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지역 과학기술혁신정책 포럼’ 개최
국내 과학기술의 싱크탱크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12월 10일(목)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더케이호텔 서울 가야금 A에서 ‘지역 과학기술 혁신정책 포럼’을 개최한다. ‘지역이 지역에게 묻다’라는 부제로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국제 어젠다로 자리 잡은 지속가능한 지역 발전을 위해 우리나라 지역 과학기술계의 인식 제고와 공감대 확산 및 과학기술혁신 정책에 대해 논의하자는 취지로 마련됐다. 지역 과학 기술정채 산·학·연·관 전문가와 토론회도 이어진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홈페이지(http://www.kistep.re.kr)에서 사전 등록하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의 (02) 589-5240
㈔시민과 카카오가 함께하는 온라인 공익 모금 플랫폼 설명회 개최
내년부터 다음 포털 기반 모금 플랫폼 ‘희망해’의 공익 분야 파트너 기관으로 활동할 ㈔시민과 다음카카오가 온라인 공익 모금 플랫폼 설명회를 갖는다. 이 자리에서는 다음 희망해를 이어, 내년도 새롭게 변신하는 카카오 공익 모금 플랫폼이 소개된다. 행사에서는 희망해 경험 단체들의 모금 성공 사례도 공유된다. 행사는 14일, 서울시 NPO지원센터 1층 ‘품다’에서 오후 3시부터 150분간 진행될 예정이다. ㈔시민 홈페이지(www.simin.or.kr)에서 참가 신청할 수 있다. 문의 070-7733-3925
아산나눔재단, ‘2015 N 포럼’ 개최
아산나눔재단이 ‘우리가 바라본 비영리’를 주제로 지난 12월 4일(금)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N 포럼’을 개최했다. 비영리기관 종사자들을 중심으로 비영리 분야의 현황을 진단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자는 취지로 마련됐다. 김형식 한반도국제대학원대학교 명예교수가 ‘지구촌 인간화 과제와 국제 개발 NGO’를 주제로 기조 연설에 나섰고, 서경석 나눔과기쁨 상임대표, 유성희 한국YMCA연합회 사무총장, 김민웅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가 연사로 참여했다. 한편 이번 행사는 아산나눔재단이 비영리기관 종사자 역량 강화를 위해 2013년부터 진행한 아산 프론티어 아카데미 수료생들이 기회하고, 비영리 활동가 150여 명이 참여해 눈길을 끌었다.
2015 중견·중소기업 사회공헌백서 발간 기념 세미나
중견·중소기업의 올해 사회공헌 활동을 한눈에 볼 수 있는 ‘2015 중견·중소기업 사회공헌 백서’가 발간, 이를 기념해 세미나가 개최된다. 보건복지부가 주관하고 대한상공회의소 및 사회복지협의가 주관하는 이번 세미나에는 백서 내용 발표와 중견·중소기업의 사회공헌 활성화 방안에 대한 강연이 펼쳐진다. 세미나는 11일 오후 3시부터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이룸센터 누리홀에서 열린다. 참가 신청은 사회공헌정보센터 홈페이지(www.crckorea.kr)로 하면 된다. 문의 (02) 2077-3954
희망제작소 정책그룹 부서 연구원 모집
시민 참여를 통해 다양한 사회혁신 방법을 연구, 실행하는 민간 싱크탱크 희망제작소가 정책그룹 부서 연구원(1명)을 모집한다. 도시재생 및 공동체 활성화 관련 각종 연구와 실행사업을 담당하게 된다. 도시계획, 도시재생, 도시사회학 등 유사 관련 전공자나, 관련 분야의 3년 이상의 경력자, 관련 기관 및 단체와 네트워크가 활발한 자는 우대한다. 서류 접수는 희망제작소 홈페이지(http://www.makehope.org)에서 지원 양식을 다운받아 작성 후 12월 13일(일) 자정까지 이메일(job@makehope.org)로 보내면 된다. 자세한 사항은 희망제작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의 (02) 2031-2192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 회원관리 담당자 모집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가 모금회원커뮤니케이션팀 회원관리 담당자(1명)를 모집한다. 회원서비스 프로그램 및 회원 홍보물 기획 및 실행, 기타 회원 서비스 관련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인권 및 국제앰네스티 활동에 관심이 많거나 NGO 회원 서비스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MRM) 업무에 1년 이상 경력자는 우대한다. 서류 접수는 12월 9일(수)까지 국제앰내스티 한국지부 홈페이지(amnesty.or.kr)에서 양식을 다운받아 작성 후 이메일(apply@amnesty.or.kr)로 보내면 된다. 자세한 사항은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