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비 부족·의료 공백에 취약… 사회적 관계 여부가 건강 격차 좌우
보호 종료 뒤 홀로서기에 나선 자립준비청년들의 건강과 사회적 관계가 심각한 위기 상황에 놓여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기본적인 식사조차 해결하기 어렵고, 정신건강도 일반 청년에 비해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굿네이버스가 29일 발표한 ‘자립준비청년의 건강 및 사회적 관계 분석’에 따르면 응답자 108명 중 절반 이상(54.6%)이 최근 1년간 식비 부족으로 끼니를 줄이거나 거른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26.9%는 양질의 음식을 먹지 못했고, 32.5%는 아플 때 병원에 가지 못했다고 밝혔다.
정신건강 지표도 취약했다. 자립준비청년의 66.7%가 평소 스트레스를 느낀다고 응답했는데, 이는 일반 청년(33.6%)보다 두 배 가까운 수치다. 보건복지부의 ‘2023 자립지원 실태조사’에서도 자립준비청년의 46.5%가 자살을 생각해 본 적이 있다고 답해 전체 청년(10.5%)보다 4배 이상 높았다.
특히 연구는 사회적 관계가 건강을 좌우하는 결정적 요인임을 확인했다. 아플 때 병원에 동행할 사람이 있는 청년의 79.5%가 자신을 건강하다고 평가했지만, 없는 경우는 63.3%에 그쳤다. 우울할 때 속마음을 털어놓을 사람이 있는 청년은 69.9%가 정신적으로 건강하다고 응답했으나, 그렇지 않은 청년은 40%에 불과했다.
자립준비청년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서비스로는 ▲응급상황 시 신속 지원 체계(36.1%) ▲가까운 병원 이용 지원(21.3%) ▲진료·약값 등 경제적 지원(20.4%) 순으로 나타났다.
임경숙 굿네이버스 아동권리연구소 팀장은 “자립준비청년의 건강 수준은 사회적 자원과 직접 연결돼 있다”며 “청년들이 혼자가 아니라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채예빈 더나은미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