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월 23일(월)

레기 와휴 하라 대표 “블록체인으로 인도네시아 농업혁신가 기른다”

레기 와휴 하라(HARA) 대표가 지난 9일 서울 성동구 헤이그라운드에서 열린 ‘블록체인 포 소셜 임팩트’ 컨퍼런스에서 연설하고 있다. ⓒ그라운드X, 강희주 사진작가

“성실하게 일한 사람이 마땅한 보상을 누리는 사회. ‘하라(HARA)’는 블록체인이라는 기술로 이런 사회를 만들고자 합니다.”

레기 와휴(Regi Wahyu) 하라 대표는 최근 서울 강남구 그라운드X에서 더나은미래와 만나 블록체인의 사회적 가치를 강조했다. 국제 비영리단체 아쇼카가 선정한 사회혁신가(Social Entrepreneur)이기도 한 그는 그라운드 X가 지난 9일 개최한 ‘블록체인 포 소셜 임팩트(Blockchain for social impact)’ 컨퍼런스의 연사 자격으로 방한했다. 와휴 대표는 지난 2015년부터 고국 인도네시아에서 ‘빈농 구제’와 ‘농업 혁신’을 목표로 블록체인을 활용한 데이터 플랫폼 사업을 벌이고 있다. 회사 이름인 ‘하라’는 인도네시아어로 영양분이라는 뜻이다. 와휴 대표는 “블록체인이 가난한 농부들의 주린 배를 채울 영양분이 될 것으로 굳게 믿는다”고 했다.

인도네시아 한 마을의 농부의 신원 정보를 하라의 스마트폰 앱에 기록하는 데이터 제공자. 스마트폰 사용에 익숙한 농촌의 청년들이 농부들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하라

“‘데이터 민주화’ 없이는 빈농 구제 어렵다”

하라는 농부와 기업이 투명하게 정보를 공유하는 플랫폼을 만들었다. 이들이 내세우는 핵심 가지는 ‘데이터 민주화(democratize data)’다. 시민의 정보접근성이 높아져야 이익이 골고루 돌아간다는 것이다. 하라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사람은 농촌의 청년들이다. 이들이 ▲농부의 신원 ▲재배 품목 ▲농법 ▲비료 ▲경작지 모양·면적 등의 정보를 하라의 스마트폰 앱에 등록하면 데이터 제공에 따른 보상을 받는 구조다. 은행·보험회사·비료회사 등 기업은 이런 데이터를 사들여 사업 확장에 활용한다. 농부는 금융을 이용하거나 농업 관련 제품을 싸게 구입하는 혜택을 받는다. 데이터 제공자와 데이터 구매자, 농부 등 생태계에 참여한 구성원들이 모두 이익을 얻는 시스템이다. ▶관련기사: ‘블록체인은 어떻게 인도네시아 빈농의 삶을 바꿨을까’

―인도네시아 극빈층 대부분이 농촌에 사는 것으로 안다. 농촌 빈곤의 근본적인 원인이 무엇인가.

“인도네시아는 1만7000개의 섬으로 이뤄진 나라다. 국가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농촌 지역의 인프라는 개선이 더디다. 농촌 지역의 20%는 아직 전기도 들어오지 않는다. 은행 지점은 고사하고 현금자동입출금기(ATM)조차 없는 곳이 대부분이다. 컴퓨터나 스마트폰 사용률도 낮다. 농부들의 정보접근성이 매우 낮다. 이 때문에 여러 불이익을 감수해야 한다.”

―어떤 불이익인가.

“인도네시아는 국가 차원의 농촌 지역 토지 관리 시스템이 없다. 땅 주인이 소유권을 증명하기가 어렵다. 달랑 문서 한장 뿐인데, 위·변조 가능성이 있다보니 금융권이 이를 신뢰하지 않는다. 인도네시아에서 은행은 농부를 고객으로 보지 않는다. 결국 농부들은 사채를 쓸 수 밖에 없는데 연이율이 90%에 육박한다. 좀처럼 자산을 늘릴 수 없는 구조다.”

―정부나 민간 차원에서 농촌 빈민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는 없나.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정부나 비영리단체, 혹은 기업이 CSR의 일환으로 농촌 지역에서 자선 사업을 벌인다. 문제는 지속가능하지 않은 일회용 프로젝트가 대다수라는 점이다. 기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농부들도 기부를 받는데 너무 익숙하다. 가난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지렛대(Leverage)가 없는 상황이다.”

―하라의 블록체인 플랫폼이 해결책이 될 수 있나.

“인도네시아 인구가 약 2억7000만명인데 이 가운데 절반이 농촌에 산다. 기업의 입장에서 보면 거대한 시장이 숨어 있는 것이다. 하라는 정부가 그동안 내버려둔 농촌의 데이터를 끌어모아 기업에 제공하고 있다. 기업은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고, 농부들은 데이터를 팔아 부를 축적할 수 있다.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진다. 무엇보다 농부들이 스스로 삶을 개척할 동기가 된다는 게 중요하다.”

‘농업혁신가(Agripreneur·애그리프레너)’라 불리는 데이터 제공자들은 농부의 데이터를 많이 수집할수록 더 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하라

농촌의 청년들이 혁신의 주역

하라의 블록체인 생태계는 ‘농업혁신가(Agripreneur·애그리프러너)’라 불리는 데이터 제공자들이 이끈다. 이들은 자발적으로 농업 정보를 수집해 블록체인에 기록한다. 그 대가로 경제적인 보상을 받는다. 모빌리티 플랫폼 우버(Uber)의 드라이버와 비슷한 일을 한다. 다만 농업혁신가의 역할은 데이터 제공에 그치지 않는다. 하라는 농업혁신가를 농산물 유통망의 중추로, 나아가 혁신 농법의 교육자로 길러낼 계획이다.

―데이터 제공자들이 자발적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시스템이 인상적이다.

“블록체인의 생태계는 사람의 ‘선의’로 움직이지 않는다. 약속된 보상을 바라고 움직이는 지극히 합리적인 시민들이 엔진 역할을 한다. 하라는 데이터 제공자가 노력에 따라 더 큰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 외에 데이터 제공자들이 할 수 있는 일이 뭐가 있나.

“데이터 기록은 가장 기초적인 단계다. 능력을 인정받으면 하라는 데이터 제공자에게 ‘디포(DEPO)’라 불리는 블록체인 기반 마을 상점을 운영할 권리를 준다. 암호화폐로 생필품을 사고팔고, 유통업자와의 농산물 거래에서 허브 역할을 하게 된다. 최종 단계는 데이터 제공자가 농촌 마을의 지도자로 성장하는 것이다. 최신 유기농 농법을 들여와 농부들에게 교육하고, 작황을 관리하는 역할을 맡긴다. 이를 위해 데이터 제공자들을 대상으로 주기적인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

―하라에 참여하는 농부나 데이터 제공자의 삶은 실제로 개선됐나.

“농부는 약 2만3000명, 데이터 제공자는 700명 정도 활동하고 있다. 농부들은 평균 3배 수익이 높아졌고, 데이터 제공자들은 월평균 145만루피아(약 12만5000원)을 번다. 데이터 제공자의 상위 10%는 월평균 1150만루피아(약 97만원)를 번다.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좋은 대학을 졸업한 사람들의 초봉보다 높다.”

―하라의 최종 목표는 무엇인가.

“첫 번째 목표는 농부들의 마음가짐을 바꾸는 것이다. 누구든 노력하면 삶을 바꿀 수 있다. 두 번째는 효율적이고 공정한 농산물 유통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다. 마지막 목표는 농촌이라는 지역의 사회경제적인 지위 자체를 올리는 일이다. 하라는 농부들이 키우는 작물을 바꿀 것이다. 더 건강하고, 부가가치가 높은 작물을 재배하도록 유도해야 농촌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

[장지훈 더나은미래 기자 jangpro@chosun.com]

–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