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과 말 경증 근육병 환자로 살아가는 ‘바디 에세이스트’ 홍수영이 겪은 장애인 차별과 침묵에 대한 에세이. 열네살, 근육긴장이상증으로 불리는 ‘디스토니아’가 갑작스레 찾아왔다. 멀쩡히 있다가도 얼굴이 붉게 물들고 이마와 등에 땀이 맺힌다. 목이 꺾이고 안면은 굳어 말도 나오지 않는다. 그의 사정을 모르는 사람들은 지하철 노약자석에 앉아있는 저자를 향해 “네가 뭐기에 교통약자석에 앉느냐”는 말을 내뱉는다. 그렇게 장애는 그를 차별의 늪으로 끌어당겼다. 발성 장애가 있는 저자는 점점 위축되고, 주변 사람들은 침묵하는 그를 제멋대로 판단하고 의심한다. 책은 저자의 경험을 통해 우리 사회의 뿌리 깊은 차별과 편견을 고발한다. “우리가 만들어낸 장애의 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 섣부른 오해에서 비롯된 언어적 폭력은 계속될 것”이라는 저자의 지적에 성찰의 시간을 갖게 된다.홍수영 지음, 허클베리북스, 1만5000원 문밖의 사람들 2016년 파견노동자 ‘메탄올 실명 사건’을 배경으로 우리 사회 청년들의 노동 현실을 꼬집는 르포 만화다. 고향인 창원을 벗어나고 싶었던 진희는 홀로 서울로 올라가 스마트폰 부품을 만드는 하청 공장에서 일을 시작한다. 일을 시작한 지 불과 나흘, 진희는 눈이 멀어 버린다. 같은 공장에서 진희를 포함해 모두 6명이 실명한다. 작업의 위험성을 알려준 사람은 아무도 없었고, 피해자들은 앞이 안 보이게 된 이유조차 몰랐다. 사건의 진상을 알게 된 건 노동건강연대 활동가인 박행를 만나면서다. 이들은 기업과 국가를 상대로 책임을 묻는다. 시사만화를 그리는 김성의·김수박 작가는 지난 3년간 직접 취재한 내용을 바탕으로 파견노동의 현실과 시민활동가들의 노력을 담담하게 그려냈다.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주관 ‘2020년 다양성 만화제작지원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