘셉테드’ 현장, 직접 가보니 서울시, 2015년까지 120억 들여 우범지역에 적용 유지·보수 관련 예산과 전담팀 없어 관리 부실 주민 “범죄 예방 효과 미미… 밤길은 무섭다” 전국이 범죄예방디자인(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이하 셉테드) 열풍이다. 서울시는 2015년까지 120억8200만원을 들여 우범지역·공원·학교 등 서울 곳곳에 셉테드 지역을 확대하기로 했다. 지난해 부산시는 부산지방경찰청 주도하에 16곳 지역을 ‘셉테드 행복마을’로 조성했고, 현재 경기·대구·울산·광주 등에서도 지역별로 셉테드 사업을 추진 중이다. 더나은미래 특별취재팀은 지난 10월 한 달 동안 서울·부산 주요 셉테드 지역 6곳을 찾아가봤다. “혼자 가시게요? 위험해요. 다음에 낮에 가보시는 게 어떨까요?” 서울시가 마포구 염리동에 셉테드를 적용한 지 2년, 지난달 30일 저녁 6시쯤 소금길 골목 앞에서 만난 동네 주민은 뜻밖의 말을 건넸다. “소금길 범죄가 많이 줄지 않았느냐”고 묻자 “사람들이 많이 들락날락하니깐 줄어든 듯해도 여전히 불안한 길이다”고 답했다. 이곳은 지하철 2호선 이대역 5번 출구를 나와 조금만 걸으면 나오는 좁은 골목길이다. 서울시는 2012년 방범용 발광다이오드(LED)로 1번부터 69번까지 번호가 표시된 샛노란 전봇대와 안전벨을 설치했다. 하지만, 이날 찾은 소금길엔 환한 불빛은 없었다. 소금길 B코스(0.6㎞) 초입을 밝혀야 할 69번 가로등마저 고장나 있었다. 골목에는 할머니의 수레 끄는 소리만 울려 퍼졌다. 블로그에 포스팅된 아기자기한 벽화는 흐릿한 조명 탓인지 눈에 들어오지 않았다. 10여분가량 64번 가로등이 위치한 소금길 쉼터까지 걸어가서야 지킴이집 노란색 대문 위 밝은 조명이 시야를 밝혔다. 한 살 아래 동생과 집으로 향하던 이진수(가명·8)군은 “밤 9시에 학원에서

‘더나은미래 논단’을 시작합니다

조선일보 더나은미래는 우리 사회 공익 분야의 흐름을 짚어줄 전문가 필진을 모시고 ‘더나은미래 논단’을 시작합니다. 칼럼을 맡아주실 분들은 ▲강철희(연세대 사회복지대학원 교수) ▲권오용(한국가이드스타 상임이사) ▲김영목(한국국제협력단 이사장) ▲양동수(공익법률재단 동천 상임변호사) ▲이봉주(서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이윤석(InnoCSR 대표) ▲이종수(한국사회투자 이사장) ▲정선희(사회적기업지원네트워크 이사장) 등입니다. 매 회, 각 분야 전문가들이 국내외 트렌드와 이슈를 가지고 공익 분야를 통찰합니다.

[공익 뉴스 브리핑] 유엔난민기구, 거리 모금 직원 채용…外

※ 유엔난민기구, 거리 모금 직원 채용 유엔난민기구가 거리 모금 담당 직원을 모집한다. 고등학교 졸업자는 해당 분야 최소 5년 이상의 경력자이거나, 관련 분야 대졸자는 최소 1~2년 경력이 있다면 지원 가능하다. 능통한 영어 실력은 필수 역량이다. 지원은 11월 18일까지 이메일(admin@unchr.or.kr)로 받는다. 자세한 지원 자격 및 안내는 유엔난민기구 홈페이지(www.unhcr.or.kr)에서 확인 가능하다. 전화와 이메일을 통한 채용 상담은 하지 않는다. ※ 다솜이재단, 사업전략팀 경력직 모집 사회적기업 다솜이재단에서 신규사업 기획 담당 경력직(1명)을 채용한다. 기획·영업 관련 3년 이상 경력자, NGO 및 사회적경제조직 경력자, 간호사 자격증 소지자, 병원 근무 경력자를 우대한다. 지원은 11월 14일까지 가능하며 이메일(dasomi3@dasomi.org)로 지원 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자세한 지원 자격 및 안내는 다솜이재단 홈페이지(www.dasomi.org/nr)에서 알 수 있다. ※ 한국가이드스타, 개정 공시양식 온라인 교육 오픈 재단법인 한국가이드스타가 공익법인 공시 담당 실무자를 대상으로 무료 온라인 교육을 제공한다. 개정 공시양식은 2014년도 회계연도 결산서부터 적용된다. 한국가이드스타는 공시양식 작성 교육을 온라인 강의로 무료로 제공한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가이드스타 홈페이지(www.guidestar.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의 (02)843-8483 ※ 진저티 프로젝트, 비영리단체 역량 강화 프로그램 도입 공익프로젝트 컨설팅 전문회사인 ‘진저티 프로젝트’는 이달부터 비영리단체 역량 강화 프로그램인 ‘BIC(Believe in Change)’를 실시한다. 진저티 프로젝트는 아름다운재단에서 10년 이상 근무한 경력자 3명(최경인·서현선·황선미)이 세운 회사다. 지난달 영국의 대표적인 비영리단체 자가 역량 진단 도구인 ‘피카소(PQASSO)’를 한국형으로 도입하기로 라이선스 계약을 맺었다. 지난 20년간 영국에서 피카소를 활용한 비영리단체가 1만7000여곳에 달하고, 2007년부터 지역정부 및

[공익 채용 브리핑] 메디피스, 활동가 및 탄자니아 파견 봉사단원 모집 외

메디피스, 활동가 및 탄자니아 파견 봉사단원 모집 국제보건의료단체 메디피스는 해외사업팀 간사, 베트남 사업·대외협력팀 인턴, 탄자니아 파견 봉사자를 각 2명씩 모집한다. 해외사업팀 간사 지원 자격은 영어 능통자 및 현지 파견 가능자며, 국제개발사업 경력자를 우대한다. 서류접수는 11월 9일까지다. 인턴은 NGO·국제개발협력에 관심 있는 대학교, 대학원 휴학생·졸업생이면 가능하며 오는 31일까지 지원받는다. 탄자니아 NGO봉사단원은 12개월간 파견 생활을 할 수 있으면 누구나 지원 가능하다. 보건·간호학 전공자, 영어 혹은 스와힐리어 가능자를 우대한다. 마찬가지로 오는 31일까지 지원 가능하다. 지원은 이메일(hr@medipeace.or. kr)로 받는다. 문의 070-7090-7824,7585,7586 국제앰네스티 간사 채용 국제앰네스티 모금사업팀, 기획홍보팀에서 각각 1명씩 간사를 모집한다. 모금사업팀은 경력 3년 이상의 후원·모금·마케팅 업무 경험자 혹은 회원조직·마케팅·문화예술 경험자를 우대한다. 기획홍보팀은 온라인 마케팅·소셜네트워크 업무 경험자, 유연한 커뮤니케이션 능력 보유자를 우대한다. 두 팀 모두 영어 가능자를 우대한다. 서류 합격자에 한해 면접 및 실무 능력 평가가 진행되며, 지원 서류는 이메일(apply@amnesty.or. kr)로 11월 5일까지 받는다. 모금사업팀 지원자는 ‘신규 후원회원 발굴 아이디어 기획서’를 작성해 함께 제출해야 한다. 열매나눔, 본부 해외사업 경력자 모집 국제개발구호단체 열매나눔인터내셔널 한국본부에서 해외사업관리 경력자(1명)를 모집한다. 국제개발협력 전공자, CSR 경력자, 정부지원사업 담당 경력자를 우대한다. 영어 구사 능력은 필수며 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어야 한다. 오는 31일까지 지원 서류를 받으며 서류전형 통과자에 한해 국·영문 면접 심사가 이뤄진다. 서류접수는 이메일(hr.merryyear@ gmail.com)을 통해 진행된다. 문의 02-2038-8511 희망고, 해외사업 경력자 모집 국제개발NGO ㈔희망고(HIMANGO)에서 해외사업부에서 경력 직원(1명)을 모집한다. ㈔희망고는 지난 2009년 설립된

공익 뉴스 브리핑

국제나눔·문화선진화 콘퍼런스 개최 11월 4~5일 서울 백범김구기념관에서 국제나눔 콘퍼런스(제4회)와 나눔문화선진화 콘퍼런스(제2회)가 공동으로 열린다. 미국과 영국의 국제구호단체 및 자선구호재단 실무자, 사회공헌 전문가를 초청한 이번 콘퍼런스는 최근 외국의 모금 전략과 기부 문화, 기업과 NPO 파트너십을 알아보기 위해 마련됐다. 참가비는 11월 4·5일 각각 3만원이다. 접수 방법 및 신청 관련 자세한 사항은 한국NPO공동회의 홈페이지(www.npokorea.kr)에서 확인 가능하다. 문의 한국NPO공동회의 02-735-0067~9 아산 프런티어 아카데미 3기 모집 아산나눔재단이 비영리 분야 종사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아산 프런티어 아카데미’ 3기 수강생을 모집한다. 3기 아카데미는 내년 1월부터 6개월 동안 매주 화·목요일 아산나눔재단에서 진행된다. 수강 대상자는 공익 분야에서 5년 이상 일한 중간관리자로, 서류·면접 전형으로 선발된다. 수강료는 전액 무료며, 수강생에게는 해외 우수 NGO를 탐방하는 기회가 주어진다. 참가 지원은 11월 10일까지며, 지원 관련 자세한 사항은 아산나눔재단 홈페이지(www.asan-nanum.org)에서 확인 가능하다. 문의 02-741-8231 아름다운가게, 사회적기업 중간관리자 교육 사회적기업 중간관리자를 위한 교육 ‘SE Middle School’이 11월 7일부터 진행된다. 사회적기업에서 중간관리자로 일한 지 3년 이하인 자가 모집 대상이다. 2회에 걸친 교육과 1박2일 워크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강료는 총 5만원이다. 29일까지 아름다운가게 홈페이지(www.beautifulstore.org)에서 참가 신청서를 받아 이메일(se@beautifulstore.org)로 제출하면 된다. 문의 아름다운가게 사회적기업센터 02-2115-7324

CEO 관심사는 ‘협력사와 동반성장’… CSR 전문인력 필요해

한국 CEO는 오늘도 고민 중입니다 2014년 100대 기업 CEO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중에서도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 윤리경영 부문을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조선일보 더나은미래와 고려대 기업경영연구원은 설문조사에서 ‘CSR을 통해 달성하려는 목표를 중요한 순서대로 3가지 꼽아달라’고 요청했다. 선택한 순위에 따라 3점, 2점, 1점으로 가중치를 계산한 결과 ‘기업의 명성 제고'(133점)와 ‘기업 리스크 관리'(72점)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69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CSR의 목표로 ‘고객 유치 및 관리'(37점)나 ‘우수 인재 확보 및 유지'(32점)보다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69점)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CEO가 훨씬 많았다는 점이 눈길을 끌었다. 특히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을 1순위로 꼽은 CEO는 17%(10명)로, ‘기업의 리스크 관리’를 가장 중요한 목표로 선택한 CEO 숫자(10명·17%)와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최근 CEO들이 협력업체와의 관계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영역으로 받아들이고 관심을 쏟고 있다는 증거”라고 분석했다. ◇CSR의 핵심은 지속가능성… 인권, 노동 관행은 아직 CEO 관심 밖 CSR에 대한 CEO의 인식 폭은 점차 확대되고 있지만, 아직 선진국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CSR의 핵심을 3가지 꼽아달라는 질문(순위대로 가중치 부여)에 대해 ‘기업의 지속가능성 제고'(147점) ‘윤리경영'(74점) ‘사회적 문제 해결'(59점)이 가장 높았고, ‘자선과 기부활동'(35점), ‘고용 및 세금납부'(21점)를 선택한 CEO는 많지 않았다. 예전에는 CSR을 사회공헌과 비슷한 개념으로 보고 어려운 사람들을 돕는 자선이나 기부 차원으로 생각했다면, 이젠 CEO들이 동반성장, 이해 관계자 소통, 사회문제 해결까지 ‘넓은 의미의 CSR’을 보기 시작한 것이다. 반면 인권이나 노동 관행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여기는 경향을 보였다. 2010년

[Cover Story] 홍보·인사총무? 전략기획? 대표 직속?… 한국 CEO는 오늘도 고민 중입니다

[Cover Story] 국내 시가총액 100대 기업 CEO, CSR(기업의 사회적책임) 설문조사 CEO 직속 CSR부서 설치한 기업 20.8%… 홍보·대외협력팀 소속 32% CSR 방향 범위 CEO가 직접 정해… 회사 정책에 반영하는 곳도 62% 주요 이해관계자로 ‘고객’ 가장 많이 꼽아… 시민단체·정부·언론매체는 하위권 국내 대기업 CEO들의 상당수가 CSR(기업의 사회적책임) 부서를 대표 직속으로 두고, CSR을 직접 챙기는 것으로 밝혀졌다. 회사의 전략과 정책에 CSR을 반영하거나, CSR의 방향과 범위를 직접 결정하는 CEO 숫자도 작년보다 많아졌다. 조선일보 더나은미래가 고려대 기업경영연구원(원장 문형구)과 공동으로 국내 시가총액 상위 100대 기업 CEO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외비(對外秘)라며 답변을 회피한 곳을 제외한 응답 기업(53곳)의 20.8%(11곳)가 CSR 관련 부서를 CEO 직속으로 두고 있었다. 삼성생명은 지속가능경영센터를, 네이버는 파트너센터(CSR·상생)를 CEO 직속 조직으로 운영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과 CJ는 대표 직속으로 CSV팀(경영실)을, 이마트는 경영총괄 대표이사 직속 CSR팀을 두고 있었다. CEO 직속 CSR 임원협의체를 두고, CSR 전담팀을 운영하는 곳도 있었다. LG전자는 대표 직속 지속가능경영위원회와 지속가능경영임원협의체 산하에 CSR팀을 두고 있고, 신한금융지주는 그룹 사회공헌위원회와 지주회사 임원회의 산하에 사회공헌팀을 운영하고 있었다. CSR의 비중을 홍보나 대외협력 쪽에 두는 CEO가 가장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CSR 부서 조직도 분석 결과, 홍보·대외협력 파트에서 CSR 업무를 보는 기업이 32%(17곳)로 가장 많았고, 관리·지원·인사 파트는 24.5%(13곳), 전략 기획실 산하에 CSR팀을 둔 기업은 17%(9곳)로 뒤를 이었다. 그 밖에 CSR전담팀 없이 경영기획실과 홍보마케팅팀에서 관련 업무를 함께 담당하는 기업도 2곳(3.8%) 있었다. 문형구 고려대 경영학과

[공익 뉴스 브리핑] 한국해비타트 ‘공간과 나눔’주제로 토요학교 열어

‘한국해비타트’에서 초등학생, 중학생을 위한 나눔 교육을 시작한다. ‘공간과 나눔’이라는 주제 아래 10월과 11월 토요일마다 20명씩, 서울 중구에 위치한 한국해비타트 본부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참가하는 학생에게는 수료증 외 자원 봉사 활동 시간을 인정한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에서는 부천대 실내건축학과 교수와 함께 집의 소중함과 더불어 주택을 공유하는 개념, 그리고 적정한 크기에 대해 배울 수 있다. 또한 중학생이 참가하는 수업은 나눔 교육 전문가 전성실 선생님과 함께 나눔의 관점에 대해 생각해보고 내가 살고 싶은 집과 마을을 만들 예정이다. 한국해비타트 홈페이지(www.habitat.or.kr)에서 신청할 수 있다. 문의 한국해비타트 홍보실 02-3407-1982

기업 사회공헌 네트워크 간담회 엽니다

“내년 사업기획안을 고민하던 차에 생생한 현장 이야기가 큰 도움이 됐다.” “비슷한 고민을 하는 기업 사회공헌 담당자들과 네트워킹을 하다 보니, 좋은 정보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 지난 9월 26일 있었던 1차 ‘기업 사회공헌 네트워크 간담회’에 쏟아진 찬사였습니다. 조선일보 더나은미래 기자들이 직접 발로 뛰며 취재한 현장의 사회 이슈를 비롯해 기업들의 사회공헌 활동 소개와 뒷이야기들을 나누는 알찬 시간이었습니다. 오는 10월 22일, 조선일보 더나은미래와 ㈔문화예술사회공헌네트워크,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는 제2차 기업 사회공헌 네트워크 간담회를 개최하고자 합니다. ‘고객과 직원의 참여를 높이는 내·외부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주제로 기업 내·외부 커뮤니케이션 우수 사례를 분석하고, 사회 혁신과 임팩트를 이끌어내는 사회공헌 전략 팁을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될 예정입니다. 간담회와 함께 ‘예술과의 만남’을 통한 토크 콘서트도 준비돼 있습니다. 어려운 경제 여건 속에서도 사회적 책임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시는 기업 관계자 여러분의 많은 참여 부탁 드립니다. ▲일시 및 장소: 10월 22일(수) 16시, 장소(추후 공지) ▲간담회 내용 1부―고객과 직원 참여 높이는 사회공헌 내·외부 커뮤니케이션 전략 / 2부―예술과의 만남 ▲주최: 조선일보 더나은미래, ㈔문화예술사회공헌네트워크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의: 070-4616-0665 (이메일 good_rest@arcon.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