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재단, ‘폐의약품 분리배출에 관한 인식∙행동 설문조사’ 결과 발표
수거율 10%대 그쳐… 시민 48% “종량제·변기에 버렸다”
국민 10명 중 9명은 폐의약품을 따로 버려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지만, 정작 절반 가까이는 여전히 종량제 봉투나 변기, 싱크대에 버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식은 높지만, 실천을 유도할 제도와 인프라가 따라오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환경재단(이사장 최열)은 29일, 지난 5월부터 한 달간 전국 시민 406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폐의약품 분리배출 인식·행동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글로벌 물류기업 퀴네앤드나겔과 함께하는 ‘지구처방전’ 캠페인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93.8%가 폐의약품을 분리배출해야 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고, 이 중 92.3%는 ‘배출 방법도 안다’고 답했다. 하지만 실제로 조제약과 일반약 등 분리배출 대상 약물을 제대로 이해한 시민은 절반에도 못 미치는 47.9%(1948명)에 불과했다. ‘안다’고 생각하지만 정확히는 모르는 ‘인지의 착각’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난 것이다.
실제 1년 내 폐의약품을 버린 경험이 있다고 답한 시민 2264명 중 48.4%(1096명)는 종량제 봉투, 싱크대, 변기 등 생활폐기물 방식으로 처리했다. 이들 중 일부는 “지자체 안내대로 했다”고 응답해, 지역마다 상이한 안내 기준이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음도 확인됐다.
시민들은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우선 과제로 ▲수거함 확대(34.8%) ▲인식 개선 캠페인 강화(29.6%) ▲생활권 접근성 확보(19.5%)를 꼽았다. 또한 스마트폰 지도 앱을 통해 수거함 위치를 안내받는 서비스에 88%, 분리배출 인증 포인트 제도 참여 의사에 91%가 긍정적으로 답해, 디지털 기반 정책에 대한 기대감도 높게 나타났다.
정책 책임 주체로는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61.5%)를 가장 많이 지목했다. 환경재단 측은 “수거율이 여전히 10% 안팎에 머물고 있는 상황에서 제도 정비와 생활밀착형 인프라 확충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환경재단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국 폐의약품 배출 기준 일원화, 공공 수거함 확충, 디지털 위치 안내 시스템 도입 등을 골자로 한 정책 제안을 준비 중이다. 아울러 시민 참여형 캠페인 ‘지구처방전 서포터즈’를 운영해 SNS 콘텐츠 제작과 현장 홍보를 병행하고, 오는 9월 서울 여의도에서는 폐의약품 바르게 버리기 체험 행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조유현 더나은미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