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부 그 후] 함께 지어올린 집, 함께 지어가는 삶

“술을 먹고 몸이 따뜻해지면 잠자리에 들었어. 그렇지 않으면 너무 추웠거든” 매년 겨울, 주영재(61·가명) 할아버지에게 온기를 준 유일한 물건은 ‘술 한 병’이었습니다. 벽과 지붕이 무너진 단칸방은 바람조차 제대로 막아주지 못했습니다. 좁은 집안에 들여놓지 못해 비바람에 그대로 노출된 가전제품은 언제 화재의 원인이 될지 모르는 시한폭탄 같았습니다. 할아버지에게 집은 불안하고 추운 공간이었습니다.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와 네티즌이 만든 선물, ‘기프트 하우스’ 그런 할아버지에게 도움의 손길을 내민 것은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였습니다. 현대 엔지니어링과 협력해 저소득층 재난위기가정에 영구적으로 집을 지원하는 ‘기프트 하우스’의 입주자로 할아버지를 선정한 것이죠. 희망브리지와 현대엔지니어링은 붕괴의 위험과 살을 에는 추위로부터 할아버지를 지켜줄 수 있는 따뜻하고 아늑한 공간을 계획했습니다. 지역사회도 힘을 모았습니다. 충북 음성군청은 기프트하우스가 세워지는 과정에 있어 복잡한 행정 처리를 도왔고, 미공건축사사무소의 손영태 건축사는 건축 인·허가와 관련된 문제에 팔을 걷어붙였습니다. 네티즌들은 할아버지의 보금자리에 온기를 더했습니다. 네이버 해피빈에 할아버지의 ‘기프트 하우스’를 위한 모금함이 개설됐고, 작년 11월부터 올해 3월까지 447명의 네티즌이 자신의 콩을 기부했습니다. 많은 사람의 참여로 모금된 377만원은 할아버지의 새 이불과 세탁기, 냉장고, 밥솥이 됐습니다. 특히 해피빈을 통해 할아버지의 사정을 알게 된 동서식품 임직원들의 도움이 컸습니다. 십시일반 기부금을 출연한 인연으로, 올해에는 청주 지역사회를 위한 벽화그리기 봉사에까지 힘을 보태 주었습니다. 이제는 희망을 갖고 살아갈 수 있어요 지난해 12월, 기프트 하우스에 입주한 할아버지는, 더 이상 추위를 이기기 위해 술을 마시지 않아도 됩니다. 따뜻하고 아늑한 집이 있으니까요. 변한 것은

[청년, 청년을 만나다] ② 주식에 투자했다, 사람에 투자한다

[청년, 청년을 만나다] ① 청년 투자가의 기부 이야기 에서 이어집니다.    -유학을 가면 지금 운영 중인 장학기금은 그만두게 되나요? “떠나기 전 장학기금의 시스템을 최대한 안정적으로 다져놓고 있습니다. 사실 돈만 주고 말거였으면 전 벌써 손을 뗐겠죠. 지금 제가 하나부터 열까지 모든 과정에 다 참여하는 건, 기금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기 위해서입니다. 그 뒤에는 적임자에게 하나씩 역할을 넘길 거고요. 추후에는 기금을 재단화 하는 것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만 여러 제약이 있기 때문에 당장은 불가능합니다. 이 과정에 끝나야 제가 해방이 되겠죠.” -장학기금 시스템을 직접 기획하셨는데, 기존의 장학제도들과 어떻게 다른가요? “장학기금 만들 때 기존의 장학제도를 봤는데 참고할 만한 것이 없었습니다. 보통 성적장학금과 가계 빈곤 장학금이 있는데, 아무래도 형편이 어려우면 학비 벌어야 하니 성적에 신경 쓰기가 어렵고, 집안 좋고 성적 좋은 친구들에게 장학금을 주면 용돈 밖에 안돼요. 게다가 가계가 어려워서 주는 장학금은 받는 아이에게 낙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운영하는 장학기금은 3가지 조건을 걸고 있습니다. 첫째, 경제적인 형편을 고려한다. 그러나 단순히 어려워서는 절대 안 줍니다. 치열하게 사는 ‘의지와 열정’이 있는 친구들을 돕습니다. 저는 자선가가 아니라 투자자이기 때문이죠. 마지막으로 인성을 봅니다. 받는 데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이 친구들이 성장했을 때 다른 사람에게 다시 나눠주길 바라서입니다. 열정이나 인성은 다소 모호하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나름의 검증 과정을 만들었습니다. 그 결과 현재 4회 정도 장학생을 선발한 복현장학기금이 잘 운영되고 있고요.

[청년, 청년을 만나다] ① 청년 투자가의 기부 이야기

‘청년 기부왕’ 박철상(32)씨가 더나은미래 청년 기자들을 찾았습니다. 지난 8월, 경북대학교 캠퍼스에서 더나은미래와 만난 지 1년만의 재회입니다. (관련기사 ‘청년 기부왕’ 박철상 바로가기) 그동안 그는 운영하는 장학기금을 6개에서 9개로 늘렸고, 장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치과치료 지원 사업도 시작했습니다. 현재 1년에 약 7억원의 정기 기부를 진행 중입니다. 해외 아동 교육 및 저개발 국가 지원 등 비정기 기부에도 연 2억원 가량을 쏟고 있습니다. 계획했던 유학길도 미뤘습니다. 직접 설계한 장학기금을 안정화시키고, 자신이 없어도 잘 돌아갈 수 있도록 적임자를 찾아 맡은 일을 하나하나 넘기자니 시간이 필요했다고 합니다. 이번 청년 기자와의 만남에서는 30대 청년이 기부에 꽂힌 이야기, 다독으로 유명한 박씨의 책 이야기 등 다양한 에피소드를 전합니다.    청년, 박철상의 이야기  우여곡절이 많았습니다. 울산에서 초, 중, 고등학교를 나왔는데 열심히 공부해서 명문 고등학교에 들어갔더니 평준하가 돼버렸습니다. 그간의 노력이 무산된 것 같아서 화가 났어요. 그래서 농구만 열심히 했습니다. 아침 먹고 농구하고, 점심 먹고 농구하고. 고등학교 2학년이 돼서 정신을 차리고 다시 공부를 시작했는데 수능 때 실력 발휘를 못해 재수를 했습니다. 그 때쯤 가세도 기울기 시작했습니다. 수능 성적에 맞춰서 학교를 가고 싶었는데, 그러지 못했습니다. 나는 치열하게 했는데, 결과물이 좋지 않으니 억울한 마음이 들었습니다. 세상에 온갖 불평불만을 했었죠. 그런데 군대 가서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여기 군대 다녀오신 분들은 공감하시겠지만, 군대 가서 할 게 생각밖에 없습니다. 초등학교 이후 처음으로 일기를 썼다. 수첩으로 8~9권쯤 일기를 쓰다 보니 그동안

새로운 맛의 세계, 비건페스티벌을 가다

히피(hippie·물질문명에 반대하고 자연친화적인 사상을 실천하는 사람들)들의 축제가 이런 분위기일까. 우거진 나무들 사이로 다닥다닥 늘어선 파란색 간이부스에서 고소한 냄새가 풍겨나왔다. 유혹을 참지 못한 사람들은 저마다 먹거리를 손에 들고 나무아래 엉덩이를 붙이고 앉아 식사를 즐겼다. 부스 안 쪽에선 앞치마를 둘러멘 사람들이 바쁘게 주스를 갈고 샐러드를 무쳤다. 불고기와 짜장면, 달콤한 파이까지 준비된 음식의 종류도 다양했다. 겉으로 봐서는 여느 음식점에서 판매하는 메뉴들과 다를 바 없어보였지만, 이 요리들은 모두 ‘식물성 재료’로 만들어졌다.   지난 1일 불광동 서울혁신파크에서 ‘제2회 비건페스티벌’이 개최됐다. ‘비건(Vegan)’이란 채식주의자 중에서도 우유, 버터, 달걀을 먹지 않는 가장 엄격한 채식주의자를 일컫는다. 이날 현장에는 음식뿐만 아니라 의류, 생필품 등 다양한 비건 제품을 판매, 소개하는 개인과 단체 39팀이 참여했다. ‘커뮤니티’와 ‘먹거리’를 찾아 나선 비건을 비롯해 육식을 즐기는 이들과, 외국인까지 다양한 식성과 취향을 가진 시민 3900명이 축제 현장을 찾았다.  “채식주의자들은 어떤 음식을 먹을까?” “그들은 왜 채식을 시작하게 됐을까?” 국내에서 열리는 ‘비건인들의 가장 큰 축제’에 더나은미래의 청년기자 세 명도 함께했다. 비건을 시작한지 5개월차에 접어든 정한솔 청년기자, ‘고기반찬마니아’ 이형민 청년기자, 밥상 앞에 줏대 없는 조은지 청년기자다.  ◇무궁무진한 ‘비건푸드’의 세계  ‘비건이 아닌 청년기자들도 입에 맞는 음식을 찾을 수 있을까’ 잠시 걱정이 앞섰지만 기우였다. 샐러드와 과일주스만 있을 것 같았던 현장은 ‘1일9식’이라는 올해의 테마에 걸맞게 다양한 음식들로 가득했다. 파스타, 피자, 김밥까지 음식이 이정도로 다양하다면 비건으로 살아가는 것도 그다지 어렵지 않을 듯 싶었다. 특히 동물에서만 얻을 수

[알립니다] 청년, 세상을 담다 6기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더나은미래와 현대해상이 함께하는 공익기자 양성 프로젝트 ‘청년 세상을 담다(청세담)’ 6기의 서류전형 합격을 축하합니다. 서류전형 합격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2차 면접은 5인 1조 다대다(多對多) 방식으로 30분간 진행될 예정입니다. 면접 시간은 문자로 개별 공지됩니다.  면접일정: 7월 2일(토) 오전 10시부터  면접장소: 조선일보사 구관 3층 조선에듀케이션 회의실 문의: chungsedam@gmail.com, 02-725-5521오시는 길: 시청역 3번출구 또는 광화문역 6번출구에서 직진, 조선일보 전광판이 설치된 건물 안쪽 주차장에서 올라가는 계단 이용해 입장   청년, 세상을 담다 6기 서류전형 합격자 명단 (순서 없음)  정*현 jsh42457860@naver.com김*남 cfcing2@gmail.com안*현 pikapika00@naver.com최*정 sjchoi0523@gmail.com김*희 chacabee@naver.com김*겸 kimeorua@hanmail.net채*연 csy96102@naver.com김*영 glaemsep@naver.com정*영 kayjsy@naver.com윤*훈 qudgns8632@naver.com송*완 songs9459@naver.com정*솜 gienie1004@daum.net김*린 heelyn0413@naver.com박*윤 pjy8610@naver.com송*원 ksoon906@naver.com이*정 bambiya7@me.com이*영 youngholic25@naver.com김*영 rlatndud753@naver.com김*은 read_ye@naver.com이*민 tuji89@naver.com채*희 purechae96@naver.com황*원 hyowon793@naver.com조*지 eunjeec92@naver.com김*영 ksyeong612@naver.com유*아 ids0917@naver.com정*솔 chs7201@naver.com김*태 16sungtae@gmail.com박*기 gipark54@hanmail.net김*영 kd11yh@naver.com정*훈 whateverhhh@naver.com박*수 esooid@daum.net윤*혜 wjdgpdyz@naver.com조*호 joilhoha@gmail.com신*명 shin.jm7529@gmail.com윤*원 jwyun7@daum.net김*빈 chaepulib@naver.com변*영 zzicu75@gmail.com오*주 estheryoungjoo@gmail.com조*우 zero102502@naver.com김*은 loveajenny92@naver.com문*순 angel151004@hanmail.net기*주 kimj373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