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데이터 더 많이 열어야 거브테크가 산다” [스타트업, 차기 정부에 바란다]

스타트업 릴레이 인터뷰 <1> 코딧
[인터뷰] 정지은 코딧 대표이사

스타트업은 본래 시장의 혁신을 목표로 태어났으나, 이제 돌봄·환경 등 공공의 과제 해법으로까지 활동 영역을 넓히고 있습니다. <더나은미래>는 제21대 대선을 앞두고 사회문제 해결에 앞장서는 주요 스타트업을 만나, 지속가능한 성장과 사회 기여를 위해 차기 정부가 마련해야 할 정책적 과제를 물어봤습니다. /편집자 주

“코로나19 사태 때 정책 한 줄이 삶을 좌우한다는 걸 뼈저리게 느꼈습니다. 백신 수급부터 시장 유동성 확대가 기업·부동산 시장을 흔들었고, 관심이 폭주하며 코딧 사이트는 한때 접속 장애를 겪기도 했습니다.”

정지은 코딧 대표는 정책이 다방면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만큼 정책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코딧

정지은 코딧 대표는 OECD에서 정책분석가로 8년간 근무하면서 정책이 사람들의 삶에 중요하다는 것을 직접 체감했다고 말했다. 이 경험은 ‘정책 데이터’에 누구나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으로 이어졌다. 그렇게 AI 기술을 활용한 정책 모니터링 스타트업 ‘코딧’이 만들어졌다. 2020년 설립된 코딧은 의안, 법령, 규제뿐 아니라 관련 보도자료, 국회의원과 정부 관계자의 발언까지 한데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핵심 고객은 기업·국회·지자체·정부 부처 등 정책 결정 주체들이다. 정 대표는 “국내외 기업들이 정부 움직임을 빠르게 파악해 전략을 세우고, 정부도 정책 개정 과정에서 코딧을 통해 관련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식품 수입 안전관리 교육을 온라인으로 확대하는 과정에서 코딧을 활용해 관련 규정을 찾은 사례도 있다고 전했다. 

◇ 이슈 때마다 정책 데이터 무료 개방…시민 참여 문턱 낮추다

코딧은 주력인 B2B 수익 모델을 유지하면서도, 정책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도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정지은 대표는 “시민에게 정책 데이터를 개방하는 일에는 수익을 바라지 않는다”며 “더 많은 국민이 정책을 알면 참여 기회가 확대된다”고 말했다.

지난 총선·대선, 계엄령 논란, 산불 피해 시기 등 주요 이슈 때마다 코딧은 관련 의안·보도자료·정치권 발언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대시보드를 무상으로 운영했다. 특히 ‘티몬·위메프 사태’ 당시에는 중소기업과 결제대행사(PG사)를 위해 관련 회의록과 발의안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서비스를 무료로 지원했다.

코딧은 티몬·위메프 사태 당시 중소기업과 결제대행사를 위해 관련 정책 정보를 무료로 찾아볼 수 있는 서비스를 지원했다. /코딧

정 대표는 “미국은 시민운동과 기업 협회 차원의 조직적 대응이 활발하지만, 한국은 정책 영향이 크면서도 정보 부족으로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책 발의 후 의견 제출 기회가 제한적인데, 상당수가 이 기회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시민과 비영리단체에 정책 정보를 무료로 공개하는 이유”라고 덧붙였다.

◇ “스타트업도 사회문제 해결사”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와의 협업도 강조했다. 코딧은 정부가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는데, 초기에는 부처 내 공공데이터 필요성에 대한 인식조차 부족했다고 한다. 정 대표는 “국민신문고를 통해 요청하기도 했고, 과기부는 예산을 투입해 민간이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는 API 시스템을 구축해줬다”고 전했다. 이후 정부와 협력해 AI가 보도자료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포맷 논의도 진행했다.

코딧과 같은 거브테크(Gov-Tech)의 성장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공공데이터의 개방이 필요하다”고도 짚었다. 정 대표는 “국회 입법 자료는 접근이 수월하지만, 각 행정부처의 시행령·고시와 사법부 회의록은 데이터가 흩어져 있어 활용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토스·네이버 기차표 예매가 공공데이터 개방 덕분이라면, 더 많은 부처 자료가 공개돼야 민간 혁신이 본격화된다”고 강조했다.

정 대표는 스타트업을 사회문제 해결자로 바라본다. 그는 “사회적기업처럼 인증을 받지 않더라도 스타트업도 각자의 비즈니스로 사회에 기여하는 길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돈만 좇는 기업보다 사회문제 해결을 목표로 한 기업이 장기적으로 더 크게 성장한다”며 “사회공헌은 비용이 아닌 투자이며, 인센티브가 주어진다면 더욱 적극적인 문제 해결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채예빈 더나은미래 기자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