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P29의 3일 차 회의에서 세계 정상들의 연설이 마무리된 가운데, 신규 기후재원목표(NCQG), 전 지구적 이행점검(GST) 등 주요 협상이 이어졌습니다. 특히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논의가 주목받았습니다. “단합 없이 기후위기 대응 어렵다” 14일(현지시간) 회의에서 NDC 협상이 2018년 이후 6년 만에 재개됐으나, 당사국 간 의견 분열이 지속되었습니다. 선진국과 AOSIS(군소 도서 국가 연합), AILAC(중남미·카리브해 연합), LDC(최빈개도국)는 전 세계 차원의 NDC 합의를 촉구했지만, LMDC(개발도상국 협력그룹), 아랍국가, 일부 아프리카 국가는 합의에 반대 의견을 나타냈습니다. 다수의 국가가 기후 달성 목표를 공유했으나, 서약 이행과 취약 국가 지원 부족에 대한 불만이 제기됐습니다. 14일(현지시간) 정상회의에서 에디 라마 알바니아 총리는 “의미 있는 행동 없이 반복되는 회의는 무의미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마크 브라운 쿡 제도 총리는 “기후변화가 우리의 가장 큰 적”이라며 단결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필립 데이비스 바하마 총리도 “지금의 선택이 기후 대응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기후대응 목표에 재정 확보가 핵심” 14일(현지시간) 로이터에 따르면 COP29 참가국은 기후변화에 취약한 국가를 지원하기 위해 1조 달러 규모의 기후재원 조성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경제학자들은 개발도상국이 2030년까지 최소 1조 달러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전망했습니다. 올해 COP29의 성과는 미국, 중국 등 부유한 국가들의 재정 합의 여부에 달려 있다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옐친 라피예프 COP29 주최국 외무장관은 “시간이 촉박하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기후재원에 대한 독립적 고위전문가 그룹의 보고서에 따르면, 추가적인 기후행동이 없다면 2035년까지 기후재원 목표가 최소 1조 3000억 달러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브라질,