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기반 스크랩 서비스 중 ‘미로’와 ‘비캔버스’라는 곳이 있다. 최근 원격근무가 대중화되면서 크게 주목을 받는 서비스 중 하나다. 포스트잇 방식을 활용해 팀별 토론까지 가능하게 해 호평을 받고 있다. 온라인으로 하는 토론이 처음엔 어색하게 느낄 수 있지만 실제로 서비스를 사용해본 결과 대부분의 사람이 금세 적응하고 토론에 몰입했다.
사람들이 이 서비스에 금세 적응한 것처럼, 대면을 기반으로 성장해온 비영리 영역도 언젠간 ‘느슨한 조직 문화’와 ‘비대면 활동’에 익숙해지는 날이 오진 않을까. 좋은 점도 있을 것이다. 온라인 행사가 늘어나면 거동이 어려운 장애인의 정보 접근권이나 사회 참여권도 확대될 수 있다. 재택근무로 이동량이 줄면 탄소배출이 감소할 수도 있다.
지금 비영리 영역 안에서도 코로나 19 이후에 대한 여러 시선이 교차하고 있다. 이 시각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 전자책이 나와도 종이책이 팔리는 것처럼 코로나 19 이후에도 대면 활동의 비중이 일부 줄어드는 정도의 작은 변화만 있을 것이라는 보는 시각이다. 전통적인 비영리 활동 방식을 고수하는 가장 보수적인 시각이다. 두 번째, 온라인상에서 네트워킹과 협업을 도와줄 기술이 새로 나와 비영리가 하던 일부 활동에 적용되는 정도의 변화가 일어날 거라고 보는 시각이 있다. 이런 시각을 가진 사람들은 여전히 비대면을 대면의 보조 활동 정도로 본다. 변화에 대한 중도적 시각이라 하겠다. 세 번째, 온라인 중심 활동이 대면 활동을 거의 완벽하게 대체할 수 있을 것이란 시각이다. 이 의견을 가진 사람 중에는 비대면 활동이 대면 활동보다 더 높은 성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중요한 건 비영리 영역을 둘러싼 변화에 대해 이 분야에서 활동하는 사람 모두가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는 일이다. 각자가 가진 의견과 목격하는 변화에 대해 터놓고 이야기를 나누며, 새로운 방법을 찾아나가는 것이다.
코로나 19 사태는 언젠가 진정될 것이다. 그러나 코로나19 가 종식된다고 해서 모든 바이러스나 위기가 사라지는 건 아니다. 비영리 영역은 코로나 19의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위기를 준비해야 한다. 면역력을 높이자는 뜻이다. 비영리 영역의 면역력을 지금이라도 높이지 않는다면, 이 영역의 치사율만 높아질 뿐이다. 지금 우리는 모든 것이 바뀌는 세상의 한가운데에 있다. 무조건 낙관하거나 비관하는 태도를 버리고, 좀 더 이성적인 태도로 할 수 있는 일을 찾아야 한다. 비영리 활동가가 현장에서 할 수 있는 일은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끊임없이 찾는 일뿐이다.
[이재현 사단법인 시민 이사 겸 NPO스쿨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