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폐막하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표방한 ‘탄소중립 올림픽’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17일(현지 시각) 블룸버그통신은 “베이징 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의 마케팅 자료를 입수해 분석한 결과, 조직위가 주장하는 상쇄배출권 170만개 확보의 근거로 볼 수 있는 탄소 절감 방안의 실효성이 의심된다”고 보도했다.
상쇄배출권이란 온실가스 감축 실적을 인증받아 얻은 배출 권한이다. 감축량 1t이 상쇄배출권 1개로 전환된다.
이번 올림픽에서 배출된 온실가스는 약 130만t으로 추정된다. 숫자로만 따지면 상쇄배출권 170만개로 탄소중립 올림픽을 이룬 것으로 보인다. 조직위 자료에 따르면, 상쇄배출권 170만개 중 110만개는 중국 전역의 나무심기 프로젝트로 확보했고 나머지 60만개는 국제연합(UN)의 온실가스 감축사업인 청정개발체제(CDM)에서 조달했다.
이에 블룸버그는 “나무는 탄소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뿐 영구 저장소 역할은 할 수 없기 때문에 주요 탄소흡수원이라고 하기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UN 사업에서 조달한 배출권 60만개의 세부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블룸버그가 검토한 자료에 따르면 이 중 20만개는 중국 북동부 지역에 설치된 오래된 대규모 풍력발전소와 연계돼 있다. 그러나 이 시설은 석탄발전소를 대체할 만큼의 재생에너지를 생산할 여력이 안 된다. 또 블룸버그는 CDM 프로그램 자체에도 결함이 있어 신뢰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1994년 노르웨이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이후 올림픽 개최국들은 ‘친환경 올림픽’을 주요 키워드로 내세웠다. 천연자재를 활용해 경기장을 짓고 차량을 청정 연료로 운행하며 나무를 심는 방안 등을 제시했다. 그러나 이 방법들이 담보하는 지속가능성을 체계적으로 판단할 평가 기준은 없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개최지 선정 단계에서 후보들의 ‘친환경 공약’을 고려하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행했는지 확인할 독립 기구도 없다.
환경 단체들은 투명성 부족을 지적해왔다. 2008년 그린피스 차이나는 베이징시가 하계올림픽 기간에 환경 관련 자료와 증명서를 발표하지 않은 것에 대해 비난했다. IOC는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을 “러시아 내 지속가능성을 앞당길 촉매제”라고 설명했지만, 올림픽 경기장이 지어진 국립공원의 생물 다양성이 훼손됐다는 비판을 받았다.
마르틴 뮐러 스위스 로잔대 교수는 “친환경 올림픽을 치르겠다는 건 대부분 홍보용 주장일 뿐”이라며 “진정한 친환경 올림픽을 치르려면 ▲올림픽 규모를 줄일 것 ▲몇 개 도시가 돌아가며 올림픽을 치를 것 ▲독립적인 지속가능성 기준을 세우고 지키도록 할 것”을 제안했다.
최지은 더나은미래 기자 bloomy@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