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공식과 IT기술이 만나 전통 예술을 살린다?’ 얼핏 들으면 어울리지 않는 조합, 여기 도전장을 내민 사회적기업이 있다. 인도네시아 사회적기업 ‘픽셀 인도네시아(Pixel Indonesia)’가 그 주인공. 작은 구조가 전체 구조와 비슷한 형태로 끝없이 되풀이 되는 수학의 ‘프랙탈(fractal)’ 개념을 활용해 인도네시아 전통 무늬인 ‘바틱(Batik)’을 디자인한다. 직접 개발한 프로그램을 활용하면 몇 번의 클릭으로 나만의 문양을 만들어볼 수도 있다. 2D평면은 물론이고, 3D 입체적 문양도 가능하다. 창립자 세명의 전공은 각각 건축·수학·커뮤니케이션. ‘전통 예술’과는 거리가 먼 이들이, ‘바틱’ 세계에 발을 들이게 된 계기는 뭘까. 지난 6일, 영국문화원이 주최한 ‘인도네시아 창조·사회적기업을 만나다’ 행사에서 만난 픽셀 인도네시아(Pixel Indonesia)의 무하마드 루크남(Muhamad Lukman·사진) 공동창업자 겸 디자인 총괄책임을 인터뷰했다. -‘프랙탈’ 원리로 바틱 문양을 생산한다는 게 흥미롭다. 기존 바틱 시장의 문제가 무엇이었고, 프랙탈 인도네시아에서는 이를 어떻게 해결하고자 하나. “‘바틱(Batik)’은 인도네시아의 전통 염색 방식이자, 무늬를 일컫는다. 전통적으로는 ‘챤틱’이라는 얇은 도구를 이용해 녹인 밀랍으로 밑그림을 그리고, 천연 염색 방식으로 색을 물들인 뒤 끓는 물에 밀랍을 녹인다. 인도네시아에서 ‘바틱’은 문화 그 자체다. 나이 많은 결혼식 같은 중요한 행사는 물론이고 일상생활이나 출근할 때도 바틱을 입었다. 그러나 바틱은 젊은이들에게 외면 받았다. 디자인이 너무 획일적이다. 몇 가지 디자인이 수십 년째 반복됐다. 개인이 새로운 문양을 만들기엔 시간도 오래 걸리고, 시장에서 통하면 바로 복제 될 확률도 커서 새로운 디자인을 시도할 유인이 적다. 게다가 전통 바틱 문양을 기록하고 축적한 자료도 많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