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나은미래, 민간단체 10곳 대상 FGI 진행현장 전문가들 “가정밖청소년 규모 수십만 명 될 것”거리로 내몰린 아이들 마약·도박 등 범죄에 노출 박영미 7R청소년공감센터장은 얼마 전 경기 모 지역에 있는 조폭 두목을 만나고 왔다. 센터에서 돌보는 아이들이 조직원 명함을 받아온 게 화근이었다. 폭력 조직에 가입하면 300만원을 주겠다며 아이들을 꾀어냈다는 말에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약속 장소로 가는 동안 두려운 마음을 다잡기 위해 기도를 했어요. 두목과 대면해 ‘우리 애들이 아직 어리니까 접근하지 말아 달라’고 차분하게 말했어요. 좋게 얘기하다 안 돼서 알고 있는 기업인, 정치인 이름을 다 댔죠. 이 사람들 다 내 지인이니까 애들 건들면 나도 가만있지 않겠다고요. 지금 생각해도 떨리네요.” 경기 광주 지역 ‘가정밖청소년’들 사이에서 박 센터장은 유명인이다. 센터에서 공식적으로 돌보는 아이들은 12명이지만, 연락하고 지내는 아이들은 수십 명이다. 문제가 생겨 어른의 도움이 필요하면 박 센터장에게 먼저 전화를 건다. 오토바이를 타다 교통사고가 났을 때도, 친구가 자살하려고 할 때도 박 센터장을 찾는다. “애들이 저에 대한 확신이 있거든요. 무슨 일이 있어도 도와주고, 지지해 줄 거라는 확신이요. 부모한테 학대당하고 무시당했어도 어른 한 명에게만 사랑을 받으면 애들은 변해요. 문제 행동이 확실히 줄어요. 이걸 우리 센터의 ‘실적’이라고 증명할 수는 없지만 저는 알잖아요. 애들이 제게 보내는 진심을요. 이런 아이들을 어떻게 저버리겠어요.” 우리나라에서 ‘가정밖청소년’은 사각지대 중의 사각지대로 통한다. 정부는 가정밖청소년의 규모조차 파악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가정밖청소년을 위한 유일한 안전망인 ‘쉼터’조차 엄격한 규율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