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재작 한국정밀농업연구소장
[농업의 미래, 미래의 농업] 가뭄과 농업, 우리의 식량은 안전한가?

도시에 사는 대부분은 봄 가뭄이 얼마나 심각한지 느끼지 못할지도 모릅니다. 이 시기에 울진에서 또 산불이 났습니다. 뭔가 심각하게 잘못되어간다는 게 조금씩 실감 나기도 합니다. 예전엔 가뭄이 들면 정치인들이 농촌을 찾는 뉴스가 가끔 나오기도 했지만 요즘은 그것마저 뜸합니다. 요소수 사태가 터지고서야 질소비료를 걱정하기 시작했고,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곡물가가 치솟아야 식량 위기를 떠올립니다. 농사의 반은 하늘이 짓는다고 합니다. 기후가 위기로 치달으니 농사인들 무사할 리 없습니다. 2년 전에는 54일간 하루도 빠짐없이 계속된 비로 채소는 밭에서 물렀고 그해 햄버거에서는 토마토가 사라졌습니다. 그 이전 해에는 가을장마로 처마 밑에 걸어놓은 곶감에서 곰팡이가 폈습니다. 그렇지만 아무렇지 않게 지나갔습니다. 요즘 곶감은 대부분 건조기에서 말리기 때문입니다. 미국 중서부의 곡창지대에서는 1200년 만에 최악의 가뭄이 들었습니다. 그 여파로 작년에는 밀과 옥수수의 생산량이 40%까지 줄었습니다. 가뭄은 올해도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호주는 3~5년마다 한 번씩 가뭄이 찾아올 때마다 밀 생산량은 절반까지 곤두박질 칩니다. 다행히 최근 두 해 동안 사상 유례없는 풍작 덕분에 세계는 식량 위기를 면할 수 있었습니다. 가끔 이런 걱정도 합니다. ‘미국과 호주에서 동시에 가뭄이 들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 우리나라 논의 80%는 수리 시설이 갖추어져 있습니다. 덕분에 어지간한 가뭄에도 별다른 어려움 없이 농사를 지을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 어지간한 수준을 넘어서는, 즉 10년 만에 한 번 정도 찾아오는 가뭄의 경우 수리 시설이 있는 논도 절반은 가뭄 피해를 받습니다. 저수지 용량의 한계 때문입니다. 그런데

남재작 한국정밀농업연구소장
[농업의 미래, 미래의 농업] 식량위기로 다시 본 농업의 미래

“농업은 선진국형 산업이다.” 이미 농장주의 평균연령이 67세인 늙어가는 농업을 보면 이게 무슨 뚱딴지같은 소리인가 하실지도 모르겠습니다. 농업을 산업이라기보다 지켜야 할 유산이라고 느끼는 분들에게는 생소할 수도 있습니다. 불과 50년 전만 해도 국토의 대부분은 농촌이고, 국민 대부분은 농민의 후손이었습니다. 어린 시절 고향을 떠나온 분들에게서 농촌이 예전 그대로의 모습으로 남았으면 하는 마음도 엿봅니다. 1950년대 2000만명에 불과하던 인구는 현재 5100만명으로 정점을 지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농경지는 한때 240만 헥타르까지 늘어났지만 지금은 156만 헥타르로 줄었습니다. 국민들이 토지를 사랑하는 마음은 넘쳐나는 데 농경지는 줄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하루 2000kcal를 겨우 먹었지만 요즘은 3000kcal 이상을 먹습니다. 잔칫날이나 구경했던 고기도 요즘은 1인당 연간 54kg을 먹습니다. 수산물 소비량 70kg을 제외한 수치입니다. 그리고 시장에서는 신선한 채소와 맛있는 과일을 사시사철 구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총 부가가치생산액의 1.8%만 차지하고 있는 농업이 만들어 온 성과입니다. 그런데 우리 농업은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농업 인구 중 40세 이하 청년의 비중은 1%에 불과합니다. 농촌에는 청년뿐만 아니라 주민들도 급격하게 줄고 있습니다. 개도국에서 온 이주노동자가 없으면 농사는 이미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우리나라 주요 곡물자급률은 20% 이하로 떨어졌습니다. 정부에서는 식량자급률을 높이고자 많은 예산을 쓰고 있지만 구조적으로 높아지기는 어려운 것도 현실입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하자 세계는 갑자기 식량위기에 휩싸였습니다. 유럽의 빵 공장이라 불리는 식량 수출 대국 사이의 전쟁은 전 세계에 물가 불안을 촉발했습니다. 이미 많은 나라에서 밀 가격은 전년 대비 50% 이상 올랐습니다.

남재작 한국정밀농업연구소장
[농업의 미래, 미래의 농업] 봄 여행은 농촌으로

봄이 왔습니다. 코로나도 이제 막바지로 치닫고 있습니다. 인류가 농경을 시작한 이래 수많은 전염병에 시달려 왔지만, 지금까지 잘 살아왔듯이 사스와 메르스, 그리고 코로나를 지나 또 어떤 바이러스가 찾아오더라도 우리는 잘 이겨낼 것입니다. 이번에는 RNA 백신이라는 걸출한 과학기술 덕분에 글로벌 팬데믹이라는 초유의 사태에도 피해를 줄일 수 있었습니다. 이제 코로나도 전파력은 커지고 치명률은 떨어지는 경로에 접어들면서 그 끝이 보이는 듯합니다. 지난 두 해는 마스크와 거리두기로 모두에게 힘든 시간이었습니다. 우리 이웃들은 알록달록하던 색을 잃고 점점 더 무채색으로 바뀌어 갔고, 이웃 간 거리만큼 사회는 생기를 잃어갔습니다. 그렇게 힘든 시간을 지나왔습니다. 이제 봄과 함께 다시 우리가 잃어버린 색을 찾아갈 때입니다. 남도로부터 시작된 꽃 소식은 이제 수도권에 다다라 절정을 치닫고 있습니다. 코로나의 두려움에서 벗어나 수많은 사람이 산과 들을 찾고 있습니다. 또 많은 사람은 해외로 떠날 준비를 하는 듯합니다. 사회학자들은 보복 소비가 일어나면서 거리로 관광지로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럴 때 농촌으로 여행을 떠나보는 건 어떨까요! 흰 매화가 지고 벚꽃이 만개하는 시절이 지나면 붉은 복숭아 꽃이 온 산을 물들이는 때가 옵니다. 지천으로 깔린 노란 민들레는 은빛 씨앗을 하늘로 흩뿌리고 영산홍이 길거리를 수놓을 때면 사과꽃이 수줍게 피기 시작합니다. 마늘과 양파밭에 녹음이 짙어지면 감나무에서는 연노란 잎이 녹색을 더해가면서 때늦은 감꽃이 있는 듯 없는 듯 잎사귀 사이에 자리를 잡습니다. 가끔 마을 입구나 산 어귀에서 마주치는 연보라색 오동나무 꽃을 볼 때면 그

남재작 한국정밀농업연구소장
[농업의 미래, 미래의 농업] 냉면 한 그릇

냉면은 메밀가루에 고구마 전분을 섞어 적당히 쫄깃하게 만드는 게 중요하다. 슴슴한 국물에 올곧음을 잃지 않고 질긴 듯 무심하게 끊어지는 면발은 ‘내가 뭘 씹은 거지?’ 하는 의문이 들 때쯤 까칠한 식감이 혀를 감싸고 쌉쌀한 향이 입안에 퍼진다. 더러 순 밀로 만들어 허무하게 끊어져 동치미 육수와 함께 속절없이 무너져내리는 냉면이 없는 건 아니지만 우리 기억 속의 냉면은 대체로 그러하다. 한국인의 냉면부심은 끝이 어딜지 모르게 치솟는다. 실향민의 음식에서 서민의 외식으로 그리고 청년의 부심으로 진화를 거듭하면서 냉면 가격은 품위를 논할 수 있을 만큼 올랐다. 2016년 이미 전체 냉면 시장 규모는 1000억 원을 넘어섰고, 간편식 냉면 시장도 700억원에 달했다. 이와 함께 냉면계도 장인의 숨결이 넘실대던 낭만의 시대가 저물고 비정한 브랜드의 각축장으로 바뀌어 갔다. 오랜 세월 부모님과 함께했던 손맛과 가문의 비법은 자식 대에 이르러 레시피와 품질관리로 옷을 갈아입었다. 스타 셰프들이 한결같이 하는 말이 있다. ‘요리의 수준은 결국 식재료로 수렴한다.’ 평양냉면은 돌아서도 잊히지 않는 슴슴한 국물 맛으로 기억되지만, 가장 중요한 식재료는 메밀이다. 면발이 별볼일없으면 엠에스지 국물에도 속절없이 무너져 내리는 게 이 세계의 냉정함이다. 냉면계도 오른 가격에 걸맞게 식재료 경쟁에 돌입한다. 그런데 주재료인 메밀은 국내 생산량이 소비량의 절반에 불과하다. 2800톤의 수입 메밀 중 중국산이 70%를 넘어간다. 육수 경쟁이 막을 내릴 때쯤 냉면 업계에서는 ‘이야기가 있는’ 국산 메밀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이 펼쳐진다. 그러나 왜소한 메밀 시장은 종자, 농기계, 가공시설

남재작 한국정밀농업연구소장
[농업의 미래, 미래의 농업] 농업도 스타트업이 될까요?

“농업은 스타트업이 될 수 없습니다.” 마음에 들지는 않았지만 날렵한 변신과 빠른 성장이 특징인 스타트업의 속성을 고려할 때 수긍할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여기에 반기를 드는 창업가들이 나타났다. 청년들은 ‘농업에 왜 농사만 있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농축산물 부가가치는 30조원 수준에 멈춰 있지만, 그 농축산물을 둘러싼 전후방 가치사슬의 부가가치는 수백조원에 이를 수도 있다. 눈을 해외로 돌리면 이 규모는 수백 배 더 커진다. 2014년 월가의 투자가 짐 로저스가 서울대 경영대 강의에서 농업이 미래산업이 될 것이라고 예언했을 때 남의 나라 이야기처럼 들렸다. 우리나라 농가의 평균 경작면적은 1헥타르(1만㎡)를 조금 넘어가는 수준에 불과해 첨단기술에 대한 투자는 비용으로 인식됐다. 반면에 시장분석 전문기관들은 글로벌 농업시장은 연평균 6% 내외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아시아 태평양지역은 전 세계 농업 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인구와 소득도 가장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짐 로저스의 관점에서 아시아 농업에 대한 투자는 충분한 수익성을 보장되는 안전자산이었다. 2022년 해가 바뀌고 얼마 지나지 않았을 때 농업계에서는 작은 파문이 일었다. 창업한 지 불과 4년밖에 되지 않은 농업 스타트업이 1700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다는 소식이 들렸다. 마켓컬리, 오아시스 등 농식품 유통업에서 이 정도 규모의 투자는 더러 있었지만 농업 생산이 중심인 기업에서는 처음이었다. 이 소식은 기술산업 전문 뉴스인 테크크런치(TechCrunch)를 통해서 전 세계에 소개되기도 했다. 지금까지는 ICT 분야의 대기업과 선진국의 농식품 기업만 소개되던 글로벌 뉴스에 우리나라 스마트농업 스타트업인 그린랩스가 소개됐다. 격세지감이 느껴졌다. 2015년 농업 스타트업

남재작 한국정밀농업연구소장
[농업의 미래, 미래의 농업] 쌀의 변신은 무죄? 8조원 시장 온다

쌀은 밥이 된다. 이 밥을 잘 먹기 위해서는 짠맛 나는 반찬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우리의 밥 문화는 그랬다. 그런데 약간만 눈을 돌려보면 전혀 다른 밥의 세계와 마주하게 된다. 사실 따지고 보면 흰밥만 먹는 국가는 그리 많지 않다. 밥은 주식이지 요리 재료가 될 수는 없다는 우리의 믿음은 근거가 희박하다. 이탈리아의 리소토는 쌀로 만든 대표적인 음식으로 인식되고 있다. 스페인의 부리토에는 쌀 요리가 들어가고, 중국과 태국에서 볶음밥은 우리의 흰밥처럼 자연스럽다. 서아프리카의 대표적 쌀 요리인 졸로프는 국민 음식 대접을 받고 있다. 세네갈의 체부젠은 종교로까지 격상돼 이에 대해 부정적인 평을 했다가는 외교적 마찰을 감수해야 할지도 모른다. 세계는 점점 더 많은 쌀을 먹고 있다. 1960년대 2억t 정도에 불과하던 쌀 소비량은 2020년에는 5억t까지 늘어났다. 특히 서아프리카 국가에서 쌀 소비량의 증가가 가파르다. 반면에 우리나라는 계속 줄어들고 있다. 1990년 120㎏이던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60㎏ 아래로 떨어졌다. 반면 밀과 육류의 섭취는 크게 늘어났다. 쌀을 적게 먹게 된 건 소득이 높아지면서 식습관도 따라 변했기 때문이다. 1인 가구의 증가도 영향을 미쳤다. 밥과 여러 반찬을 곁들여 먹는 기존 방식을 불편하게 느끼는 사람이 늘어난 것이다. 2020년 우리나라 식용밀 수입량은 250만t으로 그해 국내 쌀 생산량의 70%에 달하는 양이다. 점점 더 많은 청년이 밥보다 빵을 더 선호하고 있다. 그런데 이게 선호의 영역에만 머물지 않는다는 게 문제다. 우리나라의 기후위기 대응을 어렵게 만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식량자급률은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