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고래, 고립청년 그룹홈 20년 만에 운영 중단… 왜?

제한적 사업비…“더는 못 버틴다” 서울시 단기 사업 구조에 회복 중 청년들 ‘재은둔’ 악순환 서울 시내 고립·은둔 청년들을 위한 공동생활 공간, 일명 ‘그룹홈’이 무너지고 있다. 지난달 19일 더나은미래가 보도한 ‘서울시-SH의 그룹홈 사업 종료 논란’에 이어, 또 하나의 고립·은둔 청년 그룹홈이 운영 중단을 선언했다. 20년 넘게 그룹홈을 운영해온 푸른고래리커버리센터도 ‘주거 공간 확보’와 ‘인건비 마련’의 한계를 넘지 못하고 올해부터 공동생활 공간 운영을 잠정 중단하기로 한 것이다. 센터를 이끄는 김옥란 센터장은 “현재의 그룹홈 시스템은 청년들의 회복보다 재은둔을 부추길 수 있는 구조”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 서울시 지원 받아도, 공간은 자부담…결국 여자 숙소 철거   푸른고래리커버리센터는 2022년부터 서울시의 예산을 일부 지원받아 남녀 그룹홈을 운영했다. 하지만 공간 자체는 센터 측이 별도로 확보해야 했고, 초기 입주에 필요한 보증금과 가전, 가구 비용도 자부담이었다. 김 센터장은 “서울시는 남녀 그룹홈을 별도로 운영하길 원했지만, 두 개의 공간을 동시에 꾸리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했다”며 “결국 2023년에는 여자 숙소를 철거해야 했고, 올해는 아예 전체 운영을 중단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룹홈은 단순한 숙소가 아니다. 오랜 은둔 생활로 생활 리듬이 무너진 청년들에게 일상을 회복하고 사회성과 감정을 회복하는 훈련의 공간이다. 센터는 아침 기상부터 식사, 청소, 운동, 취미 활동 등 하루의 루틴을 함께 만들어가며 공동체 훈련을 돕는다. ◇ 공동생활 거쳐간 100여 명 중 약 80%가 일상 회복    이곳에서는 공동 요리와 식사, 주 1회 팀 경기 활동을 하는 야구단, 개인의 이야기를

7년간 방에만 있던 나…“필요했던 건 비난 아닌 존중이었다”

청년재단 ‘잘나가는 토크콘서트’ 고립은둔 청년 6명의 생생한 이야기 “밖에 나가면 누가 나를 죽일 것 같았어요. 그래서…7년을 집에서만 지냈습니다.” 지난 26일, 서울 마포구 서울청년기지개센터. 청년재단이 주최한 ‘잘나가는 토크콘서트’ 현장에 고립은둔 경험을 가진 청년들이 모였다. 토크콘서트에는 청년 당사자 6명과 고립 청년 지원 기관 종사자 등 30여명이 참석해 고립의 원인부터 탈고립의 계기까지 진솔한 이야기를 나눴다. 이날 행사는 ‘고립 청년에 대한 대중의 주요 질문에 당사자가 직접 답한다’는 콘셉트로 진행됐다. ▲고립을 시작하게 된 계기 ▲고립 기간 중 가장 힘들었던 점 ▲탈고립을 가능케 한 요인 등 민감한 질문에도 청년들은 망설임 없이 자신만의 경험을 털어놨다. ◇ “학교폭력·공황장애가 나를 방 안으로 몰았다” 이날 무대에 선 A씨는 중고등학교 시절 학교폭력을 겪은 뒤 7년 동안 세상과 단절됐다고 했다. “친구가 한 명도 없었고, 부모님은 억지로 학교에 보내려 했어요. 사람을 만나는 게 무서웠습니다.” 20대 초반부터 공황장애를 앓았다는 B씨도 당시를 이렇게 회상했다. “밖에 나가면 누가 날 따라오는 것 같고, 죽을 수도 있겠다는 공포에 시달렸습니다. 밤낮이 뒤바뀌고 불면증이 계속됐죠.” 이들은 고립의 시간 동안 가장 힘들었던 점으로 ‘사회적 편견’과 ‘차별’을 꼽았다. 탈고립 이후 일자리를 얻은 한 청년은 다시 은둔하고 싶은 충동을 느꼈다며 친구에게 털어놨지만, “그건 네가 간절하지 않아서 그래”라는 말을 듣고 큰 상처를 받았다고 했다. 또 다른 청년은 “부모님이 ‘한심하다’, ‘도대체 뭐 해 먹고 살 거냐’고 질책할 때 견디기 힘들었다”고 털어놨다. ◇ “내게 손 내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