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호기관 도움 받았던 아이가월드비전 맡게 된 건 ‘운명’ 같아 꾸준히 기부금 보내온 美 어머니이젠 네가 ‘기적’ 선물하라는 것 화살은 혼자서 날아갈 수 없다. 화살을 힘껏 쏘아 올려줄 활이 필요하다. 지난달 24일 만난 조명환(65) 월드비전 회장은 칼릴 지브란의 시집 ‘예언자’에 나오는 활과 화살 이야기를 했다. “세상의 모든 어른을 향해 시인은 이렇게 말합니다. 그대들은 활, 아이들은 화살. 그대들의 아이가 살아있는 화살이 되어 미래로 힘차게 나아갈 수 있게 하라. 저도 그런 활이 되려 합니다.” 어린 시절 조명환 회장은 가냘프고 초라한 화살이었다. 한국전쟁 직후인 1956년. 서울에서 가장 빈민촌이던 금호동 달동네 판잣집에서 태어났다. 젊은 실향민 부부의 아이로 태어난 그가 딱해 보였는지 주변에서 도움받을 곳을 알아봐 줬다. 구호기관 직원이 집으로 찾아와 갓 태어난 그를 확인하고 미국인 후원자를 연결해줬다. 후원자는 매달 한국어로 번역된 편지 한 통과 15달러를 보내왔다. 가난한 가족의 한 달 생활비였다. 구호기관의 도움으로 자란 아이가 한국 월드비전의 수장(首長)이 됐다. 조명환 회장은 “운명이 이끈 자리”라고 했다. “올해 1월 취임하고 6개월이 흘렀어요. 처음에는 잘 몰랐는데 지금은 제가 여기에 온 게 운명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가난하고 공부도 못했던 제가 꿈을 꿀 수 있었던 건 후원 덕분이었죠. 그 활이 저를 당겨 여기로 보냈나 봐요.” 운명이 이끌다 조명환 회장은 세계적인 에이즈 전문가다. 건국대학교 교수로 근무하며 학생들을 가르쳤고 바이오 관련 벤처회사를 창업해 운영한 경험도 있다. 돈이 없어서 치료를 못 받는 가난한 에이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