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용적 금융의 확대’. 최근 문재인 정부가 강조하는 금융혁신의 키워드다. 지난 14일 문재인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중소기업, 소상공인, 창업자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금융 부담 경감 등 혁신 과제들을 빠르게 추진할 것”을 당부했다. 같은 날 최종구 금융위원장도 “향후 3년간 8조원 규모로 조성되는 ‘성장지원펀드 운영 방안’과 담보 자산이 부족한 혁신창업기업의 원활한 자금 조달을 지원하는 ‘동산금융 활성화 방안’ 등을 곧 발표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금융 소외 문제는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2008년 대부업체의 고금리 상품을 이용하는 거래자는 약 130만명. 2015년엔 267만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2016 금융위원회). 60대 이상 인구 중 인터넷뱅킹 사용자는 9.5%, 모바일뱅킹 사용자는 6.8%에 불과하다. 20대 청년층의 금융 이해도 역시 OECD 16개국의 평균치를 밑도는 상황(2016 한국은행). 전문가들은 “정부 예산의 한계를 감안할 때, 특히 금융 소외계층을 위한 민간 기업의 혁신적인 지원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금융 소외를 해결하기 위한 기업의 역할은 무엇일까. 최근 글로벌 금융그룹 메트라이프(Metlife)는 ‘포용적 금융’을 기업의 주요 사회공헌 어젠다로 발표하고, 다양한 프로젝트를 시도하고 있다. 2016년부터 진행하는 사회혁신을 위한 금융 및 경제 솔루션 경진대회 ‘인클루전 플러스(Inclusion Plus)’가 대표적이다. 이는 포용적 금융 및 경제적 자립 지원을 위한 비즈니스 솔루션을 가진 사회적기업, 소셜벤처, 비영리단체, 개인 사업자를 발굴 및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미국·중국·호주·레바논·중국·멕시코·아일랜드·방글라데시·이집트·호주 등 10개국에서 개최될 정도로 관심이 뜨겁다. 준결승 25개팀을 1차 선발해 상위 5개팀엔 총 1억원의 상금이 차등 지급되고 있다. 지난해 아일랜드 대회에선 저소득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