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스타트업 엔씽은 컨테이너 안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스마트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조선DB
전문가 50인이 말하는 올해 소셜섹터 전망은?

[2023 소셜섹터 키워드 10] 달라지는 ‘소비 문화’활력 생기는 ‘비영리’ 기후위기, 경기 침체, 인구 감소. 당면한 위기 속 불안과 무언가 일어날 거란 기대가 공존하는 계묘년(癸卯年) 새해를 맞았다. 지난 한 해 소셜섹터에서는 기후위기 대응에 대한 국제사회의 목소리가 유독 컸고, 재계에서는 ESG 열풍이 불었다. 2023년은 과연 어떻게 기록될까. 특히 사회문제 해결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소셜섹터에서 어떤 변화의 흐름이 나올까. 더나은미래는 비영리와 사회적경제, 임팩트비즈니스, 기업, 학계, 법조 영역 전문가 50명 의견을 바탕으로 올해의 키워드 10개를 선정했다. 01. 빅벳 필란트로피(Big Bet Philanthropy) 사회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비영리 조직에 대규모 자금을 지원하는 자선 활동을 말한다. 보통 한 기관에 2500만달러(약 310억원) 이상의 자금을 투입하는 것을 기준으로 삼는다. 국내에서는 아직 생소한 개념이지만, 미국에서는 지난 10여 년간 꾸준히 확산해왔다. 미국의 비영리 재단 브릿지스판그룹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20년까지 미국에서 ‘빅벳’으로 집계된 기부금은 400억4800만달러(약 50조9600억원)에 달한다. 대표 사례는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인 빌 게이츠가 설립한 ‘빌앤멀린다게이츠재단’이다. 게이츠재단은 말라리아 종식, 소아마비 근절, 물 없는 화장실 개발 등 구체적인 사회변화를 목적으로 기부를 진행한다. 국내에서는 김범수 전 카카오 이사회 의장이 설립한 공익재단 ‘브라이언임팩트’가 사회문제 해결 역량이 있는 비영리 혁신 조직에 빅벳 방식으로 기부를 진행하고 있다. 02. 네이처 포지티브(Nature positive) 기후위기 담론을 넘어 생물다양성(biodiversity)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 10월 세계자연기금(WWF)은 2년마다 내놓는 ‘지구생명보고서’를 통해 1970년에서 2018년 사이 전 세계 생물 개체군의 69%가 사라졌다고 발표했다. 담수 어종은

열매나눔재단 로고. /열매나눔재단 제공
사회복지법인 열매나눔재단 사무총장 공개 모집(~10/4)

◇조직 = 사회복지법인 열매나눔재단 ◇채용구분 = 사무총장 ◇임기 = 3년(연임 가능) ◇접수기간 = 2022년 10월 4일(화) 18:00까지 ◇문의 = 열매나눔재단 사무국 채용담당자(02-2038-8507) ◇채용링크 = https://merryyear.org/archives/news/13415

[2022 사회공헌 파트너스데이] ①지역 활성화 분야 사업 제안팀을 소개합니다

국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사회공헌 아이디어를 나누고 사업 연계까지 이끌어내는 ‘2022 사회공헌 파트너스데이’가 9월 21일 온라인 생중계로 개최합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사회공헌 전문성을 갖춘 비영리·사회적경제 조직 12곳이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문제와 제안 사업을 발표하고, 지속가능한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기다리는 공공·민간기업 등은 협업 가능성을 확인합니다. 조선일보 더나은미래는 본 행사에 앞서 참여 조직을 세 차례에 걸쳐 소개합니다. 파트너십을 통한 사회적가치 창출을 희망하는 기업의 많은 참여를 기다립니다. 오래 전부터 사회문제로 주목받아온 지방소멸. 그의 원인은 청년들의 지역 이탈이 아니라,지역에서 청년이 머물 수 있는 환경이 갖춰져 있지 않다는 데 있습니다. 멘토리는 지역 거점 대학교와 연계해 청년들이 지역의 사회문제를 발굴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지역을 알아가고 자신의 일을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그동안 대학과 지방자치단체의 협업으로 청년들의 아이디어와 주민을 연결해 다양한 실험을 해왔지만, 이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민간 기업의 자원과 전문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식했습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대학-지역-기업이 협력해 지역문제를 해결하는 지속가능한 학교를 만들고 싶습니다. <로컬 임팩트 캠퍼스> ‘로컬 임팩트 캠퍼스’는 지방에서의 삶을 준비하는 Z세대를 위한 실험실이자 공동체 형성의 관문입니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경북 의성군, 엠와이소셜컴퍼니(MYSC) 등과 함께 ▲마을의 문제 해결 ▲로컬 스몰브랜드의 상품개발 ▲기술을 활용한 지역자원 재해석 등 지역에서 발굴한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파트너 기업의 전문성 있는 임직원들을 교수진으로 초빙해 2~3일간 체류하며 ‘Work&Volunteer’로 청년들의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고자 합니다. 이를 지역 주민과 기업이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이어나가는 것을 목표로 Z세대가 지역과 자신의

[2022 사회공헌 파트너스데이] ②장애인 지원 분야 사업 제안팀을 소개합니다

국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사회공헌 아이디어를 나누고 사업 연계까지 이끌어내는 ‘2022 사회공헌 파트너스데이’가 9월 21일 온라인 생중계로 개최합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사회공헌 전문성을 갖춘 비영리·사회적경제 조직 12곳이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문제와 제안 사업을 발표하고, 지속가능한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기다리는 공공·민간기업 등은 협업 가능성을 확인합니다. 조선일보 더나은미래는 본 행사에 앞서 참여 조직을 세 차례에 걸쳐 소개합니다. 파트너십을 통한 사회적가치 창출을 희망하는 기업의 많은 참여를 기다립니다. 국내 장애인 중 발달장애인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늘어 2021년 기준으로 약 10%에 이릅니다. 그럼에도 발달장애인 고용률은 다른 장애 유형과 비교해 가장 낮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장애인 노동인구의 약 40%는 단순 노무에만 종사하고 있습니다. 키뮤는 이러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궁극적으로는 건강한 발달장애인 고용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발달장애인이 비장애인과 편견 없이 협업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온 키뮤는 그동안의 경험과 역량을 바탕으로, 발달장애인이 기업에서 단순노무가 아닌 재능을 살리는 일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을 확대하고 기업이 장애인 고용부담금을 감면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겠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특별한 협업 -세.가.업> 장애인 고용과 장애인 고용부담금에 어려움을 느끼는 기업을 위한 ‘예술지원 사회공헌 사업’을 제안합니다. 파트너사와 키뮤는 이 사업을 통해 미술에 재능 있는 발달장애인 예비 디자이너를 발굴하고, 이들이 디자이너로서 안정적으로 고용되는 장을 마련합니다. 더불어 파트너사는 발달장애인 디자이너가 디자인한 유니크한 디자인 결과물을 이용해 캠페인, 전시 등을 열고, NFT와 같은 실용적인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세상에서 가장 특별한

[2022 사회공헌 파트너스데이] ③환경·청소년 분야 사업 제안팀을 소개합니다

국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사회공헌 아이디어를 나누고 사업 연계까지 이끌어내는 ‘2022 사회공헌 파트너스데이’가 9월 21일 온라인 생중계로 개최합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사회공헌 전문성을 갖춘 비영리·사회적경제 조직 12곳이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문제와 제안 사업을 발표하고, 지속가능한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기다리는 공공·민간기업 등은 협업 가능성을 확인합니다. 조선일보 더나은미래는 본 행사에 앞서 참여 조직을 세 차례에 걸쳐 소개합니다. 파트너십을 통한 사회적가치 창출을 희망하는 기업의 많은 참여를 기다립니다. 대부분 농가는 이른바 ‘못난이 농산물’을 폐기하거나 떨이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매년 폐기되는 못난이 농산물은 음식물 폐기량의 약 40%를 차지하며, 규모로 따지면 228만톤에 이릅니다. 최근 ‘B급 작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개선으로 원물 자체 판매기업은 증가됐지만, 이를 활용한 제조 기업은 시장에 많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비글리는 친환경·유기농 못난이 농산물을 활용한 식품 제조 사업을 통해 환경·경제적 문제를 해결하며, 간편식을 추구하는 소비 트렌드에 맞춘 다양한 제품군을 생산합니다. 파트너사는 비글리와 함께 경쟁력 있는 건강 간식을 소비자에게 전달하며,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사업으로 시장을 점유할 수 있습니다. <못난이 제철 과일을 활용한 원물 간식 ‘프루티데이(Fruity day)’> 친환경·유기농 ‘못난이 제철 과일’을 활용한 원물 간식 제조사업을 제안합니다. 초기 시장 타겟층은 간식 구매 시 영양과 맛을 모두 고려하는 20대 여성입니다. 원물 간식은 여성과 Z세대에서 높은 선호도를 보입니다. 현재 과일칩 시장의 약 90%를 수입산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폐기되는 국내 못난이 농산물을 활용해 낮은 생산원가와 타사 제품 대비 30~40% 저렴한 판매가 책정이 가능합니다. 환경도 지키고 소비자도

풀씨아카데미 5기 최종합격자 발표
[알립니다] 풀씨아카데미 5기 최종 합격자 발표

재단법인 숲과나눔과 조선일보 더나은미래가 함께 하는 환경 분야 공익활동가 양성 과정 ‘풀씨아카데미 5기’ 최종 합격을 축하합니다. 최종 합격자는 아래와 같으며, 관련 공지는 문자와 이메일로 전달드리겠습니다. (이름 / 전화번호 뒷 네자리) 곽*은 1758권*은 3439김*선 0227김*지 4952김*현 1365 김*서 4227배*기 1466염*승 5428우*영 8969이*림 1289 임*현 7403장*현 4882장*현 5247정*범 8027정*곰 3896 정*원 8980정*원 0383조*희 1345조*정 5503채*천 3649 최*영 2397 ※ 합격하신 분에게 오늘(22일) 중으로 개별 메일과 문자 발송 됩니다. ※ 문의: 조선일보 더나은미래 풀씨아카데미 담당자ddd1008@chosun.com / 02-724-7866(문자회신 안됨)

풀씨아카데미 5기 면접 대상자 발표
[알립니다] 풀씨아카데미 5기 면접 대상자 발표

재단법인 숲과나눔과 조선일보 더나은미래가 함께 하는 환경 분야 공익활동가 양성 과정 ‘풀씨아카데미 5기’ 면접 대상자를 발표합니다. 면접일은 8월 18일(수)이며, 자세한 면접 시간과 내용은 면접 대상자에게 문자메시지와 이메일로 개별 안내됩니다. 연락을 받지 못한 분은 아래 연락처로 연락 주시길 바랍니다. ※문의: 더나은미래 풀씨아카데미 담당자 (02)724-7867, ddd1008@chosun.com

2022년 프로젝트매니저 공개 모집

조선일보 더나은미래가 2022년 프로젝트매니저 직군(정규직, 인턴 사원)을 공개 모집합니다. 접수 마감은 오는 31일입니다. 상세 내용은 아래 채용정보를 확인하세요.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