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에 제품 원료 구입부터 생산 과정 환경에 미치는 영향까지 분석해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모바일 앱 ‘굿가이드’ 제작 “소비자가 착한 소비해야 윤리적 생산 늘어 어느 기업이 윤리적인지 정보 공유도 필요” 2008년 시작된 미국의 ‘굿가이드(www.good guide.com)’는 소비자에게 제품의 모든 생애주기(life cycle) 정보를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이자 모바일앱이다. 원료 구입 과정부터 제품의 생산 과정, 환경과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까지 분석한다. 현재 5000여 기업의 19만개가 넘는 제품이 소개돼 있다. 이 앱을 이용해 제품의 바코드를 찍으면 환경·건강·사회 총 3분야의 점수가 뜨고 왜 그런 점수를 받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회사의 공동 창업자는 다라 오루크(Dara O’Rourke·사진) UC 버클리(Berkeley)대 환경정책경영대학 교수로 국제 생산망 내의 노동·환경 문제를 20년 이상 연구해온 인물이다. 월드뱅크와 유엔개발프로그램(UNDP),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에서 자문위원으로 일하기도 했다. ‘윤리적 소비’의 글로벌 트렌드를 듣기 위해 지난 20일 다라 오루크 교수와 전화 인터뷰했다. ―굿가이드를 만들게 된 계기는 뭔가. “한번은 딸이 바르는 선크림을 무심코 보다가 아이에게 해로운 성분이 있음을 발견했다. 이후 샴푸나 장난감 등 딸아이가 쓰는 모든 제품의 재료를 찾아보니 해로운 성분이 많았다. 나중에는 모든 집 안 제품으로 연구를 확장했다. 일반 소비자에게도 이런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드는 게 좋겠다고 생각했다. 현재 100만명이 굿가이드앱을 쓰고, 200만~300만명 정도가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한다.” ―현재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 인식은 어떠한가. “현재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 중 하나는 ‘하이브리드 카’다. 지난 5년 동안 지속 가능하고 윤리적인 소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