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국제협약, “국민 5%만 안다”
기후변화센터, 전국 성인 남녀 1000명 대상 인식 조사 결과
국민 절반이 플라스틱 재생원료 사용 제품 확대를 위한 정책과 국제협약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달 부산에서 열린 플라스틱 국제 협약을 위한 제5차 협상위원회(INC-5)에 대해서는 처음 듣는다는 응답이 74%에 달했다.
기후변화센터는 13일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플라스틱 재생원료 제품에 대한 대국민 인식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정부의 정책 활동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플라스틱 관련 정책의 인식 수준도 함께 조사했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플라스틱 재생원료 30% 확대 ▲폐플라스틱 재생원료 사용 표시제도 시행 ▲플라스틱 국제 협약을 위한 제5차 협상위원회(INC-5) 세 가지를 들어본 적이 있는지 물었다.
먼저 인지도가 가장 낮은 것은 ‘플라스틱 국제 협약을 위한 제5차 협상위원회(이하 INC-5)’다. 이는 플라스틱의 생산·소비·폐기 전 과정을 규제하는 내용을 담아 법적 구속력 있는 협약을 만들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1일까지 부산에서 진행됐으나 국가 간 의견 차이로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내년에 추가 협상회의를 열기로 했다.
이번 조사에서 INC-5에 대해 “들어본 적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26%였고, 내용을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5.1%에 불과했다. 74%는 아예 “처음 들어본다”고 답했다. 플라스틱 문제가 전 세계적 이슈임에도 국민적 관심은 저조한 셈이다.
‘2030년까지 플라스틱 재생원료 30% 확대’ 정책에 대해서는 51%가 처음 들어봤다고 답했다. 이는 환경부가 지난 1월 발표한 정책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재생 플라스틱 사용 의무화가 확산됨에 따라 국내에서도 이를 추진하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나 국민 중 9.5%만이 구체적인 내용을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지도가 가장 높은 정책은 ‘폐플라스틱 재생원료 사용 표시제도 시행’이었다. 이는 지난 3월부터 시행된 제도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해 만든 제품의 재생원료 사용 비율을 제품에 표시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이다. 하지만 이 역시 처음 들어봤다는 응답이 48.6%로 절반에 달했다.
기후변화센터는 보고서를 통해 “한국 정부의 플라스틱 재생원료 정책과 국제협약에 대한 국민 인식이 매우 낮다”며 “정부는 정책이 국민의 일상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명확히 설명하고, 관심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민 10명 중 9명은 플라스틱 재생원료 제품을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응답자의 89.9%에 달하는 899명은 향후 재생원료 제품 구매 의향이 있으며, 52.2%는 실제로 재생원료 제품을 사용한 경험이 있었다.
현재보다 플라스틱 재생원료 제품의 수를 늘려야 한다는 응답은 83.2%에 달했으나 안전성에 대한 신뢰도는 낮았다. 새 플라스틱 제품의 품질과 동일함에도 플라스틱 재생원료로 만든 제품을 선호하지 않는 이유로는 ‘재생원료는 위생적이지 않을 것이라는 인식(67.7%)’과 ‘제품 안전성에 대한 걱정(67.7%)’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김규리 더나은미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