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사회, 데이터로 해법 찾는다”…상상우리-트리플라잇 맞손

데이터 기반으로 고령화 문제 짚고 해법 모색

중장년·시니어 일자리 전문 기업 ‘상상우리’와 이슈·임팩트 측정 전문기업 ‘트리플라잇’이 초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데이터 기반 사회문제 발굴 및 해결을 목표로 손을 맞잡았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국내 65세 이상의 고령인구는 1024만4550명으로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섰다.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층 진입과 출산율 저하 시기가 맞물리며, 의료·금융·주택·노동시장 등 사회 전반의 구조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양 기관은 지난 13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중장년·시니어 사각지대 이슈 발굴 ▲인식조사를 통한 트렌드 진단 ▲임팩트 측정 기반 마련 ▲사회적 담론 형성 등을 골자로 한 협력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지난 13일 열린 협약식에서 왼쪽부터 정유진·이은화 공동대표와 신철호 상상우리 대표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상상우리, 트리플라잇

상상우리는 중장년층 대상 재취업·창업 교육 및 일자리 매칭 서비스를 운영하며, 2021년부터는 라이프스타일 조사 플랫폼 ‘에이풀(Aful)’을 통해 일·취미·건강·소비 등 다양한 영역의 맞춤형 정보를 제공해왔다. 또한 ‘중장년의 경험과 지혜가 사회 혁신의 자원이 되게 한다’는 목표 아래 인생 2막을 위한 재취업 및 창업 교육과 다양한 일자리 매칭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트리플라잇은 지난 5년간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를 기반으로 ‘한국인이 바라본 사회문제’ 보고서를 사회적가치연구원(CSES)과 함께 펴냈으며, 지난해에는 지속가능 전문 벤처캐피탈 에이치지 이니셔티브(HGI)와 함께 ‘투자사가 바라본 사회문제 : 고령화’ 리포트를 발간하며 고령화 이슈 및 실버 산업을 분석하고 지속가능한 투자 전략을 제시한 바 있다.

이날 협약식에는 신철호 상상우리 대표와 트리플라잇의 이은화·정유진 공동대표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신 대표는 “시니어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사회문제를 발굴하고, 실질적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 이번 협력의 핵심”이라며 “트리플라잇과 협력 과정을 통해 임팩트 또한 꾸준히 측정·관리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은화 트리플라잇 공동대표는 “상상우리처럼 임팩트를 추구하는 기관이 ‘진짜 문제’를 찾아 증거 기반의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앞으로도 사회문제 및 솔루션 데이터 분석과 필요한 자원을 연결하는 임팩트 전략 허브로서 기여하고 싶다”고 밝혔다.

김규리 더나은미래 기자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