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17일(화)

대전 ‘창업생태계’ 전국 대비 26% 높은 성장률, 비결은?

창업생태계가 ‘지역의 미래’를 이끌 해법되려면 <1>

지역 소멸을 멈추기 위한 해법으로 ‘창업생태계 조성’이 주목받는 가운데, 비수도권 중에서는 대전이 ‘스타트업 하기 좋은 도시’로 자리잡고 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이 지난 2021년에 발표한 ‘창업·벤처생태계 종합지수 비교’ 자료를 보면, 대전의 창업생태계가 지난 10년(2010~2020)간 전국 대비 26%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전국과 대전이 2010년에 모두 지수 100으로 출발해 2020년에는 전국이 284.7, 대전이 359.2를 기록했다.

벤처투자종합포털의 ‘지역별 투자실적’ 자료에서도 대전 창업생태계의 성장을 엿볼 수 있다. 최근 5년(2019~2023년) 사이 대전의 기술기반 업종 창업기업수의 연평균 성장률이 0.51로, 비수도권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벤처투자 규모(3475억원)나 엑셀러레이터 수(27개)에서도 대전은 비수도권 중 1위다.

◇ 특색있는 창업 특구 개발, 이번달에는 ‘대전투자금융’ 공식 출범

대전이 이러한 성과를 낼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일까. 최병관 대전과학산업진흥원 과학산업전략본부장이 지난달 29일 대전 충남대학교에서 개최된 ‘지역 스타트업생태계 서밋 2024’에서 대전시의 전략을 공유했다. 이날 행사는 비영리 법인 스타트업얼라이언스가 지역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를 통한 지역의 발전을 도모하며 마련한 자리다.  

최병관 대전과학산업진흥원 과학산업전략본부장이 지난달 29일 대전 충남대학교에서 개최된 ‘지역 스타트업생태계 서밋 2024’에서 발표하고 있다.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최 본부장은 ‘창업타운별 특화된 지역 사업 개발’을 주요 전략 중 하나로 꼽았다. 대전시는 스타트업 중심지를 대전 지역 내에 5개 타운으로 집적화해 특성화하는 계획을 수립했다.

1타운은 대덕특구로, 대학의 청년·연구자 기술 창업 활성화 목적으로 다양한 커뮤니티 운영, 2타운은 대전 역세권 도심융합특구와 연계한 소셜벤처 창업 활성화, 3타운은 첨단바이오메디컬 혁신지구, 4타운은 지역 대학 한남대와의 연계를 위한 캠퍼스 혁신파크, 5타운은 글로벌 스타트업 혁신타운 등으로 조성됐다.

두 번째 전략은 ‘대전투자금융 설립’이다. 대전투자금융은 국내 최초 공공 벤처캐피탈로 대전시가 500억원을 100% 출자해 이번달 공식 출범한다. 신기술사업금융회사 라이선스를 바탕으로 공공 벤처캐피탈(VC) 역할을 수행하며, 오는 2028년까지 운용자금 2895억원을 확보하고, 2030년 5000억원 규모까지 확충하겠다는 목표다.

최 본부장은 “지역의 민간 투자사와 협력을 강화해 장래성이 높은 기업을 발굴하고, 적극 투자할 계획”이며 “대전시를 ‘젊은 혁신가들의 기술창업 요람’과 ‘글로벌 창업플랫폼 도시’로 만드는 것이 비전”이라고 밝혔다. 

◇ 지역 카페와 공실 상가, 스타트업과 투자자 교류 장소로 활용돼

“대전시는 어궁동(어은동+궁동)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어은동에는 로컬활동가들이, 궁동에는 초기 창업가를 중심으로 기술벤처들이 집약되어 있어서 이들을 연결하면 창업생태계 활성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확신 때문입니다.”

문창용 대전 유성구 부구청장은 ‘어궁동’을 기반으로 창업 생태계를 지원하는 각종 정책을 소개했다. 어궁동이란 충남대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사이, 즉 유성구 관할 어은동과 궁동 사이에 있는 동네를 일컫는 말이다. 

어궁동 중심의 대표 정책 중 하나는 ‘스타트업 코리아 투자위크(SIW, Startup Korea Investment Week)’다. 이는 중소벤처기업부와 대전시가 주최하고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가 주관하는 전국 규모의 투자 유치·네트워킹 행사다. 지난해 9월 궁동 일대에서 처음 개최됐다. 기존 IR 데모데이 행사 방식과 다르게 지역 카페와 공실 상가 등에서 스타트업과 국내외 투자자들의 상담이 이뤄졌다는 점이 특징이다. 대전시에 따르면, 행사가 진행된 3일 동안 3000건 이상의 1대 1 투자 상담이 이뤄졌다. 

지난해부터 추진 중인 ‘궁동 D-스타’도 사례로 제시됐다. 궁동 D-스타는 지역의 특성이 담긴 특화 이미지를 발굴하고, 거리·건물·대중교통 등 다양한 공간·시설에 이미지를 활용한 로컬디자인을 적용한다.

해당 사업은 대전시가 지난해 10월 행정안전부 ‘지역특성을 활용한 로컬디자인 사업’ 공모에 선정돼 확보한 9억원을 투입해 조성하기로 했다. 시는 2025년까지 스타트업파크 내 창업 공간과 연계해 창업가가 활용할 수 있는 개방형 창업문화 공간을 조성하고, 창업 문화 확산을 위한 이벤트 등을 운영할 계획이다. 

문창용 유성구 부구청장이 지난달 29일 대전 충남대학교에서 개최된 ‘지역 스타트업생태계 서밋 2024’에서 발표하고 있다.

대전시의 이러한 전략에 발맞춰 어궁동 일대에서는 소름동네, 어리궁절, 궁동활동 등 지역 기반의 각종 커뮤니티가 생겨나고 있다. 문 부구청장은 “아직 성공 사례는 아니지만, 커뮤니티가 형성되고 있다는 것을 눈여겨봐야 한다”고 했다.

“성심당은 2022년에 매출 800억원이었는데, 2023년에 124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68년 된 성심당이 급성장한 건 그동안 꾸준히 쌓아온 역량에 ‘사회 봉사 기업체’라는 긍정적 인식이 축적되면서, 시간이 지나서 나타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대전시가 양적인 투자를 통해 일정 수준까지의 성장을 도왔다면, 이젠 질적인 성장을 위한 정책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대전=조유현 더나은미래 기자 oil_line@chosun.com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