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케냐 시골, 자원은 부족하고 학생은 넘쳐났다. 교사 한 명이 맡는 학생은 70명도 훌쩍 넘었다. 교육 자재도, 공간도, 기회도 부족했다. ‘아이들에게 더 나은 교육을 제공할 방법은 없을까?’ 10여 년 경력의 소프트웨어 개발자와 미국에서 건너온 교육자가 손을 잡았다. 2011년, 케냐 나이로비에서 시작한 사회적기업 에네자 에듀케이션(Eneza Education)의 이야기다. 모두가 사용하는 핸드폰을 활용해 공부를 할 수 있게 하면 어떨까? 구석진 시골에도 핸드폰은 있었다. 웹 기반이 아닌 문자 서비스 위주라면 저가 핸드폰에서도 이용이 가능했다. 공교육 체계에 기반을 둬 ‘문자 교육 과정’이 구성됐다. 수학, 영어, 케냐의 모국어인 ‘키스와힐리’ 등 교과도 다양하다. 한 주에 10 케냐 실링, 약 100원 정도면 ‘1대 1 과외교사’가 핸드폰으로 찾아온다. 이용자들은 적은 돈으로 배움의 기회를 얻고, 기업은 교육 문제를 해결하며 수익을 내는 셈. 설립한 지 올해로 5년, 안드로이드와 웹 기반 서비스도 개발했지만, 여전히 문자를 활용해 교육 서비스를 듣는 이들이 이용자의 절반 이상이다. 지금까지 100만 명 이상의 사용자들이 에네자 에듀케이션을 거쳐갔다. 이제는 케냐를 넘어, 아프리카 및 중동 지역 9개 국가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골 외지에서부터 난민 캠프에 이르기까지, 여러 이유로 학업을 중단했던 이들도 에네자 에듀케이션을 요긴하게 쓰는 주요 고객이다. 에네자 에듀케이션을 설립한 창립자 카고 가기치리는 포브스 선정 ’30세 이하 Top 30 사회적기업가’로 선정되기도 했다. 재무적 수익에 사회·환경적 가치를 고려하는 ‘임팩트 투자’도 이어졌다. 오는 11월 3일, 에네자 에듀케이션 설립자 카고 가기치리씨가 한국을 찾는다. 11월 3일부터 5일까지 제주에서 열리는 글로벌 임팩트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