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그라미재단(구, 안철수재단) 2016년 하반기 인턴채용을 진행합니다. 채용분야 : 1) 재단사업 및 운영(창업지원, 교육지원, 연구사업, 경영지원 등) 2) 공간나눔사업(오픈커뮤니티랩) 채용인원 : 4명 근무기간 : 2016.07.01 ~ 12.30 (6개월) 접수방법 : 온라인 입사지원 (방문접수/우편접수/e-mail 접수 불가) 접수기간 : 2016.06.01 ~ 2016.06.14
기획·이슈
동그라미재단(구, 안철수재단) 2016년 하반기 인턴채용을 진행합니다. 채용분야 : 1) 재단사업 및 운영(창업지원, 교육지원, 연구사업, 경영지원 등) 2) 공간나눔사업(오픈커뮤니티랩) 채용인원 : 4명 근무기간 : 2016.07.01 ~ 12.30 (6개월) 접수방법 : 온라인 입사지원 (방문접수/우편접수/e-mail 접수 불가) 접수기간 : 2016.06.01 ~ 2016.06.14
“세계를 움직이려고 하는 사람은 무엇보다 자기 자신을 먼저 움직여야 한다.” – 소크라테스(Socrates) NGO/NPO에서 일하는 활동가를 생각하면 제일 먼저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는가. 머리에 빨간띠를 두르고 정경들과 몸싸움을 하는 과격한 투사(?), 사회의 부조리함을 고발하고 바로잡는 정의의 사도(?), 소외된 이웃들을 따뜻한 관심과 정성으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기부한 것은 우리인데, 한마디 말도 없이 대행사가 기부금 영수증을 발급받았다. 팬들에게 남은 것은 실질기부자라는 것을 증명조차 할 수 없는 종이 한 장뿐이다.” 지난 3월, 걸그룹 A의 팬클럽은 스타의 생일을 맞아 기부 선물을 하기로 결정했다. 좀 더 많은 사람이
테크 스타트업 트렌드 점자 스마트워치, 휴대 검안기 등 영국·독일 등에서 기술력 인정장애인, 제3세계… 시장 진입 늘어 “현재 몸상태는 어떠신가요?” 담당 의사로부터 PC 채팅 메시지가 왔다. 모니터 상단 키보드 옵션에서 한글, 영어, 기호 중 ‘한글’을 주시하자 한글 자판이 나타났다. ㄴ, ㅔ.
롯데리아·GS리테일 기업의 사회공헌 매장 가운데는 일시에 그치거나 형식상 명맥만 유지될 뿐 답보 상태인 경우들도 있었다. 지속 가능한 계획 없이 시작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롯데리아는 지난해 5월부터 한 달 간격으로 광화문점·홍대점·선릉점 등 세 점포에서 매장 수익금의 일부를 기부하는 릴레이 ‘착한
스타벅스 ‘커뮤니티 스토어’_2011년 뉴욕 1호점 시작으로 국내에는 대학로점 첫 새단장삼성물산 ‘하티스트 하우스’_신진 디자이너 브랜드 50여개층마다 다른 기부 제품 구성 노스페이스 ‘에디션’_일시적 운영하다 전용 매장으로 할인 혜택부터 기부까지 최근 2~3년 새 국내 기업들은 사회공헌과 소비자가 직접 만나는 공간, 일명 ‘사회공헌 매장’에
국제이주기구 한국대표부 컨설턴트 및 인턴 모집 이주 노동자, 국내 이재민, 난민 등을 지원하는 국제이주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IOM) 한국대표부가 인도적 지원 관계자 역량강화 사업을 위해 함께 일할 컨설턴트와 프로젝트 인턴을 모집한다. 컨설턴트는 인도적 지원 관계자 역량 강화 워크숍 지원 및
마웅저 ‘따비에’ 대표버마 난민촌 등에 도서관 설립… 7년간 동화책 1만5천여 권 만들어 “세상을 바꾸는 건 무력과 시위뿐일 줄 알았죠. 그런데 한국에서 시민단체들을 보고 배우며 ‘교육’으로 사람도, 사회도 변화시킬 수 있다는 희망을 얻었습니다.” 버마(미얀마) 교육 단체 ‘따비에’ 마웅저(48·사진) 대표의 말이다. 그는
[박란희의 작은 이야기] 지난해였나. 한 사회복지기관 팀장과 저녁을 먹다가 좀 황당한 얘기를 들었다. 이 사회복지법인의 대표직을 4대째 세습하려고 해서, 내부에서 갈등을 빚고 있다고 했다. 초대 회장은 희생과 열정으로 사업을 키웠지만, 이후 규모가 방대해지면서 가족이나 친인척이 운영을 독차지하는 ‘복지사업’이 된 경우도
소셜에디터스쿨 ‘청년 세상을 담다’ 공익 혁신가 특강 안내 공익 분야 저널리스트 및 소셜 에디터를 양성하는 취지로 현대해상과 조선일보 더나은미래가 마련한 소셜에디터 스쿨 ‘청년, 세상을 담다’에서 공익 혁신가 특강이 시작됐다. 5월 20일(금) 박찬재 두손컴퍼니 대표를 시작으로 윤홍조 마리몬드 대표, 임정택 히즈빈스
[교육이 바뀐다] 교육 혁신 현장을 가다 인공지능(AI) 시대, 미래의 학교는 어떤모습일까. 100점을 목표로 하는 ‘공장식’ 찍어내기 교육은 사라지고, 아이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수업이 중심이 되진 않을까. 교육 혁신이 벌어지는 교실을 찾아갔다. ◇강의 없는 ‘서울 신일중’ 교실… 공교육 혁신의 시발점 지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