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19일(금)

“2030년 탈석탄하면 정부 계획보다 일자리 2.8배 더 생긴다”

2030년까지 국내 석탈발전소 폐쇄와 재생에너지 전환을 이루면 정부의 정책 시나리오보다 더 큰 고용효과를 가져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9일 기후솔루션은 국제 기후 연구기관인 ‘클라이밋애널리틱스(Climate Analytics)’와 함께 국내 탈석탄과 재생에너지 전환을 통한 고용창출 효과를 분석한 ‘석탄에서 재생에너지로 에너지 전환의 고용 영향 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이 2030년 이전까지 탈석탄을 이루고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면 정부의 탈석탄 시나리오에 비해 약 2.8배 많은 일자리가 창출된다.

연구진은 정부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기준으로 한 ‘정책 시나리오’와 파리기후협정 목표에 맞춰 2029년까지 국내 석탄발전소를 전부 퇴출하고 전력 공백을 재생에너지로 채우는 ‘탈석탄 시나리오’를 비교·분석했다. 일자리 분석 대상으로는 재생에너지 관련 건설·설치, 운영·유지보수, 장비제조 등 3개 부문으로 설정했고, 해당 직종에서 이뤄지는 직접 고용만 포함하고 파급효과로 생기는 간접 고용은 제외했다.

분석 결과 현 정책 기조를 따라갔을 때보다 탈석탄 시나리오를 실행했을 때 추가로 창출되는 일자리 수는 77만개 정도다. 시기별로 보면 2021년부터 2025년까지 매년 6만2000개 일자리가 더 창출되고, 2026년부터 2030년까지는 매년 9만2000개 일자리가 추가로 발생한다. 보고서는 2021~2025년 시기에 육상풍력, 태양광, 에너지 저장장치 관련 일자리가 급증하고, 2026~2030년에는 옥외 태양광, 소형 에너지 저장장치, 해상 풍력 등 부문의 고용이 큰 폭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진은 “석탄발전 폐쇄로 줄어드는 일자리 수보다 재생에너지 전환으로 늘어나는 일자리가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위) 시나리오별 발전원에 따른 고용 영향 그래프와 시나리오별 일자리 유형에 따른 고용 영향 그래프. a는 한국 정부의 현 정책 방향을 유지했을 때, b는 2029년까지 석탄발전소를 모두 폐쇄한다고 가정했을 때다. /기후솔루션 제공

재생에너지 전환이 전국 모든 광역지자체에서 고용창출 효과를 일으킨다는 분석도 있다. 지역별로 보면 석탄발전소가 밀집한 지역 중 하나인 전남에서는 탈석탄으로 얻을 수 있는 일자리가 현 정책 시나리오를 적용했을 때보다 약 3.1배 많을 것으로 분석됐다. 충남과 경남은 각각 1.4배, 인천과 강원은 각각 1.3배가량 더 큰 고용창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안네 짐머 클라이밋애널리틱스 수석 기후변화 경제학자는 “이번 분석은 태양광, 풍력, 에너지저장 인프라의 운영과 유지보수에서 발생하는 일자리만 따져도 석탄발전소 폐쇄로 사라지는 일자리보다 더 많다는 것을 보여준다”면서 “올바른 정책이 갖춰지면 석탄을 넘어선 ‘정의로운 전환’을 이룰 수 있다”고 말했다. 이석영 기후솔루션 연구원은 “재생에너지 전환의 고용효과를 가시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큰 연구”라며 “석탄발전 종사자들이 재생에너지 산업으로 옮겨갈 수 있도록 일자리 전환 교육 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지강 더나은미래 기자 river@chosun.com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1호 2024.3.19.

저출생은 '우리 아이가 행복하지 않다'는 마지막 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