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꿀벌의 집단 폐사를 막으려면 꿀벌을 위한 꽃과 나무밭을 30만ha(헥타르) 이상 확보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의도 면적의 1000배에 달하는 규모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와 안동대학교 산업협력단은 ‘세계 벌의 날’을 이틀 앞둔 18일 ‘벌의 위기와 보호 정책 제안’ 보고서를 발간했다. 국내 꿀벌 집단폐사를 막는 데 필요한 꽃과 나무밭 면적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첫 보고서다. 최근 국내에서는 ‘꿀벌 집단 실종 사건’이 벌어지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겨울 꿀벌 78억 마리가 흔적도 없이 사라지는 꿀벌군집붕괴현상(CCD)이 일어났다. 지난해 9~11월에는 100억 마리가, 올해 초에는 약 140억 마리가 사라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로 인해 국내 양봉 산업도 흔들리고 있다. 보고서는 “국내 꿀벌의 화분매개 경제적 가치는 약 5조8000억원으로 추정된다”며 “화분매개에 의존하는 농작물 생산량은 약 270만t으로, 전체 농작물 생산량의 17.8%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기후변화, 살충제 남용 등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벌이 생존하기 어려운 환경이 됐다”면서 “국내에서는 벌의 먹이가 되는 꽃과 나무인 ‘밀원식물의 부족’이 가장 시급한 문제”라고 진단했다. 벌은 아까시나무, 밤나무, 유채 등 다양한 식물의 꿀과 꽃가루를 섭취해 면역력을 강화한다.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받지 못하면 영양 스트레스를 받아 성장이 둔화하고 수명이 단축되며 생식 능력도 저하된다. 또 월동기에 충분한 양의 탄수화물을 비축하지 못하면 기아 상태에 빠지기도 한다. 면역력이 약해진 벌들은 살충제, 기생충, 바이러스 등 외부 요인에 더욱 취약해진다. 문제는 꿀벌에게 영양분을 제공할 꽃과 나무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국립산림과학원 자료에 따르면 국내 밀원면적은 1970~80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