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위기로 전 세계의 식량 안보가 위협받고 최대 26억 명의 인류가 전염병에 걸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달 28일(현지 시각)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제6차 평가보고서 WG2 보고서’를 승인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의 제목은 ‘영향과 적응 그리고 취약성(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으로 67개국 과학자 270명이 작성하고 IPCC 195개 회원국 대표단이 검토했다. 이번 보고서에는 생태계 변화와 식량·물 부족, 감염병 위협 등 기후위기로 전 세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 구체적인 문제들이 담겼다. 우선 보고서는 기후변화가 생태계에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일으켰다고 강조했다. 전 세계적으로 생물종 절반이 서식지를 고위도, 고지대로 옮겼고 1950년대 이후 해양 생물종의 서식지는 10년 당 최대 55km씩 북쪽으로 이동했다. 해양 생물종의 계절변화도 10년 단위로 3~7.5일씩 빨라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생태계의 변화로 멸종 위기종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보고서는 지구 온도가 1.5도 오르면 이번 세기 말까지 육상 생태계 전체 종의 3~14%가 매우 높은 멸종 위험에 처할 것으로 전망했다. 온도 상승 폭이 3도일 경우에는 매우 높은 멸종 위험에 처할 가능성이 큰 종이 최대 29%까지 올라간다. 최악의 경우인 5도가 상승하는 시나리오에선 매우 높은 멸종 위험에 처하는 종이 48%에 달한다. 보고서는 현 추세대로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경우 현재의 작물생산, 축산 지역이 2050년까지 10%, 2100년까지 30% 넘게 먹거리를 생산하기에 부적합한 기후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이번 세기 말 해양의 식물성 플랑크톤과 동물성 플랑크톤이 각각 6%, 9%가량 감소해 수산 자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